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으로 읽는 중국사 - 중국을 만든 음식, 중국을 바꾼 음식
윤덕노 지음 / 더난출판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요리하는 것과 같다" 도덕경에 나온 말이란다. 내가 갖고 있는 오강남 번역의 [도덕경]을 보니 60장이다. 이 말은 요리와 정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말이다.


잘 연결이 안 되는가? 단순하게 생각하면 된다. 지금도 세계 정치인들이 모이면 무엇을 하는지 살펴보면 된다. 이들은 소위 정상회담을 하기도 하지만, 꼭 만찬을 한다. 만찬, 함께 모여서 식사를 하면서 이야기하는 시간.


정치인들이 만찬을 하는 이유는 그 만찬을 통해서 정치적인 조절을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경의 이 말이 그냥 나온 말이 아니다.


요리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중국에서 정치가로 명망 높은 사람이 강태공이다. 강태공, 낚시꾼의 대명사 아닌가. 그는 물고기를 낚지 않고 세상을 낚는다고 했다. 역시 음식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작은 생선을 요리하려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재료에 대해서도 또 불에 대해서도, 그리고 음식을 먹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작은 요리를 하는 것처럼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정치를 한다면 그 나라는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음식과 정치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고 봐야 한다. 어떤 음식이 유행하느냐에 따라 그 사회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음식과 정치, 또는 문화를 중국과 관련지어서 이야기하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많은 음식이 나오지만 족발이 과거 시험에 합격하기를 기원하는 음식으로 쓰였다는 이야기는 새롭다. 


당나라 때는 과거 시험이 끝나 장원 급제자가 나오면 붉은색 먹으로 급제자의 이름과 답안지 제목을 적어 당나라 수도였던 장안에 있는 대안탑에다 붙였다. 이렇게 장원 급제자의 이름과 시제를 붉은 글씨로 적은 대자보를 '주제(朱題)'라고 했다. 중국어로는 '주티'다. 그런데 이 주티와 돼지족발을 뜻하는 '주티(猪蹄)'가 발음이 같다. (269쪽)


우리나라도 대학 입시철이 되면 엿을 사주는 풍습이 있지 않았나. 엿이라는 음식에서 더 나아가 포크나 두루마리 휴지까지 갔으니... 음식은 기본적으로 우리들 실생활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중국에서 돼지고기를 지금처럼 많이 먹게 된 시기가 얼마 되지 않고, 명나라 이후부터라는 것이 이 책에서 하는 말인데, 돼지고기를 많이 먹지는 않았지만 과거 급제를 위해서는 먹는 음식이 되었다고 해야 하나.


동파육이라고 해서 송나라 때 소동파가 즐겼다는 돼지고기가 있어서, 중국 사람들은 옛날부터 돼지고기를 많이 먹었다고 생각했는데, 중국인들에게는 양고기가 우선이었다는 것. 그러다 명나라 주원장 이후 돼지고기가 황실에서도 먹는 고기가 되었고, 지금은 중국인들이 돼지고기를 많이 먹게 되었다는 사실.


지금 중국의 영토나 인구가 세계를 압도할 정도인데, 이런 기틀을 마련한 시기가 청나라 때라고 한다. 그 청나라 때 고구마가 전래되어 식량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했다고 한다. 식량문제가 해결이 되면 인구는 급속도로 늘 수밖에 없다. 게다가 전쟁도 없는 평화 시기가 이어지니 인구가 늘 수밖에. 이렇게 음식과 사회는 연결이 된다.


이 책은 이렇게 다양한 음식들과 중국 역사, 문화를 연결지어 설명하고 있어서 흥미도 있고, 또 지식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