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조로증에 걸린 열일곱 소년의 이야기.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확실한 결론 때문에 독자는 내내 마음이 아프다. 도대체 이 아이가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일 것인가. 17년 동안 육체적 나이인 80년 이상을 살아버리는 삶의 속도에서 주인공은 늙는다는 것을 알 수가 없다. 이미 제 몸은 늙었는데 본질은 17세인 소년의 황당함을 우리는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
소설을 통해 나는 육체의 나이가 정신의 나이와 함께 가지 않는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다만 17년의 시간이 80년 시간에 비해 터무니 없이 짧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예견된 죽음을 주인공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내 마음은 거기에 모아져 있었다. 소설 속 주인공은 너무 이른 죽음이 그렇듯이 죽기에는 아까울 만큼 아름답다. 모든 자식이 그렇듯이 아름이 부모에게도 아름이는 선물같은 존재다. 열일곱에 아이를 낳은 아름이 부모는 최선을 다해 부모가 된다. 아름이는 최선을 다해 자식이 된다. 부모보다 일찍 늙고 먼저 죽는 상황이 쉽게 이해되지는 않지만 아름이네 가족은 누가 뭐라하든 부모 자식의 관계를 지키는데 그 과정이 내게는 무척 아름다웠고 눈물겨웠다. 철없는 열일곱살 짜리들이 그들 사회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일찍 어른 사회로 들어온다. 사회적으로 아름이 부모 또한 조로를 경험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좌충우돌 어렵고 고단하지만 아름이 부모는 조로증 걸린 아들을 통해 누구 못지 않게 어엿한 부모로 성장한다.
울다가 웃다가 하는 것은 이 모든 과정이 자못 유쾌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속에는 진지한 삶의 속살을 갖고 있다.
태아의 시선 혹은 느낌으로 엄마 뱃속에서 느끼던 바깥 세상, 태어나던 순간의 모습들, 엄마가 된 미라의 심리묘사나 아기가 있는 방의 기운들을 묘사한 장면들은 특히 내가 아끼는 부분들이 되었다. 이 책을 읽어보라고 한 지인은 작가가 글을 참 잘 쓴다고 했는데, 나 역시 작가의 시선이 시인의 시선과 같다고 느꼈다. 소설 곳곳에 시의 흔적들이 많다. 이 때 시의 흔적이라고 하는 것은 사유 혹은 인식의 깊이가 문장 문장에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tv프로그램에 나간 뒤 '서하'와 주고 받는 인터넷 편지는 결국 반전이 있기는 해도 주인공에게는 가장 반짝이는 순간이었다.
부모를 위해 쓴 글을 유언처럼 남긴 주인공이 엄마가 읽어주는 자신의 글을 들으며 묻는다. "어디예요?" 어디까지 읽었느냐라는 질문인데, 그건 마치 지금 내 목숨 혹은 내 삶이 어디까지 왔느냐라는 질문처럼 서럽게 들린다. 이제 곧 생의 시간을 마감해야 하는 순간, 그 생의 어느 순간까지 왔느냐는 말에 나는 울어버렸다. 좀 더 오래 여기 있고 싶어하는 마음이 내 마음 같아서, 그러면서도 부모도 없이 혼자서 그 길을 가야하는 어린 주인공의 두려움이 느껴지는 것 같아서, 어미된 자가 되어 내 아이를 그렇게 혼자 보내야하는 게 견딜 수가 없어서, 그 모든 과정에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없어서 한동안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었다. 소설에 이토록 흠뻑 빠져본 것이 오랫만이다.
독자가 되는 것은 즐겁고 행복하면서도 괴롭고 슬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