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송필환 옮김 / 해냄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라마구 소설 '~도시' 연작을 읽고 있는 중. 앞선 눈먼 자들의 도시와 눈뜬 자들의 도시가 경악, 공포를 불러일으켰다면, 이 소설은 그에 비해서는 차분하다는 인상을 준다.


그런데 그 차분함이 어쩌면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라는 제목에 맞는다는 생각이 든다.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가 무엇일까 생각해 보면서 읽는데, 내용은 단순하다. 등기소 직원인 주제 씨가 한 여인의 기록을 보게 된다. 그리고 그 여인을 추적하는 과정이 소설의 전부다.


왜 추적하는지, 무엇을 알려고 하는지도 잘 밝혀지지 않는다. 단순한 호기심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소설을 통해서 우리는 그 여인의 이름을 끝까지 알 수 없게 된다. 아니 이 소설에서는 이름을 지닌 사람으로는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주제 씨밖에는 없다. 다른 사람들은 거주지에 따라서 또는 직급에 따라서 불리고 있을 뿐이다. 이렇듯 이 소설에선 이름을 지닌 인물이 거의 없다. 그냥 이름 없이 살아갈 뿐이다. 아니, 이름이 있는데도 이름으로 불리지 못한다. 


그런 극단적인 예가 바로 주제 씨가 관심을 갖고 있는 여인이다. 그녀가 자살을 해서 공동묘지로 갔는데도 이름보다는 번호만이 남게 된다. 그것도 바뀐 번호로. 그렇다면 이름은 무엇일까? 정체성일까? 관계를 맺는 기초일까? 친근한 사람들끼리 이름을 부르면서 관계를 맺어가는데, 이름 없는 자라는 이야기는 관계 맺기가 안 된 사람이라는 뜻이 되지 않을까.


여기서 김춘수의 '꽃'이란 시를 떠올릴 수 있다. 이름을 부르기 전까지는 나에게는 관계가 없는 존재일 뿐. 사람들 관계도 마찬가지 아닐까? 사회 생활을 하면서 맺는 관계에서는 이름보다는 직급이나 다른 호칭으로 불릴 수도 있지만, 사적인 관계, 친밀한 관계가 되려면 서로의 이름을 불러야 하지 않나. 이름으로 불리지 않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형식적인 관계일 수밖에 없다.


여자는 주제 씨에게 기록으로 다가오지만, 그 기록을 우리는 알 수 없다. 여자가 다녔던 학교, 직장까지 찾아가지만 그것이 전부다. 왜 그녀가 자살을 했는지,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당연하다.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이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지금 대도시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바로 이렇게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에서 살아가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냥 기록으로만 남아 있고, 그 기록이 진실을 담고 있는지를 알 수 없는 그런 세상. 그러기에 사라마구의 이 소설은 익명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어떤 관계를 맺고 살고 있을까를 생각하게 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