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란한 보통날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에쿠니 가오리가 연애나 결혼이 아닌 '가족'을 다룬 소설이라 이채로운 '소란한 보통날'의 원제는 '流しのしたの骨(수채 밑의 뼈)'다. 작품에서 어머니가 아이들에게 어릴 때 들려줬던 무서운 이야기에 등장하는 '수채 밑의 뼈'. 아이들은 자라서도 그 이미지를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사실 이 제목을 그대로 번역했으면 추리소설로 오해받았을 수도 있겠다. 별다른 사건 없이 잔잔하게 전개되는 이 소설과 한국 제목 '소란한 보통날'은 참 잘 어울린다.
소요, 시마코, 고토코, 리쓰. 네 명의 자녀를 둔 평범한 가족. 그들의 일상이 잔잔히 흘러간다. 큰 사건은 하나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혼 같은 사건도 그냥 슥슥 스케치하듯 무심하게 흘러간다. 바로 에쿠니 가오리만의 장기인 쿨한 문장으로 채워진다. 이를 흉내내는 작가들은 많지만 에쿠리 가오리만이 원석이라는 느낌이 든다. (최근 읽은 <초초난난>도 그랬고. 비슷하게 따라하지만 가짜라는 느낌.)
가족들에게는 그 가족만이 주고받는 신호와 룰이 존재한다. 가령 이 가족에게는 엄마의 '주워온 나뭇잎이나 돌 같은 걸로 식탁 꾸미기', '집안일을 하면서 자녀에게 책읽기나 집안일 돕기 중에 선택하게 하는 일' 등이 있다. 그런 것들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또 화자인 고토코는 성년이 되면서 남자친구를 사귀는데 소설 내내 '후카마치 나오토'라는 이름과 성 전부를 호칭한다. 남자친구의 이름을 친근하게 부르지 않음으로써 두 사람이 데이트하는 장면에는 풋풋한 첫사랑의 분위기와 긴장감이 감돈다. 이러한 디테일이 에쿠니 가오리답다고 할 만하다.
가족들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다같이 장을 보러 가서는 한가득 사오는 장면에서 '카스 워터 크래커'가 목록에 등장한다. 치즈와 와인과 곁들여 먹으면 맛있는 크래커, 반갑다. 뭐 이런 취향의 공통점.
너무 밋밋하고 심심한 소설이어서 처음 에쿠니 가오리를 읽는 독자라면 다른 작품부터 먼저 찾아 읽을 것을 권한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쿠폰하고 책, 어느 쪽이 좋니?"
엄마의 물음에 나는 "책."이라고 대답하고 따끈따끈한 브리오슈를 한입 가득 오물거렸다. 가게에서 받은 쿠폰은 쿠폰칩에 일일이 풀로 붙여야 한다. 쿠폰첩 한 권에 500엔이 할인된다. 엄마는 거실 테이블에 쿠폰첩을 펼쳐놓고서 깡통 뚜껑을 열고 손에 풀을 든다.
"그럼 이 책 좀 읽어줄래. 또박또박. 책갈피 껴 있는 데부터."
-161p
|
|
|
|
![](http://blog.alad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타인의 집 안을 들여다보면 재미납니다.
그 독자성, 그 폐쇄성.
가령 바로 옆집이라도 타인의 집은 외국보다 멉니다. 다른 공기가 흐릅니다. 계단의 삐걱거림도 다릅니다. 비상약상자에 담긴 약의 종류나, 곧잘 입에 담는 농담, 금기 사항이나 추억도.
그것만으로도 저는 흥분하고 만답니다.
그 사람들 사이에서만 통하는 룰, 그 사람들만의 진실, 소설의 소재로 '가족'이란 복잡기괴한 숲만큼이나 매력적입니다.
-작가 후기
|
|
|
|
![](http://blog.alad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