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보고는 무슨 장르인지 짐작할 수 없다.
여기저기 리뷰들을 잠깐 보아도 "미스테리와 관계있기는 한데.." 정도의 애매한
말만 써 있어서 도무지 내용을 짐작할 수 없었다.

온다 리쿠, 삼월은 붉은 구렁을

서술어가 생략되어 있다. 이게 참 미묘하다.

삼월은 붉은 구렁을 - 삼키다/ 품다/ 건너다/ 돌다/ 음. 그리고...

내용도 도무지 종잡을 수 없다.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각 장이 독자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 기다리는 사람들
제 2장 이즈모 야상곡
제 3장 무지개와 구름과 새와
제 4장 회전목마

제1장은 어느 회사원이 기업의 회장댁에 초대받아 2박 3일을 보내는 이야기.
네 명의 노인들과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하 삼월)'이라는 책의 존재를 둘러싼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가운데 이 '삼월'에 대해 대략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미스테리 팬들인 노인들의 수다로만 페이지를 채우는 것 같으면서도 꽤 재미있다.

제2장은 여성 편집자 둘이서 기차 여행을 하며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라는 책의
저자를 추리하는 이야기. 구성이 좀 심심하긴 해도 1장과의 연관성 아래 읽으면 흥미롭다.

제3장은 아름다운 이복자매의 죽음을 둘러싼 의문을 풀어나가는 이야기.
'삼월'의 3부 '아이네 나하트 클라이네 무지크'에 나올 법한 전형적으로 아름다운 주인공들과
그들의 무서운 핏줄을 밝혀내는 추리소설 기법이 매혹적인 이야기.

제4장은 이 소설을 쓰기 위한 구상, '회전 목마'라는 제목의 글을 시작하는 여러 버전,
어떤 학교를 둘러싼 괴담, 그리고 어떤 여성의 여행을 병치시키고 있는데
좀 산만하기는 하지만. 작가의 소설 구상의 방법 같은 걸 엿볼 수 있다.
특히 학교 괴담은 다른 장편소설로 발전시켰다고 하는데 읽어 보고 싶다.
!이 학교 괴담은 내가 좋아하는 <아웃사이더 아트>의 한 사람인 병원 잡역부의
그림 시리즈에서 힌트를 얻은 듯하다!

아, 그래서 '삼월'을 읽지 못한 이 독자는
그 '삼월'을 읽고 싶어지며 바깥의 소설도 이리 재미있는데
그 진짜 '삼월'은 얼마나 재미있을까 궁금하게 되는 것이다.
이 소설에 대한 리뷰들이 도무지 종잡을 수 없었던 이유를 알겠다.

소설의 핵심이 '이야기'이고
이야기의 핵심이 '(쾌감을 주는) 좋은 플롯'에 있음을 작가는 말한다.
소설이 작가가 하고 싶은 말 따위를 하는 도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걸작이 아니라도 좋으니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달라'는 소박한 독자의 소망을 잘 아는 작가이다.

작가 따라 읽기를 하고 싶으나
존 파울즈('프랑스 중위의 여자'의 바로 그! 작가)의 '콜렉터'는 품절이고
이와는 다를 것 같은 작가의 다른 소설 '밤의 피크닉'을 읽으러 가야겠다.

-2006년 5월 6일 네이버 블로그에서 작성. 이 책으로 온다 리쿠를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