-
-
사회를 구하는 경제학 - 경제학 고전에 공동체의 행복을 묻다
조형근.김종배 지음 / 반비 / 2014년 7월
평점 :
고1 때 사회 시간 이후로는 경제학을 공부한 적이 없었고, 경제에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GNP(국민 총생산)와 GDP(국내 총생산)도 헷갈리고 리먼 브라더스가 왜 망했는지도 모르고 있는 내 자신을 보고 이건 아니다 싶었다. 나 자신의 재정 관리를 위해서라도, 지금 우리나라의 경제 정책들이 올바른 건지 제대로 시행되고 있기는 한지 알기 위해서라도 경제를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작년부터 경제학 책을 조금씩 읽기 시작했다. 경제학 공식이나 법칙을 설명하기보다는, 경제학이 실질적으로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야기해 주는 책들을 읽고 있다. 이 책 『사회를 구하는 경제학』도 그런 책이다. 이 책은 팟캐스트 방송 '김종배의 사사로운 토크'에서 사회학자 조형근 교수와 시사평론가 김종배가 진행했던 코너 '꼬투리 경제학'의 내용을 정리, 보충한 책이다. "경제라면 고등학교에서 얻은 약간의 기초 지식이 있고 잘 해야 『맨큐의 경제학』 정도를 공부했을 사람들"을 위해 썼다지만, 고등학교에서 얻은 기초 지식도 다 잊어버렸고 맨큐의 경제학은 이 책 서문을 읽고 그 존재를 알게 된 나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물론 검색의 힘이 좀 필요했지만.
『사회를 구하는 경제학』이라는 제목대로 이 책에 소개되는 경제학자들이 고민했던 것은 경제학이 사회를 어떻게 구할 것인가, 경제학이 인간의 삶에 어떻게 접목되어야 하는가, 였다. 자본가들은 이들 경제학자들이 쓴 경제학 고전마저 거대 자본과 시장 논리를 옹호하는 근거로 이용하고 있고, 지금의 주류 경제학은 거대 자본과 시장 논리에 치우쳐져 실제 인간의 삶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 책은 거기에 맞서 말한다. 경제학의 기초를 다진 이들 경제학자들이 고민한 것은 인간의 경제 현실이었다고. 경제학의 지향점은 결국 인간이어야 한다고.
이 책은 애덤 스미스에서 마르크스, 케인즈, 슘페터까지 경제학의 기초를 다진 경제학자 여덟 명의 이론 중에서도 우리의 현실 경제 문제와 맞닿아 있는 부분들을 살펴보고 있다. 타인과 상생하며 사는 삶을 중시했던 애덤 스미스, 노동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민했던 마르크스, 협동조합에서 서로를 돕는 선물경제의 가능성을 본 마르셀 모스 등의 모습을 통해, 이들 경제학자들이 생각했던 경제학의 토대이자 지향점은 결국 인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의 경제 현실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고민한 결과가 그들의 경제학 이론이었던 것이다. 그들의 고민과 대안을 살펴보면서, 우리는 지금의 자본주의의 한계를 넘어 우리의 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가볍지 않지만, 주제를 다루는 방식은 딱딱하지 않다. 평범한 생활인의 눈높이에 맞춘 김종배의 질문과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알찬 조형근 교수의 대답을 통해 이들 경제학자의 이론을 즐겁게 배울 수 있다. 애덤 스미스를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칭송하면서, 정작 그의 이론 중 타인과 약자를 배려하는 도덕 원칙은 무시하는 재벌들을 "경제학의 패륜아들"이라고 하고,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개신교가 경제 발전에 유리하다는 취지로 오용하는 사람들에게 "베버의 책을 안 읽은 티가 확 난다"고 말하는, 이들의 거침 없는 입담은 읽는 사람의 속을 시원하게 만든다. 평생 마르크스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엥겔스의 우정과, 화려한 연애 경력 끝에 정착한 아내를 향한 케인즈의 순애보 등 경제학자들의 숨겨진 개인사 이야기를 듣는 재미도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경제학이 숫자와 공식이 아닌 우리의 현실에 뿌리내리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사람을 위한 경제학은 지금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리의 삶을, 우리가 사는 세상을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각 챕터 끝에는 더 읽을거리들의 목록이 있는데, 여기에 있는 책들을 통해 각 학자들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할 수 있다. 유튜브에 '꼬투리 경제학' 10강이 모두 올라와 있는데, 실제 방송된 내용과 책의 내용을 비교하면서 어떻게 수정되고 보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