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남호 지음 / 현대문학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를 먹어가면서 소설을 잘 읽게 되지 않는다. 그만큼 허구의 세계에 대한 흥미가 떨어졌다고 해야 할까, 아님 다른 사람들 말처럼 현실이 소설보다 더한데 소설을 읽는 재미가 없어졌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시를 많이 읽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시집을 간혹 사서 보기는 하지만, 시에서도 분명 멀어지고 있는 상태다.

 

이런 현실에는 내 상태도 문제지만 소설이나 시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본다. 도무지 소설의 내용이 맘에 와 닿지 않고, 시는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수 없는 시가 더 많기 때문이다.

 

자기들만이 이해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문학작품. 그것이 문학사적으로는 가치가 있을지 몰라도 현실의 독자들에게는 아무런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

 

무슨 호사취미도 아니고 제가 감동을 받지도 못하고 이해도 하지 못하는 작품을 읽는 독자는 있더도 아주 소수일 뿐이기 때문이다.

 

문학작품도 이렇게 읽지 않는데, 문학비평에 관한 책을 읽을까? 하나마나 한 소리다. 누가 읽겠는가. 기껏해야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거나, 학자들이거나, 문학을 업으로 먹고사는 몇몇 사람들 이외에는 문학비평이란 서가에서 긴잠을 자고 있기 일쑤일 뿐이다.

 

그럼에도 문학비평서가 끊이지 않고 나온다. 문학하는 사람들도 남들의 시선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들의 마음을 글로 표현해 내 꾸준히 내고 있지만, 비평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그들 역시 자신이 읽은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으면 몸살이 나는 사람들인가 보다. 팔리기는 커녕 읽히지도 않을 책을 죽어라고 내는 것을 보면 말이다.

 

비평가는 작가와 독자의 사이에 서서 둘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작가가 자신도 잘 모르고, 또는 자신만이 알게 표현한 내용들을 찾아내서 독자들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독자들에게 작품을 읽는 하나의 도구를 주는 사람들, 그들이 바로 비평가다. 그래서 비평가는 때로는 자신들이 작가보다 우위에 섰다고 하기도 하지만, 비평가와 작가는 문학의 쌍동이다. 둘은 샴쌍동이처럼 찰싹 붙어있는 존재다.

 

가끔은 둘을 분리하는 수술을 하지만, 이들은 본질적으로 붙어있을 수밖에 없는 존재. 따라서 작가도 자의식이 강하지만, 비평가 역시 그에 못지 않게 자의식이 강하다. 자신들이 어떨 때는 작가보다도 더 그 작품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그런 자의식.

 

이 책은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이남호 교수의 문학비평집이다. 문학에 대해서 그는 정통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현대 소설이나 시의 기괴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그도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그는 문학은 보편성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보편성이 문학을 문학답게 하고, 문학을 시대를 넘어서 존재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문학이 사라져 가고 있는 현실을 개탄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비평가는 보편성을 지닌 문학을 발굴해서 아직도 문학이 살아 있음을 독자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생각도 지니고 있다.

 

그런 생각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이 책의 제목이 된 '문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글이다.

 

문학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그는 이 글에서 '고요함 혹은 적막함의 공간, 내면성, 너그러움, 연민의 마음' 등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것들은 사람들이 세상을 잘 살아가는데 필요한 요소들이니, 문학에 필요한 것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요소들이 문학에 잘 드러나게 하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너무도 독창적일 필요가 없다는 거다. 문학이 문학다울 때는 인간이 지닌 보편성을 드러냈을 때라고 한다. 그것이 바로 지역을 넘어 세계화로 나아가는 길임을 '보편성과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글이서 잘 설명하고 있다.

 

이런 기본적인 틀을 가지고 그는 구체적인 시와 소설을 분석한다 그 작품들이 왜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결코 어렵지 않게... 그래서 그의 비평을 읽으면서 문학 작품을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된다.

 

훌륭한 비평이다. 작품을 읽을 마음이 생기게 하다니... 다만, 마지막 4부에는 미당 서정주에 대한 글이 나오는데... 이는 학술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서정주가 우리나라 뛰어난 시인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의 행적과 관련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니... 우선 그를 제외하고...

 

그렇더라도 이 책은 훌륭한 비평서이다. 여러가지 작품들을 일관되게, 즉 이 책의 첫부분에 나온 '문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에 따라서 분석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가 이야기한 요소들이 잘 들어 있는 문학작품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끔은 소설을 읽을 일이다. 시를 읽을 일이다. 읽어야 나름대로 평가를 할 것이 아닌가. 우선 작품을 읽어야 그 다음에 비평서를 읽어도 읽을 것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