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힌 이름, 완전한 이름
혁신과 새로움의 아이콘 바우하우스 또한 여성들을 입학시키는 것을 꺼렸다. 너무 많은 여성학생의 수는 신뢰감을 줄 수 없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들은 더 많은 입학금을 냈고, 실력과 무관하게 주조 직조 등으로 보내졌다.
이런 바우하우스에서 클레를 통해 아동미술 등을 배우고 창작에 힘을 쏟은 한 화가가 있다.
“프리들 디커 브란다이스”
2차대전, 트레진 수용소에서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친 화가이다.
기다리는 건 죽음이지만, 그렇다고 공포에 굴하며 살 수는 없는 법. 아이들에게 나비가 되는 법을 고통앞에서도 좀 더 자유로울 수 있는 법을 가르치다, 아우슈비츠로 남편이 이송되자 본인도 자처해서 그 곳으로 향했고, 가스실에서 최후를 맞았다.
“모든 사람이 우리를 상자 안으로 밀어넣었지만, 그녀는 우리를 그 상자에서 꺼내주었다.”
생존한 학생의 말이다.
노은님 작가의 작품을 처음 접한 것은 아마 물고기 그림일거다. 눈을 말갛게 뜨고 있는 물고기들이, 자신들의 우주일 푸른 물 속을 유영하는 모습은 나를 참 작게도 만들었고, 생명의 힘참을 통해 위로도 받았다.
그 중에 제일 좋아하는 그림을 꼽으라면 이 책에 소개되는 “큰 걸음”이다.
성큼 성큼 발을 내딛는 그 두 다리가 살아 있는 듯, 즐거운 듯 행복한 듯 보여서 좋다. 큰 보폭이 시원해서 좋고, 어디론가 갈 수 있는 것만으로 만족하라 말한다. 너무 조바심내지 않아도 우린 어딘가로 가고 있는 중이라 느꼈다.
세상앞으로 나온 천진한 걸음, 달관한 걸음, 용감한 걸음앞에서 나는 내게 맞는 걸음을 찾을 수 있겠단 생각, 아니 맞지 않더라도 내딛음에 뿌뜻함을 느꼈다.
빈곤을 얘기해도 남루하지 않게 하고 싶었다는 정직성이란 이름의 작가.
아이들을 키우고, 자개농을 주워 새로운 꽃과 하늘을 파도를 만들었다.
너무나 정직해 보이는 그의 문패앞에서, 스스로 자신의 삶을 잘 살아가고 있는 화가의 모습이 엿보인다.
마음만큼 해동하는 그는
들쑥날쑥
매끄러운 사람들 속에서
세월의 찬바람은
더욱 매웠을 것이다.
꿈은 화폭에 있고
시름은 담배에 있고
용기 있는 자유주의자
정직한 생애
그러나
그는 좀 고약한 예술가다. (108쪽)
둘의 공통점은 애연가였고 그 시대 여성가장이었다는 것. 둘은 절친이었고 서로를 보듬었던 박경리작가가 천경자 친구를 생각하며 쓴 시이다. 좀 고약한 예술가라 칭하지만, 세상은 천경자 작가에게 더욱 고약했다. 그녀의 작품을 마음대로 평가했고, 그녀의 삶에도 입방아를 찧어댔다.
그렇게 살아남은 두 예술가가 서로를 보듬으며 그렇게 의지했다.
화관이 아닌 뱀을 머리에 두룬 젊은 여자의 그림이 어릴 적 참 기이하고 무서우면서도 끌렸던 기억이 난다. 살아있어 더 아름다웠던 뱀을 머리에 두른 여자....는 작가 자신이었다.
이 책에서 아주 재미있는 사진작가를 만났다.
박영숙 작가. 일명 미친년 프로젝트와 마녀 시리즈, 화폐 개혁 프로젝트 등 사진으로 많은 활약을 하는 작가분이다.
고등어를 썰다가 잠시 칼을 들고 무언가 생각에 잠긴 여성.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평가받지고 못하고 폄하되는, 매번 되풀이되는 가사노동을 저 고등어대가리를 잘라내던 칼로 숭덩 끊어내고 싶었을까. 아니면 이 지리멸렬한 세상을 휙하고 그어보고 싶었을까.
제주도의 곶자왈에서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것들을 올려놓고 찍은 사진들은 마녀들의 제단같은 느낌도 든다.
비비안 마이어의 사진, 작가의 아버님이 물려주신 카메라,루이즈 부르주아의 초상등을 높아두고 찍은 사진들엔 촛불들이 일렁인다.
“대상과 공감하고 교감하되 이들을 이미지로만 소비하고 이용하지 않는 것, 그것이 박영숙 사진이 고수하는 윤리학이다. 한탕주의가 아니라 인연과 공감을 밑거름으로 길게 갔다. 생각을 같이하는 동료페미니스트들은 모델을 서고, 의견을 내며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지인들끼리 사부작거리며 찍은 것 같은 연출 사진들이라고 혹자는 폄하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 결과물은 묵직하다.” (122페이지)
최초의 추상화가로 보이지 않는 세계를 그린 힐마아프 콜린드 등도 소개된다.
책에는 소개되어 있지않지만 표지의 그림은 헬렌 세르프백의 <자화상>이다.
핀란드에서 가장 사랑받는 화가이며 수많은 자화상을 그렸다. 젊고 아름다운 시절의 자화상도 좋지만, 어렴풋이 흐릿해져가는 노년의 자화상엔 시간말고도 그녀의 고된 삶과 예술에 대한 이야기들이 더 많이 담겨 색감들이 흘러넘칠 듯 이그러지고 뭉개진다.
잊힌 화가들, 여성화가들의 이름을 되살리자 그들의 역사를 되찾자는 책들이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다.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혹은 남편의 이름으로 바뀐 그들의 그림이 진짜 이름을 되찾기를 바라본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무시되거나 폄하되었던 그들의 그림 또한 제대로 평가되기를. 스캔들과 흥미위주로 소모되지 않기를.
척박한 곳에서 꽃을 피우는 것은 더 대견한 일이다. 누군가가 밟고 지나는 곳, 물조차 주지 않는 곳에서 가장 자신다운 꽃을 피우는 것은 위대한 일이다. 대견하고 위대한 일이기에 앞서 엄청난 희생과 고통 또한 따르는 일이다.
이 외에도 여성화가들을 다른 책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