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야네 말 창비시선 373
이시영 지음 / 창비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은 언어를 달려 가고자 하는 곳이 대체 어디쯤일까.

이시영 시인의 석 줄 혹은 넉 줄 아니면 두 줄의 시는 할 말을 다함으로써 더 이상의 말이 필요 없음을, 우리가 얼마나 많은 말과 생각을 낭비하며 사는지를 증명한다.

 

머리가 쩡 갈라지는 것보다는 마음이 화끈 달아오른다.

심장이 간지럽고 손가락이 달싹거리면서

 

시끄럽게만 들리던 아침 까치소리,

아가의 숨넘어갈 듯 우는 소리,

경비 아저씨의 비질 하는 모습,

택배왔다고 외치는 소리가  이전과는 전혀 다른 말로 살아난다.  

 

독자가 나름의 감상으로 빈 공간을 채우는 것을 두고 발문을 적은 이는 그것이 여백 때문이라고 한다.

여백을 채우는 건 공감의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시집 곳곳에서 펄떡이는 시의 심장을 읽고 느꼈다.

 

몸이 얼었을 때 맨 살로 언 살을 덮어 몸을 녹이듯

마음이 얼었을 때 시를 읽는다면 아주 언 마음이  조금은 녹기 시작한다.

무엇보다 다시 녹기 시작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이 시집을 그녀에게 보낸 것은 그녀의 언 마음을 이 시집의 시들이 스쳐 조금씩 녹여주리라 믿었기 때문이다.

말 때문에 받은 상처를 이길 수 있는 말이 시라고 믿는다.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의 심장은 그만큼 따뜻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4-05-18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의 심장....
와, 좋아요.
뜨겁게 펄떡이는 시의 심장을 저는 왜 느끼지 못하는 걸까요.
각각의 시마다 피가 흐르고 있고 혈관이 있고 심장이 존재할 텐데...
그것을 모두 느낄 수 있을 때가 언제 올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