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거 : 몸과 허기에 관한 고백
록산 게이 지음, 노지양 옮김 / 사이행성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그녀의 고백을 통과하는 일이 내게 중요했던 것은 나를 비롯한 많은 몸들을 어떻게 봐야하는지 곰곰 생각해보게 했다는 것이다. 아름다움이 아니라 결핍의 결과로 몸을 보는 것은 아주 새롭고 다른 방식으로 타인을 사랑하는 방식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운이와 오복이 큰곰자리 37
김중미 지음, 한지선 그림 / 책읽는곰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작가 군의 말(작품)은 문학의 재미(예술의 자율성)에 앞서 주장(정치적 올바름)에 집중을 하게 된다. 내게는 김남중, 진형민, 이병승 그리고 김중미가 그렇다. 이들은 자본이 갈라 치는 계급의 위계가 어른들만의 일이 아님을 인식하고 폭력적 자본의 재배치 가능성을 작품의 의제로 삼으려 한다는 점에서 정치적이다.

김중미가 이번 이야기에서 목격하고 전달하는 것은 그야말로 자본주의 체제에서 자본에 의해 배제된 자들의 실재적 상황이다. 행운이네 가족과 오복이네, 기수와 익수는 자국 내 난민과 같은 존재들이다. 거주지는 불안하고 직업은 불안정하며 현실로부터의 탈출 가능성도 당분간 어려워 보인다. 이런 상황을 직면하는 우직함이 김중미다움이고 자본이 낳은 거의 모든 폐해가 나열된다는 점에서 부담스럽다. 하지만 그가 제시하는 함께 살기(연대) 가능성은 힘껏 지지하지 않을 수 없다. 지젝의 말처럼 이런 연대가 유토피아일 수 있으나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실제로 패배할 것이고, 패배함이 마땅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행위다.

김중미가 믿고 의지하는 인간의 선함과 그 선함을 구체적 행위로 이끌어가는 행운이와 행운이 아버지 같은 존재는 종교가 되어 버린 자본주의 사회가 기대하는 메시아적 존재일 것이다. 생존 가능 여부가 위태로운 상황까지 내려간 오복이와 기수, 익수가 계몽되는 듯 보이지만 차복이 설화가 전달하려는 상징적 의미에 주목해야 한다. 누군가의 으로 오늘을 산다는 이 오랜 전통은 네가 있어 내가 있고 내가 있어 네가 있다는 것이 사람 의 세계관이다. 이런 세상에서 일방적인 베품은 없다. 행운이와 오복이의 관계가 그렇고 행운이 아버지와 기수, 익수의 관계에서도 그렇다.

나눔과 연대가 이상적이고 낭만적인 기대에 불과하다고 투덜대는 소리가 들리지만 우리는 선택하는 주체들이다. 선택하고 행동하고 더 낫게 실패하는 것이 시급하고 일단 가 봐야 아는 과정이다.

행운이와 오복이, 익수와 기수, 행운이 아버지가 대신하는 우리 사회의 난민적 존재들이 함께 계획하는 여름휴가가 기대된다면 김중미의 선택은 옳은 것이다. 실현가능성과는 상관없이 하나의 지향점이 될 가능성이다. 싸워서 획득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도움(차복)에 의지하거나 자신이 누군가의 도움이 된다는 것을 믿는 것 또한 가능성이다. 그가 말을 바꿔가면서까지 차복이 설화를 두 번씩이나 인용한 이유를 귀 기울여 들어야하지 않겠나.

김중미가 제시하는 이 소박한 연대가 제국이 된 자본에게는 흠집 하나 낼 수 없는 계란 던지기라도 어쩔 수 없다. 하지 않는 것보다 뭐라도 하는 것이 중요하고 가장 평범한 우리는 사실 오래 전부터 그렇게 살고 있다.

아쉬움은 있다. 어른과 아이들의 삶이 다르지 않고 뫼비우스의 띠처럼 하나의 문제가 다른 문제의 원인이 된다는 인식에 동의한다. 그러나 과잉이 통쾌의 감정을 분산시키는 것을 막지 못 했다는 게 아쉽다. 소박한 연대가 즐겁지만 남은 문제가 너무 많아서 이 잠깐의 행복이 지속 가능한 것인가 불안한 것이다.

낭만에 가까운 동화적 상상에 머문 것은 이 작품의 정체가 동화이기에 피치 못 한 선택인지, 아니면 이 소박한 선함을 계급투쟁의 동력으로 확신하는 것인지 확실치 않다. 둘 다 여도 무방하지만 전자는 익숙하고 후자는 낯설다. 김중미가 작가의 말을 통해 하는 말은 분명하다. 선함의 힘을 믿는다는 것이고 그의 선언을 믿지만 아무래도 과정이 너무 유연한 것이 걸리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곰에게 잡혀간 우리 아빠 - 2019 경남독서한마당 선정도서, 2019 전주 올해의 책 선정도서 날개달린 그림책방 20
허은미 지음, 김진화 그림 / 여유당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곰은 아빠가 여행길에서 만나 낯선 곳에 이식된 존재이므로 우리 곁에 살기엔 어쩌면 가장 외로운 존재일지도. 나뭇꾼과 만나 살다가 떠나버린 오래전 선녀나 오늘의 불곰은, 바로 식구를 위해 엄마로 변신한 존재가 아닌가. 사랑하지 않으면 훌쩍 사라질지 모르니, 부디, 깊이, 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3-26 10: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숨살이꽃 문학과지성 시인선 505
최두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보고 자주 본다고 해서 도달할 수 있는 사랑이 아닐 것 같다, 여기 실린 집중들이! 시를 통해 ‘환해진다‘라는 아름다움의 한 순간을 경험할 수 있었으므로, 꽃이 오지 않은 이 계절을 견디게 될런지도. 온갖 것들로 상처받고 더렵혀진 감각들을 어루만져주는 꽃들이라니, 향과 샘이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도 복제가 되나요? 창비아동문고 291
이병승 지음, 윤태규 그림 / 창비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은 어김없이 감성의 회복에 기여할때 가장 빛난다. 이 동화들이 발견하려 애썼고-두려움, 부러움, 박탈감, 쓸쓸함 같은, 그 또한 매우 중요한 감각 속에서- 그래서 힘을 내는 미안함, 종이비행기만큼 발랄한 고마움, 한줌의 햇살같은 용기 혹은 자존심의 감성들이 몹시 매혹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