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저드 베이커리 - 제2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구병모 지음 / 창비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한국 소설이 많이 변했구나, 라는 것이 책의 초반부를 읽은 소감이었다. 문장은 짧고 발랄해졌으며 문투는 거침없고 환상과 현실은 넘나든다.
이 소설의 초반부는 꽤 성공적으로 보인다. 호기심 유발에 성공했다고나 할까, (그러고 보니 소설 속에서 단 한 번도 이름이 불리는 적 없는) 한 소년의 불행한 운명을 지켜보는 심정은 조마조마하다. 동화 속에나 나올 법한 계모의 구박, 그러나 너무 정교하교 교묘하여 구박이라 부르기에도 애매한, 학교 교사이기도 한 계모와 소년의 감정 싸움을 지켜보는 독자는 불편하고 아슬아슬한 심정이 된다.
그런 소년의 탈출구는 동네의 작은 빵집, 위저드 베이커리. 아침도 저녁도 빵으로 때우는 소년에게, 수상한 재료로 만든 마법의 빵을 온라인사이트에서 판매하기도 하는 이상한 빵집, 이상한 아저씨. 그는 소년에게 어떤 존재가 될까, 그는 정말 수상한 마법사일까? 소설이 중반부를 넘어가면, 이야기가 좀 황당해지는데 환타지를 가미했다 생각하면 큰 문제는 없다.
다만, 마지막에 작가는 소년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2가지 운명을 다른 모습으로 제시하는데, "인간의 노력으로 뭔가 이룰 수 있다"고 조언하는 게 아니라 상당히 결정론적인 입장이라서 그건 좀 아쉽다. 소년의 아빠는 그런 사람일 뿐이고, 소년은 아무 영향도 미칠 수 없는 걸까? 그리고 현실의 어른들은 모두 문제 투성이고, 환상의 어른은 좋은 사람이라는 이분법도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아무튼 성장소설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그런 작품이었다. 읽으면서 싸구려 대보름크림빵이 어떤 맛일지, 새삼 궁금해졌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나는 언젠가 스스로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무언가를 두 손에 쥐게 되면, 그대로 떠나버릴 사람이야. 그때까지만 나를 참아주면 안 될까, 당신. 그냥 좀 무거운 공기가 옆에 있다고 생각해주면 안 될까. 당신이 필사적으로 그리고 싶었던 가족사진, 그것이 영원한 화석이 될 때까지, 거기서 나 좀 빼주면 안 될까. – 33쪽
|
|
|
|
![](http://blog.alad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그렇게 뜯어먹는 사이에 무언가 손에 미끈거리는 게 묻었다. 손가락을 빨아보니 땅콩 맛이 났다. 둥근 대보름빵이 4분의 1 깊이나 먹었을 때 비로소 땅콩버터 크림이 처음 나온 것이었다. 최소 비용과 최대 효율 같은 경제 원칙이라곤 전혀 모를 나이였지만, 나는 크림이 이제야 나온 것이 매우 부당한 일이라는 걸 직감했다. – 105쪽
|
|
|
|
![](http://blog.alad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