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가 피지 않는 여름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윤수 옮김 / 들녘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가의 전작 <섀도우>는 나의 최악의 미스테리 중 하나였다. 불완전한 아이를 주인공(피해자)으로 내세워 책을 읽는 내내 불안감을 조성하는 방식이나 독자를 기만하는 듯한 서술 트릭도 그다지 내 취향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해바라기가 피지 않는 여름>은 색다른 미스테리일 거라는 기대감을 한껏 안겨줬다. 결론적으로 절반의 만족이었달까. 

여전히 소설의 화자는 9살 남자아이 미치오. 왕따를 당하는 친구 문제로 고민하고 엄마의 차별로 괴로워하는 보통의 소년. 그러다가 친구 S의 죽음을 목격하고 그 죽음의 원인을 파헤치게 된다. 아이는 불완전한 존재다. 주위의 어른들, 부모나 탐정, 형사, 교사의 도움도 없이(도움은커녕 엄마와 이마무라 선생의 방해와 위협을 무릅쓰고) 미치오는 3살짜리 여동생 미카와 사건을 해결하려고 애쓴다. 

이 소설은 추리물의 외피를 쓴 호러물이라고 보인다. 죽은 친구는 거미로 환생하고 이런 장면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라고 독자에게 강요하며, 계속해서 무슨 새로운 사건이 벌어질 듯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사실 1/3 지점까지는 상당히 무서웠다. 뒤로 갈수록 무서움보다는 '도대체 어떤 결론을 내려는 거야?'라는 조급함이 더 커졌지만. 다른 독자들의 리뷰처럼 이 소설에서는 결론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마지막에 나오는 아래의 대화는 지금 독자가 읽고 있는 건 소설이고, 이야기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대놓고 뻔뻔하게 서술한다.  

정통 추리물이 아닌 환상적인 스토리와 호러가 가미된, 온다 리쿠 류를 좋아한다면 추천할 만한 책이다. 가장 비슷한 분위기의 책으로는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아시하라 스나오의 <물총새의 숲 살인사건>을 꼽고 싶다. 

   
 

할아버지는 나에게 아주 단순한 질문을 했다. "너는 이대로, 만족하냐?" (중략) "만족하지 않아요." 나는 대답했다. "그래." 할아버지는 약간 쓸쓸한 목소리로 말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대로 만족하지 않다면?" "부숴야겠죠." " 뭘 말이냐?" "이야기를요." "이야기를 부술 수 있겠냐?" "할 수 있어요. 간단해요." 나는 천천히 일어섰다.  -44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