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처
카밀라 레크베리 지음, 임소연 옮김 / 살림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고고해 보이던 <얼음공주>에 비해 <프리처>의 제목과 표지는 너무 노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너무나 근사한 그녀의 작품을 피해갈 수는 없지. 그리고, 읽어보니, 완벽하다!  

배경은 피엘바카, 주요 등장인물도 전작과 동일하다. 에리카와 그녀의 남편 파트리크 형사. 이번에는 에리카가 아닌, 파트리크가 사건 해결의 중심이다. 에리카는 임신 말기로 묘사되어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 (임산부라면 공감 가는 그 묘사들은, 작가가 세 아이의 어머니라는 사실을 드러내는 듯해서 흥미롭다) 파트리크가 속한 경찰서의 인물들도 여전하여 무능한 서장, 사고만 치는 뚱보 형사, 노회하고 태만한 늙은 형사(이번 작품에서 변화의 기미를 보인다), 의기충천한 젊은 형사 마르틴 등이 친근하게 느껴진다. 두 번째 만남이라 그런지. ^_^ 

사건은 20년 넘게 실종된 두 소녀의 유골과 최근 살해된 젊은 여성의 시체를 발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두 죽음은 관계가 있는가, 있다면 어떤 미치광이가 그녀들은 그런(어두운 곳에 가두고 뼈를 하나씩 부러뜨리는) 방식으로 살해했는가가 스토리의 초점이다. 이를 해결하면서 파트리그 형사는 곳곳에서 훌트 가문의 흔적을 발견하고, 그 집안의 광기와 모순을 파헤치게 된다. 기독교의 모티프를 차용한 듯한 훌트 가문의 이름들 또한 흥미롭다. 에프라임(아브라함?), 가브리엘, 요한네스(요한), 야곱 등. 아마 성경의 어떤 스토리와 연관이 있을 듯한데 어릴 때 들었던 거라 가물가물하다. 

구성 방식은 촘촘히 수십 명의 관점에서 전개되는데 그 속도가 빨라 첫 몇 줄을 읽을 때는 어, 누구에 대한 이야기지 하고 어리둥절해지기도 한다. 읽는 사람도 이 모양인데 쓰는 사람은 얼마나 머리가 아팠을까?! 그러니 카밀라 레크베리는 천재가 틀림없다.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만큼 범죄와 관계없는 흥미로운 사실들도 알게 된다. 스웨덴 피엘바카에는 친척들이 여름 무더위를 피해 피서를 온다는 것, 괴로운 친척에 대응하는 에리카의 방식은 풋, 통쾌했다.

마지막 결론은 참 놀랍다. 단지 '범인이 그 사람이었어?" 정도의 반전이 아니라, 그런 종류의 살인에서 으레 그럴 거라고 생각되는 결말과는 너무 다르다. 그리고 참 슬프다. 읽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의 불행이 (꼭 무덤에서 여러 개의 손들이 올라오듯이) 아우성치듯 느껴지는데 결말도 그러하다. 특히 1979년에 죽어간 그녀들의 독백은 잔인한 묘사 없이도 너무나 잔인하게 읽힌다.

출판사에서 '차세대 애거서 크리스티'라는 별명을 홍보하는데 애거서 크리스티와는 작품 색깔이 너무 달라 좀 당황스럽다. 그만큼 이 작가가 위대함을 설명해주는 문구라고 보면 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