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유행했던 말 중에 지랄총량의 법칙이 있다.
대부분의 인간들은 가슴 속에 어느 정도의 지랄스러움을 가지고 있고, 언젠가는 폭발한다는 것.
주로 사춘기, 외계 생명체같은 아이들을 보며 희망조차 찾을 수 없던 엄마들이 우스개소리로 하는 말이다. 결국 그들이 가진 지랄스러움을 다 태워버리고 나면 짐승계에서 인간계로 돌아온다는 것.
자메이카 킨케이드의 애니 존을 읽으며 <지랄발광 17세>란 영화가 떠올랐다.
(여주인공 네이딘, 아버지를 잃고 절친은 자신의 오빠와 사귄다. 거기다 내가 다 부끄러워질 정도로 온갖 사건들이 터지고 수습은 제대로 되지 않는다. 그 무엇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친구도 상황도 엄마도, 자신의 얼굴과 몸매도, 학교도......)
둘의 환경도 상황도 다르지만 닮았다.
부모가 나를 낳았고, 부모가 지어준 이름으로 부모의 발자국을 따라가며 가장 안전한 그 곳에서 평온을 느끼며 착한 아이로 살았다. 엄마의 자장가와 엄마의 냄새, 부모님이 지은 집, 이 곳은 아늑했고 안전했다. 그렇지만 아이는 자란다. 부모가 불러주는 이름 속 알맹이를 채우는 일은 자신의 몫이다. 부모는 완벽하지 않다. 자신을 버리고 떠나기도 하며 실망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들의 곁을 떠나 오롯이 자신이 되기 위한 과정, 위험하고 무모하고 어떨 땐 한심스러워 보이는 행동도 나름대로 성장통이 된다.
지랄발광 17세의 주인공인 네이딘과 애니 존의 차이점이라면?
애니 존에겐 그나마 SNS가 없다는 거다. 이거 큰 축복이다.
엄마와 같은 옷을 입고 같은 곳을 바라보는 생활.
애니가 아이에서 소녀가 되려하자, 엄마와의 작은 낙원에서 애니는 추방당한다.
추방당했지만, 스스로 원한 추방이기도 한다. 언제까지 작고 귀여운 순수한 노래를 부르는 아이일수는 없다. 몸은 자랐고, 이제 마음은 반항으로 가득하다.
아픈 성장통과 자신을 둘러싼 이들에 대한 혐오를 감추고, 독립적인 자신이 되기 위해, 애니는 고향을 등지고 배에 오른다.
“왜 그런 심정이 들었는지 말로 설명해 보라고 누군가 요청했더라도 왜 그런 심정이었는지 곰곰이 따져보고 그 이유를 설명할 말을 찾아낼 수년의 시간이 주어졌더라도 난 단 한 글자도 끄집어 내지 못했을 것이다. 내 심장이 그러했고 그것이 내 평생 느낀 가장 강렬한 감정이었다는 것만 알았을 뿐이다.”
사춘기와 성장, 가장 잘 나타내는 문장이 아닐까 한다.
자신의 사춘기를 뭐라 정의할 수 있으며,
왜 그런 말도 안 되는 짓들을 했는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왜 힘든지, 왜 떠나고 싶은지, 왜 죽을만큼 아프고 방황하는걸까.
유년의 시절과 작별을 고하는 것, 유년의 것들을 버리고 텅 빈 마음을 다시 채워야 하는 막막함과 외로움, 그러나 실상은 자신도 모르는 자신의 마음이다.
“엄마는 기회만 생기면 날 죽일 거야 용기만 있으면 내가 엄마를 죽일 텐데.”
애니는 자신의 트렁크에 자신의 물건을 담아 배에 오른다.
그 후에 애니는 어떤 삶을 살게 될까.
지랄스러운 네이딘과 애니가 그럼에도 싫지 않은 건, 그들이 또 한번의 탯줄를 끊는 중이기 때문이다. 그 좁은 산도를 통해 나와서 처음 본 내 가족, 그들에게 자신을 그대로 맡겼던 삶에서 이제 독립해 새로운 자신들이 되어야 한다. 성장하고 혼자 서는 준비를 해야 한다.
또 다른 좁고 힘든 사춘기란 산도를 혼자 힘으로 헤쳐 나와, 유년기의 탯줄을 끊고 나면 남는 건 혼란과 외로움이다. 이젠 자신의 것들로만 채워야 하는 그 외로움, 자신이 혼자 이겨내야 하는 혼란.
139페이지밖에 되지 않는 짧은 소설이다. 주인공의 유년시절이야기며, 대학진학을 위해 배에 올라타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작가 자메이카 킨케이드는 영국령 식민지에서 자랐고, 주인공 애니처럼 배를 타고 영국으로 와 보모생활을 시작한다. <애니 존> 이후의 삶은 <루시>란 작품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혼란스럽고 자신도 알 수 없는 다양한 감정들에 대한 묘사가 좋았다. 부모에 의해 만들어진 유년기란 낙원에서 걸어나와 자신의 낙원을 찾아가는 여정의 성장소설이다.
이 책을 읽으며 떠올랐던 책이 있다.
<유년기의 끝>이란 sf 소설이다. 지금은 식상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전개지만, 그 식상함의 첫 시작이 바로 이 책이었다.
오버로드란 외계인들이 결국 지구의 유년기를 끝장내려 한다. 정체성을 가지고 고유의 문명을 추구하며 살아가던 지구에서, 그들은 새로운 형태의 진화를 만들어내지만 그것의 다른 이름은 멸망이다.
오버로드덕택에 지구는 유토피아라 불리는 상태가 된다. 투쟁과 갈등이 사라진 곳, 그러나 예술과 종교 과학 또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겉으로는 좋아보이나 진정한 발전은 사라지는 현상’
투쟁과 갈등이 없는 것이 정말 유토피아일까.
오버로드가 말하는 방향은 옳다. 평화롭고 안전한 곳이다.
그럼에도 다른 길로 가고 싶다. 갈등하며 싸우다 결국 오버로드가 말한 그 길로 가게 되더라도, 일단은 자신의 마음대로 길을 가고 싶다. 둘러가더라도 절벽을 만나더라도, 긁히고 넘어지더라도 말이다. 스스로 획득한 경험치로 자신의 정체성을 쌓아가고 싶다. 유년기의 몫은 끝났으며, 이제 부모의 손을 놓고 싶다. 아이들은 유년기를 벗어나 성숙한 어른이 될 수 있을까.
그 질문의 답은 이젠 아이의 뒷모습을 바라보아야 할 부모에게 있겠지. 우리도 그러했으니까.
갈등과 투쟁이 없는 지구는 유년기를 통해 성장하지 못하고 끝을 맺었고, 애니와 네이딘은 지독한 갈등과 투쟁 속에서 유년기를 통과해 성장한다. 지랄총량이 법칙이 필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