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낙지네 개흙 잔치
안학수 지음, 윤봉선 그림 / 창비 / 2004년 11월
장바구니담기


낙지네 개흙잔치

핥아 먹고 키가 크는 고둥조개들
찍어먹고 모래 빚는 칠게 방게들
갯지렁이 개불 속 짱둥어까지
개흙을 좋아하면 아무나오라.

솜씨좋고 너그러운 낙지 아줌마
손톱없고 뼈도 없는 빨판손으로
즐먹즐먹 개고 이겨 부풀린 반죽
부드러운 진흙요리 차진 버무리.

바특하고 태깔나니 보기도 좋아
맛도있고 몸에 좋은 자연산 개흙
오늘도 개펄마을 푸짐한 잔치
목마르고 배고프면 누구나오라

값도 없이 베푼다는 소문을 듣고
멀리서도 몰려온 청둥오리 떼
눈치 보며 서성이는 하얀 두루미
가족들을 불러오는 괭이갈매기.-20쪽

갯돌

뾰룩뵤룩 뾰루지
따개비는 부스럼

찌덕지덕 생딱지
눌어붙은 굴딱지

새까맣고 얼룩진
울퉁불퉁 못난이

그래도 그 품에
아기 달랑게를 품었다.

그래도 그 등에
꼬마 갯강구를 업었다.-26쪽

참 갯지렁이

진흙 속에 살아도
나는 안다.

점점 흐려지는 수평선
그 길이가 몇 리인지,

자꾸 탁해지는 바닷물
그 깊이가 몇 길인지,

갈수록 좁아드는 갯벌
그 남은 넓이도 얼마인지
다 안다.

길쭉한 내 몸은 줄자.
총총한 지네발 눈금으로
똑바로 재어 보아
아주 잘 안다.-32쪽

돌멩이랑 파도랑

돌멩이를 사랑하는 파도
고운 돌을 만져주다
하얗게 맑아지고,

파도를 사랑하는 돌멩이
맑은 파도를 받아서
색깔마다 고와지고,

서로 쓰다듬고 비벼 주어
자꾸 맑아지고 매일 고와지고.

그걸 보고서
바람이 싱그럽고 강산이 말끔하고,
그걸 닮아서
바다도 푸르고 하늘도 높아지고.-50쪽

찹쌀떡과 메밀묵

찹싸아알떠어억!
처음 들어 보는 서투른 소리,

메미이일무우욱!
아빠는 많이 들었다는 소리.

얼마나 외쳤기에
찹쌀떡이 늘어지나?
얼마나 팔았기에
메밀묵이 힘이 없나?

찹싸아알떠어억!
피자면 좀 팔릴 것 같은데,

메미이일무우욱!
햄이면 맛난 반찬 될 텐데.-70쪽

매미 소리

매미 형제는
자랑할 것이 많나 보다.

뭘 보이려고
따르라는 건지,
무엇이 있기에
오라는 건지

동생 쓰르라미는
따아르~ 따아르~부르고,
형 말매미는
와라아~ 와라아~ 난리다.

매미네 집에 가보고 싶다.-78쪽

개미 한 마리

어디로 가야나,
얼마나 가야나.

더듬어도 모르는 길,
가고 가도 낯선 마을.

진종일 굶주려 배고픈 허리,
땡볕에 그을려 새까만 얼굴.

바삐 걸어도 못 다다른 길,
여태 왔어도 못 찾은 고향.-95쪽

잉어새 이야기

수천년 전, 옛날
물 밖 세상만 바라며 강에 살던 잉어 하나
절간 처마 끝에 매달려 좋을 치는 건
새가 되고픈 까닭이었다.

만 년 동안 종을 울리면
날개를 얻게 된다는 전설만 믿고
마르다 지치도록 꿈꾸며 바람 타며

땡랑, 땡랑, 땡그랑 땡강....

낮에나 밤에나

날아가자
날아가자

하늘을 우러르며
등에 날개 나오기만을 그리는 잉어새
오늘도 십구만리를 날고 있다.-108쪽

돌나물 꽃

양식거리 담았던 반달 바가지
장난치던 떼구름이 엎질렀구나.

돌나물 밭에 쏟아져 수북수북한
해님 지을 저녁거리 겉보리 한 되.-125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여기 2006-04-30 0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는 시가 많네. 난 사진 찍는 것이 싫어서 엄마가 찍자고 할 때마다 이상한 표정을 지어버려서 그나마 얼마 안 되는 사진 중에 서재이미지 할 게 없어. 담에 제대로 찍어서 올릴께.^^ 내 생활뉴스에 울산대공원 가면 얼굴이 좀 보이는 사진 있어.^^ 근데 셩이는 서재이미지 사진 전에 것이 아주 예쁘고 딱이야. 도로 올려줘잉.^^

지금여기 2006-04-30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지금 서재 이미지 사진은 좋아. 초록이 가득해서. 묘 하나와 목련꽃과 초록나무들, 그리고 그림 그리는 한 소녀 풍경이 한가로와서 좋네.^^
 
김용택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나라 좋은 동시 1
김용택 엮음, 윤동주 외 시, 김은희 그림 / 현대문학북스 / 2002년 7월
절판


눈 내리는 밤
강소천

말없이
소리없이
눈 내리는 밤.

누나도 잠이 들고
엄마도 잠이 들고

말 없이
소리없이
눈 내리는 밤.

나는 나하고
이야기 하고싶다.-20쪽

산길
문삼석

보드라운 둥지
사새 둥지,
산길은 멀리
돌아 가네.

노오란 부리
아기 산새,
잠깰까 멀리
돌아가네.-40쪽

보리 매미
권정생

보리매미 잡았다
들여다 보니 까만 두눈
꼭 석이 같구나

감나무에 올라가
노래부르던

매미도 나를 쳐다보네
꼭 석이같은 얼굴로

먼 어느곳에서
석이도 나처럼
그리울거야
-60쪽

그림자
윤석중

그림자,그림자.
그림자는 젖지 않지.

그림자로 옷 해 입고
비오는 날 다녔으면.

그림자,그림자.
그림자는 못 붙잡지.
그림자로 옷 해 입고
술래잡기 했으면

그림자,그림자.
그림자는 흙 안묻지.
그림자로 옷 해 입고
데굴데굴 굴렀으면
-7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아버지 요강 -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보는 시 보리 어린이 4
임길택 글, 이태수 그림 / 보리 / 1995년 12월
장바구니담기


한 길 옆
조그만 마당가
손바닥만한 꽃밭이었다.

백일홍, 봉숭아, 맨드라미
때 이르게 핀 국화 몇 포기

식구들만 보려고 만든
화려한 꽃밭이 아니었다

길 가는 사람 누구나
그 앞을 지나는 사람 누구나
함께 볼 수 있게
울타리 없는 마당가
손바닥만한 꽃밭이었다.-30쪽

할아버지 요강

아침마다
할아버지 요강은 내 차지다

오줌을 쏟다 손에 묻으면
더럽다는 생각이 왈칵 든다
내 오줌이라면
옷에 쓰윽 닦고서 떡도 집어 먹는데

어머니가 비우기 귀찮아하는
할아버지 요강을
아침마다 두엄더미에
내가 비운다
붉어진 오줌 쏟으며
침 한 번 퉤 뱉는다.-31 쪽

누나

눈 내리는 날 시집을 가면서
포근한 눈 같은 마음도 가지고 갔어요

그런데도 어쩌다 찾아가보면
매형이 신던 양말 기워신고
누나는 입던 옷 뿐이었어요

누나는 다시 태어난다면
학이 되고 싶다고 했어요
고향 학골에 날아와
어릴 적 뛰놀던 길 돌아보는
그런 학이 되고 싶다 했어요.-42쪽

가을 까치집

올 봄 새끼 한 배 키우고
내내 비워 둔 가을 까치 집

잎 떨군 감나무 가지들이
꼬옥 감싸고 있다

맨날 쓸고 닦지 않아도 되는
나무 꼭대기 까치네 집
바람 맞아도 그만
비를 맞아도 그만
까치들 어디 가서 돌아오지 않는데

무슨 보물 단지 안은 듯
입 떨군 감나무 가지들이
꼬옥 감싸고 있다.-62쪽

소풍 날

정님이는
멸치볶음만으로 채워진
도시락이 부끄러워
구석에서 등 돌리고
가만가만 먹었다.

닭튀김, 소시지부침
철이른 참외와 토마토가 든
빛깔 고운 선희네 도시락
곁눈으로 몇 번이나 훔쳐보다가
또 침을 삼키다가
저도 몰래 얼굴이 달아
강물로 뛰어갔다.

누가 볼세라 등을 돌려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얼굴을 씻었다.-104쪽

할 말

현숙이가
내가 서 있는 쪽으로 오더니
할 말이 있다고 했다.

그래 무언데?

선생님. 있지요,
이번에 나 청군 좀 시켜 주세요.
4학년 올라올 때까지 한 번도 청군을 못 해 봤어요.-105쪽

소풍길 아이들

머리에 모자
등엔 과자 든 가방
동무들과 떠들고 웃으며
소풍을 갑니다.

길가엔
꽃다지꽃 냉이꽃
아이들 키처럼 낮게 피고

멀리서 바라보는 아이들은
그냥 꽃입니다.

소리 없이 바람에 쓸리는
꽃다지 냉이처럼
강둑 따라 늘어선 아이들
그냥그냥 꽃입니다.-112쪽

김옥춘 선생님

달려가서 선생님을 부르면
뒤돌아 서 있다가
우리를 꼬옥 안아 줍니다.

땟국물 흐르는 손
따뜻이 쥐어 주시고
눈 맑다 웃으시며
등 두드려 줍니다.

그럴 때면
선생님 고운 옷에
푹 나를 묻고서
선생님 냄새를 맡아 봅니다.

선생님을
선생님을
우리 엄마라고도 생각해 봅니다.-117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4-24 0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우리 집 밥상
서정홍 지음, 허구 그림 / 창비 / 2003년 7월
장바구니담기


엄마
엄마는 아무리 불러도 좋다.
화나는 일도 짜증나는 일도
'엄마'하고 부르면 다 풀린다.
엄마곁에 있으면
안되는 일이 없다.
무서운게 없다.-51쪽

늦가을
나무에서 떨어진
가랑잎들이
산바랑에 떠밀려
울고 있습니다.
잘가라
잘가라
헤어지기 싫어서
울고 있습니다.-82쪽

우리 동생
할머니가 준
사탕한봉지
동무들 나눠 주고.
제 먹을것도
남기지 않고
동무들 나눠주고
아까운 줄 모르고
다 나눠주는
우리 동생-83쪽

할미꽃
올해도 할머니 무덤가에
할미꽃이 피었습니다.
땅만 보고 농사만 짓고 사신
할머니 허리처럼 굽어서
땅만 보고 피었습니다.-93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3-31 23: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김치를 싫어하는 아이들아
김은영 지음, 김상섭 그림 / 창비 / 200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동시집)안에는 아주 여러가지 시가 들어 있다. 

난 그중에 '김치를 싫어하는 아이들아' 라는 동시가 제일 좋다.

운율도 잘 맞고,표현하는 말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김치를 싫어하는 아이들아

                                                                                                  김은영

           샐러드는 잘 먹어도  김치는 싫어하는 아이들아

          케첩은 잘 먹어도  된장고추장은 싢어하?아이들아.   

           딱 한번 만이라도 좋으니 된장고추장에 푸르딩딩한 풋고추 푹 찍어 먹어보자.     

           아려오는 혀와 입술 타오르는 목구멍 입 크게 벌리고

           허ㅡ 숨을 내뱉으면 혀밑으로 끈끈하고 맑은 침이 고이리라

           바로 그때 시원한 나박김치 국물 몇 숟갈 떠 먹어 보자.

          그래도 맵거든 백두산천지 마시듯 후루룩 들이켜 보자.

이게 그 시 이다. 갑자기 김치가 조금 먹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