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개봉한 영화 '더 셰프(Burnt)'를 보았다.
미슐랭 3스타를 획득하기 위한 영국 셰프의 분투기-랄까.
원제 'Burnt'는 '탄, 갈색의'라는 뜻으로 불을 다루는 요리사의 운명을 좀더 선명히 보여준다.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일본에도 제법 많은 미슐랭 레스토랑들은,
사실 1스타나 2스타를 따기는 쉽지만 3스타는 꽤 까다로운 것으로 안다.
모든 것을 망쳐버린 경험이 있는 셰프 아담 존스(브래들리 쿠퍼)가 레스토랑을 새로 오픈하고
함께 일할 동료들을 구하고, 메뉴들을 개발하고, 3스타에 도전하기 위한 난관을 헤쳐나간다.
그 가운데 화려한, 미슐랭 레스토랑에서 나올 법한 요리들도 눈요기로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다큐멘터리가 아니므로, 영화는 요리 외의 스토리라인-로맨스나 질투, 화해, 동료애-에 더 충실하다.
아담 존스의 요리가 트렌디한 저온조리(수비드)법이나 분자요리와 미니멀리즘이 아닌,
전통적인 버터 듬뿍 칼로리 듬뿍의 프렌치 요리를 추구한다는 점은 마음에 들었다.
굴껍질을 10만 개 따면서 표시하는 장면이 인상적이고(주방의 노동에 대한 경의랄까)
미슐랭 별을 주는 비밀 고객은 남자 둘이 같이 오고 생수와 와인 반 병을 주문하며, 코스와 단품을 같이 시킨다-는 속설을
다루는 방식도 흥미로웠다. 진짜인지 모르겠지만.
이 영화를 보면서 떠오른 책이 하나 있는데, 빌 버포드의 <앗 뜨거워(Heat)>.
1997년 해냄에서 출간된 이 책은 뉴요커 기자 출신 저자의 셰프 체험 논픽션이다.
주방에서 요리를 한다는 건 사실 불을 다루는 것과 동의어라, 셰프들은 자잘한 화상을 달고 산다고 들었다.
화려한 레스토랑의 요리 뒤에 숨은 요리사들의 격한 노동의 세계를 다룬 책이다.
리처드 랭엄의 <요리 본능>도 같이 읽으면 좋다.
요리와 인문학을 결합시킨 이 책은, 불을 사용한 요리를 인류가 언제 왜 시작했는지를 다룬다.
'불로 요리하기'가 인간과 침팬지를 가르는 기점으로 보고 인류의 진화를 다룬다.
제목을 자극적으로 지었지만, 요리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안 나오니 참조하시고.
비슷한 책이지만 좀더 주방에 집중하는 <포크를 생각하다>에서도
불을 사용해 요리하는 것이 얼마나 혁명에 가까운 일인지 역설하는 것을 보면
'불'과 '뜨거움', '요리'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