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그림을 품다
여지선 지음 / 푸른사상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에 관심이 간다.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지는 못한다. 어쩌면 그림에 대한 감상법은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예전에 밀레와 바르비종 전을 보러 갔었는데, 그림을 보기보다는 그 많은 사람들의 뒤통수만 보다 온 기억도 있고, 또 얼마 전에 간송미술전에 갔을 때도 그림을 본다기보다는 미술관에 들어가기 위해서 기다렸던 그 긴 줄과, 들어가서도 그림을 볼 수 있는 시간보다는 뒷사람을 위해서 빨리 빨리 움직여줘야 하는 움직임만이 기억에 남을 뿐이었다.

 

그럼에도 그림에 관심이 간다. 그림을 통해 어떤 여유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그림을 통해 우리네 삶에 대해서, 삶의 모습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은 정적인데, 그 정적인 모습 속에서 동적인 모습을 찾아낼 수 있다. 가령 고흐의 구두란 그림을 보면 닳아빠진 구두 한 켤레의 움직이지 않는 그 그림에서 우리는 구두 주인이 겼어왔던 신산한 삶을 읽어낼 수 있다. 이처럼 그림에는 한 폭의 화면 속에 삶의 총체적인 움직임이 들어있다.

 

그래서 시와 비슷하다고 하기도 하나 보다. 시도 짧은 표현 속에서 우리 삶의 전체적인 모습을 담아내고 있으니 말이다. 이런 점에서 많은 시인들이 그림을 보고 시로 다시 표현하는 일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참으로 많은 시인들이 그림을 시로 다시 만들어내었다.

 

이 책에 나오는 화가들은 고흐, 뭉크, 렘브란트, 샤갈, 모딜리아니, 피카소, 마네, 콜비츠, 이중섭, 김정희다.

 

특히 우리나라 시인들이 사랑했던 화가로는 고흐와, 뭉크 그리고 샤갈이 있고, 우리나라 화가로는 이중섭과 김정희가 독보적이다. 이들의 그림과 그림에 대한 시에 대한 이야기가 읽기 편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 책을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가 있는데, 우선은 좋은 그림들을 볼 수 있다는 점이고, 다음은 그런 그림에 대한 시를 생략하지 않고 전문을 볼 수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화가들과 시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학술적인 책과 비평적인 책 사이에 놓일 수 있는 이 책은 일반독자들로 하여금 그림과 시의 대화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 대화는 결코 어렵지 않음을, 이 책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고나 할까.

 

그림과 시를 통해서 표현된 삶을 읽어내는 일은 우리의 삶을 파악하는 일과 통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단순히 화가들의 그림을 감상하거나 시를 감상하는데서 그치도록 하지 않는다. 친절한 지은이의 설명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우리는 이 그림과 시들을 통해 우리의 삶과 마주치게 된다.

 

그 마주침을 통해 우리의 삶을 조금 더 풍성하게 만들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예술의 역할이고, 이 책은 그 역할을 그림과 시가 나누어서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덧글

 

조금 아쉬운 부분은 늘 오탈자다.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 문제지만, 적어도 정확한 사실을 전달해야 하는 부분에서 나오는 오탈자는 치명적이다. 그런 부분을 바로 잡아야 한다.

 

26쪽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해바라기>는 1988년에 그려진 ->이를 1889년에 그려진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50쪽 오태환의 시 빈센트 반 고흐 1988은 -> 빈센트 반 고흐 1888로 바꾸어야 하고,

62쪽 휘몰아치는 밀발은 -> 밀밭이어야 하고,

111쪽, 153쪽, 250쪽의 국회위원은 -> 국회의원이어야 하며,

142쪽의 이상(李霜)은 -> 이상(李箱)이어야 한다.

그밖의 것이야 소소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