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와 문학비평 - 권영민 평론집
권영민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와 소설을 읽고 한 번 정리를 해보는가? 

읽으면서 나름대로 생각을 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옮기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그냥 이 책은 이런 점에서 좋았어, 이 시는 이래서 마음에 들어라고 생각하거나 말하고 말지 않았던가. 

이보다 좀더 세심하게 읽는 사람은 자신이 읽은 감상평을 글로 옮겨 적어놓는다. 글로 정리할 때 그냥 머리로만 생각했을 때보다는 좀더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읽은 책들에 대한 감상을 글로 정리하는 습관을 지닌 사람이 그 책에 대해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들 대부분은 자신의 감상을 중심으로 정리를 한다. 그냥 이래서 마음에 든다. 이래서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런 면이 좋다. 이런 면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등 

물론 문학은 백 사람이 읽으면 백 개의 해석이 나온다고 하지만, 그 해석들이 다 옳다고는 할 수 없듯이 그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뽑아낼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 

그 무언가를 제시해주는 사람이 비평가, 평론가이다. 이들은 우리가 미처 찾지 못했던 것들을 찾아 우리에게 제시해 준다. 그리고 이런 쪽으로 생각해 보라고 권유도 한다. 이런 비평가의 글과 자신이 읽고 쓴 감상문을 비교해보면 문학 작품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그 작품이 어떤 면에서 평가를 받아야 하는지 생각할거리를 얻을 수가 있다.  (물론 비평가의 해석이 모두 옳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우리들 자신도 바로 비평가와 대등한 책읽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비평가의 해석은 내 해석의 참고자료일 뿐이다.)

비평가들도 문학작품을 역사적으로, 그리고 당대의 상황을 고려하여 비평을 하지만, 좀더 과학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해석을 하는 사람들은 문학사가들이다. 이들은 비평가들의 논의를 종합하여 문학작품의 시대적 의미와 문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이 책은 비평가로서의 모습과 문학사가로서의 모습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에 나오는 '즈려밟고'라는 구절에 대한 작가의 해석을 보면 작가는 문학사가로서의 모습을 아주 잘 보여주고 있다. 낱말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는 모습, 그러한 읽기의 전범을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개인적으로 그 '즈려 밟고'의 해석이 참신하게 다가왔고, 지금까지 학교에서 배웠던 해석에서 느꼈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았다고나 할까? 

그래서 이 책의 백미는 바로 1부다. 시적 언어의 해석 문제 1,2,3,4 

김소월, 김영랑, 정지용, 이육사. 

모두 우리에게 친숙한 시인들이고, 어른이라면 모두들 학창시절 한 번쯤은 이들의 작품을 배웠던 기억을 지니고 있으리라. 그리고 의문을 지니고 있었든, 그냥 교사의 해설을 받아들였든 별다른 고민없이 지나쳤던 언어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특히 앞에서 언급한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이육사의 "절정"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특히 절정이 끝부분,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가슴을 울리는데, 도대체 강철과 무지개가 연결이 되지 않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저자 나름의 해석을 근거를 동원하여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시를 마음으로 읽고 감동을 받을 수도 있지만, 이렇듯 이성적인 읽기를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도록 만들었다. 

2,3부도 읽을 만하지만 문학을 공부하려고 하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한 때 문학을 공부했던 사람이라면 4부가 많이 도움이 되겠단 생각을 했다. 

문학비평이 개인의 생각이 아니라, 남들에게 인정받는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잡았다면 어떠한 비평을 해야 하는가 생각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챡을 읽고, 그냥 자신만의 감상으로 문학작품을 끝내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한 비평을 읽는 것도 문학을 향유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단 생각이 들어 좋았다고나 할까. 

 

덧말 

명창 이동백과 판소리의 변모에서 이동백의 출생과 사망년도가 좀... 

217쪽에 1967년 충남 서천 비인의 도마니라는 마을에서 -> 1867년의 오자일텐데... 

237쪽 해방직후 1947년 이동백은 세상을 떠났는데...이렇게 되어 있는데, 인터넷을 찾아보면 이동백은 1950년에 세상을 떠났다고 나오는데, 어느 쪽이 맞는지 그걸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