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애덤 스미스를 다시 읽는다 -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의 세계
도메 다쿠오 지음, 우경봉 옮김 / 동아시아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흔히 애덤 스미스가 자유시장의 필요성만 강조했다고 생각한다. 그의 이론을 보이지 않는 손에 모든 것을 맡기고 정부나 도덕의 규제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기 쉽다하지만 이 책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국부론』이 아닌그의 또 다른 저작 도덕감정론을 소개하면서 그가 말하는 자유시장이 도덕 안에 있다고 이야기한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에게 도덕이 없다면 시장 자체가 성립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도덕이 없다면 상대와 굳이 상품을 교환하지 않고 힘을 쓰거나 속여서 상품을 빼앗을 것이기 때문이다그에게 부()는 단지 자신의 이익을 채우는 수단이 아니라 사람들이 서로 필요한 것을 교환하게 하는 것그럼으로써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이다여기에서 그가 경제의 근본을 숫자나 손익 계산이 아닌 인간에게서 찾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의 인본주의적인 면모는 숫자와 온갖 계산법들공식들에 밀려 경제생활 속에서 인간을 잊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한다.  

그가 자유시장의 역할을 강조한 것은 그가 살고 있던 시대적 배경 때문이었다그가 살고 있던 시대에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를 개척하고 전쟁을 벌이느라 식민지 관련 무역에만 힘을 쏟고 있었다. 그 덕에 식민지 관련 무역에 종사하는 일부 상인들만 정부에게서 혜택을 받고 있었다. 그 일부 계층만 식민지 사람들을 착취해 얻은 이익을 독차지하고 있었고정부는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민들은 그 이익을 누리지 못하는 상황이었다스미스는 이러한 불합리한 상황을 개선하려 했다. 


이런 발견(아메리카 대륙과 희망봉 경유의 동인도 항로)들이 이루어졌던 특정 시점에 우연히 유럽 사람 쪽이 힘이 월등하여 멀리 떨어진 나라들에서 온갖 불의를 저지를 수 있었던 것이다. 앞으로 그 나라들의 주민이 더 강하게 되거나 유럽 주민들이 더 약하게 되어, 세계 모든 지역의 주민들이 용기와 힘의 균등 상태에 도달하여 상호의 공포심을 고무시킴으로써 독립국들이 불의를 저지르지 않고 서로서로 권리를 존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런 힘의 균등을 확립하는 방법으로서는, (나라들 사이의 광범한 교역이 자연히 또는 필연적으로 가져오게 될 지식과 각종 개량들의 상호교류가 가장 확실한 방법인 것 같다.(국부론 제4편 제7장 제3절)

그는 본국의 입장뿐만이 아니라 식민지 사람들의 입장 또한 헤아렸다. 위에 인용한 말에서  스미스는 식민지 개척이 활발하던 시대였던 18세기의 유럽인으로서는 보기 드문 진보적인 시각을 보여 준다식민지 국가들을 교화 또는 약탈의 대상으로 보았던 다른 유럽인들과 달리, 그는 단지 이 시기에 유럽인들이 식민지 국가들보다 더 힘이 강했을 뿐이라고 보았다. 식민지 국가들이 거대한 수입원으로 취급당하던 당시에 식민지 국가들을 미래에 동등하게 교류할 상대로 보았던 그의 혜안이 놀랍다. 

그는 중상주의의 폐해를 지적했지만 중상주의를 갑작스럽게 폐지하고 급진적으로 개혁을 추진하려 하지 않았다그는 중상주의 정책에 충실하게 자신의 일을 해 오던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잊지 않았다스미스는 공익을 위해 충실히 살아왔다고 생각했는데하루아침에 부당한 수단으로 부를 얻은 사람 취급을 당할 때 그들이 느낄 좌절감과 분노를 생각했다그는 자신의 신념에 도취되어 사람들을 장기말 취급하는 개혁가들을 경계했다

이처럼 그의 자유주의는 인간을 생각하고, 인간을 배려하는 자유주의였다. 자유주의 안에서는 자기 자신만의 자유뿐만 아니라 다른 개인들의 자유도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지킬 자유는 보장하지 않으면서 자신을 자유주의자라고 하는 사람들과 애덤 스미스는 구분될 필요가 있다. 

국부론』은 한국어 번역본으로도 천 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저작이고도덕감정론도 결코 적지 않은 분량의 저작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자가 아닌 일반 독자들이 이 두 저작을 완독하고 애덤 스미스의 진면모를 알게 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두 방대한 저작을 하나의 맥락으로 연결시키면서 애덤 스미스의 진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이 책은 고전 다시 읽기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두 저작의 다시 읽기를 통해, 우리는 인간을 배려하는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를 만나게 된다. 그의 자유주의는 인간이 배려되지 않는 지금의 경제 현실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생각할 거리를 남긴다는 점에서 그의 두 저작은 여전히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