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없는 남자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라카미 하루키의 최근 단편집 <여자 없는 남자들>을 완독했다.

작품이 실린 순서대로 짧은 평을 남겨본다. 그 중 기억에 남는 작품은 '드라이브 마이 카'와 '기노'다.

 

 

드라이브 마이 카

(내가 보기에) 완벽주의자인 한 남자가 여성 운전수를 고용한다. 이 남자와 여자 사이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묘한 긴장감이 흥미롭다.


예스터데이 

섹스를 하지 못하는 남자, 여자 사이라는 건 하루키의 오래된 주제 같다. 그 사이에 끼인 와타나베 스타일의 반듯한 젊은 남성 캐릭터도. 게다가 그 여자는 외모와 지성, 모든 것이 완벽하다는 함정도. 

 

독립기관  

여러 여자를 가볍게 만나고 지내던 독신남이 어떤 변화를 겪는다. 스토리의 끝이 무척 시시하다. 별로다.

 

셰에라자드  

어떤 상황 때문에 갇힌 공간에 있는 남자에게 어떤 여자가 찾아와 들려주는 천일야화 같은 이야기. 재미는 있는데 남는 게 없네.

 

기노   

이야기는 흥미로운데 설정의 어떤 부분이 비현실성을 띄고 있어서 아쉽고, 마무리가 붕 뜨는 느낌.

하루키의 환상문학 설정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이런 건 장편에서 나오는 게 더 좋다.

기노가 운영하는 '기노'라는 이름의 바. 고양이가 어슬렁거리고 주인장과 손님 사이에 적당한 거리감이 있는 그 공간은 마음에 든다.

 

사랑하는 잠자 

카프카의 '변신'을 차용. 주인공 이름마저 그레고르 잠자. 읽다가 관뒀다. 짜증나서. 

 

여자 없는 남자들

수필로 쓸 걸 왜 소설로 썼나 싶은, 여자에 대한 그냥 막 뜬구름 잡는 이야기.

 

 

 

어떤 사람들을 하루키를 좋아하는 걸 부끄러워한다고 한다.

특히 작가층이나 식자층. 그러고 보면 국내 판매량에 비하면 비중있게 다뤄지지는 못하는 것 같다.

순문학도 아니면서 뭔가 분위기로 승부한다는 오해(혹은 진실)가 <노르웨이의 숲(상실의 시대)> 이후 줄곧 따라다니는 느낌.

나는 그런 견해는 잘 모르겠고 하루키의 어떤 소설은 굉장히 재미있고, 나는 그런 재미있는 장편들이 좋다. 약간 설정이 비현실적인.

힘을 뺀 에세이도 꽤 좋아한다.

 

<여자 없는 남자들> 총평 : 하루키 월드는 여전하다는 걸 증명했으나 실망스러운 작품이 섞여 있었음.

 

 

사족 : 미안하지만 이번 표지 디자인은 정말 별로다, 라고 생각하며

일본어판을 찾아보니 이런 모습이다.

 

 

일본어판은 실린 단편 중에 '기노'의 바와 고양이에서 모티프를 따왔고

한국어판은 '여자 없는 남자들'의 달의 뒷면 운운하는 부분에서 따온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