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펜의 시간 - 제2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김유원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불펜의 시간'이라니. 불펜은 마운드가 아닌 마운드에 오르기 위해 준비하는 곳 아닌가. 어떤 선수는 불펜 투수라는 이름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기도 하는데...


불펜은 그래서 밝음과 어둠으로 굳이 나눈다면, 어둠 쪽에 가깝다. 물론 프로야구에서 불펜 투수를 한다는 사실은 프로가 되지 못한 다른 선수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남에게 주목받지 않는 삶. 그런 삶을 불펜의 삶이라고 할 수 있다면, 불펜을 마운드에 오르기 위한 과정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


마운드에 오르기 위해 준비하는 장소를 불펜이라고 한다면, 불펜의 시간은 노력과 기대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소설은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화려한 마운드의 삶을 보여주지 않고, 불펜의 삶이 아름다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화려한 마운드에 서려고 하지만 설 수 없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이 없다면 마운드에 선 사람들도 제대로 활동할 수가 없다.


자신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경기를 책임질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불펜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그런 불펜의 도움으로 자신들이 더 빛날 수 있다.


하지만 마운드에서 화려한 조명을 받는 사람이 불펜의 고충을 알까? 불펜에서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는 사람의 마음을 알까? 어쩌면 불펜은 경쟁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설 수밖에 없는 자리라고도 할 수 있는데...


소설에서 말하는 불펜의 시간은 그래서 마운드에 서기 위해 준비하는 미래의 영광을 대비하는 노력의 시간이라고 할 수가 없다. 오히려 경쟁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삶을 찾아가는 사람들이 맞이하는 시간이라고 해야 한다.


본래는 밀려난 삶을 불펜의 삶이라고 하려고 했는데, 아니다. 소설의 주인공 가운데 한 명인 혁오를 통해서 불펜의 삶이 타의에 의해서 밀려난 삶, 능력이 부족해서 밀려난 삶이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삶일 수 있음을 알게 된다.


고등학교까지 최고의 투수였던 혁오는 진호의 죽음으로 트라우마에 시달린다. 그러다 그는 깨닫는다. 


'왜 소수의 선수만 프로가 되는 거야? 왜 1군과 2군을 나누는 거야? 왜 굳이 연장 게임을 해서까지 승패를 가리려는 거야? 연봉과 성적은 왜 다 공개하는 거야? 왜 모두 승자가 될 수 없는 거야?' (157쪽)


'그래서 혁오는 결단했다. 남들과 다른 방식의 야구를 하기로. 이기는 것을 욕망하지 않는 스포츠를 하기로. 어제까지의 세계, 프로야구 역사와의 대결을 포기하고 가장 꿈꾸었던 기록과의 대결과 포기하고, 죄책감을 느끼지 않아도 되는 자기만의 리그를 개설하기로.' (158쪽)


프로라는 세계는 경쟁의 세계, 야구가 기록과의 싸움도 되지만, 다른 선수와의 경쟁도 치열하다는 사실. 그런 경쟁에서 밀려난 사람들은 야구계에서 은퇴해야 한다는 사실. 소수만이 프로가 되는 비정한 현실을 깨달은 혁오는, 자신만의 경기를 하기로 한다.


승부와 관계가 없는, 이기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 자신이 세운 계획대로 하는 야구. 그는 중간 계투로 프로선수로서의 생명을 이어간다. 불펜 투수인 것. 불펜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인데, 이를 자신의 의지로 해나가고 있다.


사람들이 그를 비난해도 그는 밀려나지 않는다. 이미 자신의 세계를 개척했기 때문이다. 소설의 마지막에 독립리그에서 프로선수가 되기를 꿈꾸지 않고 야구를 하는 혁오의 모습이 그것을 보여준다.


이런 혁오의 삶에 감동을 받은 사람. 경쟁, 남보다 앞서 가겠다고 아등바등 특종에 혈안이 되어 있던 기현이라는 기자. 그 역시 신문사에서 밀려난다. 하지만 자신의 삶을 찾아간다. 그렇다. 꼭 남에게 잘 보이면서, 굽신거리면서 사회 생활을 할 필요는 없다. 이런 기현도 신문사에서는 '불펜의 시간'을 견뎌야 했다.


편집장과의 갈등으로, 그런 기현을 바라보는 동료들의 시선으로부터, 기현은 불펜이 아니라 퇴출이 될 위기에 처한다. 물론 퇴출이 아니라 퇴사다. 스스로 나온다. 다른 길을 찾았기 때문이다. 남 눈치를 보면서 기사를 쓰지 않아도 되는 방법을 찾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현이 다시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은 함께 지내는 새롬이 한 말, '작아도 단단한 것, 어쩌면 작아서 단단한 것.' (238쪽)의 의미를 깨달았기 때문이다. 


또다른 주인공 준삼에게도 '불펜의 시간'이 다가온다. 혁오는 야구장에서, 기현은 신문사에서, 준삼은 대기업에서 '불펜'으로 내쳐진다.


견뎌내지 못한 준삼에게 혁오가 포기하지 않고 공을 던지는 모습은 그에게 다시 시작할 힘을 준다. 


'누구나 아름다움의 조각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에겐 서로의 조각을 자극할 힘이 있음을. 나도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확신이 준삼의 마음에 찾아왔다.' (  251쪽)


이렇게 소설은 불펜의 시간을 보내던 세 사람이 모두 자신의 삶을 잘 살아낸다는 희망으로 끝난다. 희망이다. 절망에 겨워 '아아아아아아아아' 소리만 내지르는 사람이 아니라, 이제는 다른 사람의 눈에 비치는 삶을 살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사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아름다움을 찾아내 그것을 펼쳐보이는 삶을 살 수 있다는 희망.


그렇게 되기 위해 '불펜의 시간'을 거쳤을 그들을 소설은 보여준다. 서로 다른 인생을 사는 세 사람이 야구라는 공통 분모를 통해 각자 자신의 삶을 찾아가는 모습을... 아니 혁오를 통해 준삼과 기현이 마운드의 삶이 아니라 불펜의 삶도 아름다울 수 있음을 깨달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세 사람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다 보면 소설은 어느 새 끝나 있다. 그리고 '불펜의 삶'이라고 생각했던 내 삶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된다. 


모처럼 마음이 청량해지는 소설을 읽었다는 느낌... '연꽃'이 떠올랐다고 해야 할까? 무더위에 그다지 깨끗한 물이라고 할 수 없는 연못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연꽃. 지금 이 시대의 모습을 소설에서도 볼 수 있는데, 혁오의 삶이 바로 연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엉킨 마음이 풀리는 그런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