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어
서보 머그더 지음, 김보국 옮김 / 프시케의숲 / 2019년 11월
평점 :
절에 다녀오셨다면서 엄마가 내 손목에 팔찌 하나를 끼워주셨다
“뭐꼬?”
“이거 끼믄 오래 산단다. 건강하게 “
팔순노모가 중년의 막내에게 건강하게 오래 살라는 팔찌를 끼워주는 모습이 뭔가 좀 우습고 짠하다
거기다 천원도 허투루 안 쓰는 울 엄마, 팔찌에 쓰인 가격표가 거금 8000원이다.
엄마는 아이들 나오는 프로를 좋아하신다. 손주들 생각이 나서 그러신가 해서 여쭤봤더니 뜻밖의 대답이었다. 전쟁영화를 보면 그 시절 전쟁생각이 나서 무섭다고, 가난하고 배고프고 우는 걸 보면 피난가던 생각이 나서 싫다신다. 그저 이젠 좋은 기억만 떠올리고 싶으시단다. 그 좋은 기억이란게 드문 드문 어린 시절, 엄마의 엄마와 손 잡고 나물 캐고, 불 때서 밥 하던 그 따숩던 추억이란다. 그래서 어린아이들을 보면 엄마도 그 아이들 나이가 돼서 노는 것 같단다.
엄마는 내 마음을 속속들이 알지만, 아직도 나는 엄마 마음을 짐작도 못하겠다. 그 마음 속속들이 나와 언니들과 오빠가 있다는 것만은 알겠다. 그리고 나보다 어린 아이 하나도 있다. 엄마 마음 속 아이가 아이답게 밝고 환하게 웃고 있었으면 좋겠다.
대전에 사는 친구가 울먹이며 전화가 왔다. 늦둥이와 같은 학원에 다니는 아이 하나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이제 13살. 어린 그 아이가. 성적이 점수가 뭐라고 라는 말조차, 아이의 죽음조차 쓰기가 힘들다. 아이가 어떤 마음이었을지조차 조심스럽다. 부모 마음은 그럴테지. 좋은 선택이라 믿었겠지. 꽃길을 걷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을까
내가 예전 살던 동네는 교육열로 유명했고 해마다 아이 하나는 어디에선가 추락했지만, 동네 분위기는 전혀 바뀌지 않았다. 미련없이 그 동네를 떠났지만, 그 동네에서도 비보는 그치지 않는다. 누군가 혹은 사랑하는 이가, 그 아이의 마음을 열고 다가설 수 있게 시간을 되돌리고 싶은 날이다.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일. 팔순노모의 팔찌에 담긴 그 마음을 부모라면 갖고 있을텐데 그렇게 보내고 어찌 살지 먹먹해져 온다. 할 수 있는건 그저 기도와 바람뿐이다.
도어라는 책을 읽고 끄적끄적 몇 줄을 쓰고도 올리지 못했다. 마음이라는게 그 사람의 마음이라는게 무엇일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앞에서 속수무책일수 있을지, 그 사람의 선택이 죽음이라도 받아들여야 하는지. 그리고 그 마음들은 왜 그리 삐걱거리며 혹은 서로 다른 시간에 혹은 다른 방향으로 열리는지.
그녀, 에메렌츠, 나는,
어릴 적엔 겁도 없이 많은 문을 두드렸다. 문 뒤에 열린 공간들이 두렵지 않았다. 문 뒤로 사연들이 쌓여가며 이젠 조금씩 두려워졌다. 가끔 아주 가끔 누군가의 여리고 순한 눈빛들이 문을 여는 열쇠가 되곤 했지만, 보통은 남는 건 후회였다. 타인의 문 안을 보는 것, 내 문을 열어주는 것에도 지쳤다. 그저 길 위의 눈을 쓸고, 내가 필요한 이를 위해 음식을 만들고 누군가의 고독을 위로하기도 한다. 하지만 내가 먼저 두드리는 것을 그쳤고, 내 문을 두드리는 소리엔 없는 척 숨죽였다. 내 문 안엔 너무 많은 죽음이 먼지로, 거울로, 소파로, 의자로 서랍으로 남겨져 있다. 세월에 낡아가고 사라져 갈 그 죽음들을 그렇게 금고로 막아놓은 방 안에 가둬두고 살아간다.
그러다 어설픈, 20살 어린 작가를 만났다. 어설프고 쉽게 분노하고 조급하고 생각도 짧다. 그러나 자꾸만 누군가를 떠올리게 한다. 너무 사랑해서 오히려 해가 되어버린 어린 암소, 벼락에 재가 되어 버린 쌍둥이 동생들, 우물에 뛰어들어 버린 아름다운 엄마, 평판을 버리며 지켰던 어느 유대인 아이, 그리고 내 고양이들. 혼자 살아갈 생존능력도 없고 한없이 약한 그 존재. 그들을 나는 모두 “비욜라”라고 부른다.
(마음을 문에 비유하곤 한다. 들어오지 못하고 문밖에서 서성이고, 문을 부수고 들어와 헤집어 놓고, 불을 지르고, 낡아가고, 부서진다. 바람이 들어오고 햇살이 비치지만, 간혹 빗줄기에 바닥부터 썩어가기도 하고, 어울리지 않는 꽃묶음을 매달고 있기도 한, 그렇게 들뜨고 썩어 빛 바랜 후 소멸하는 문.)
아버지도 새아버지도 죽었다.
쌍둥이 동생들은 벼락에 맞아 죽었다.
어머니는 우물로 뛰어내려 자살했다.
9살에 이 모든 일을 겪고, 외할아버지에게 버림받고 하녀가 되었다.
사랑을 했지만, 누군가는 죽었고 누군가에게는 버림받았고, 누군가는 사기를 쳤다.
그리고 보통사람의 5배의 일을 하며, 퉁명스러운 말투 속에 여전히 그럼에도 사람을 도우며 살아가는 그녀, 에메렌츠와 그녀보다 20년 어린 작가의 이야기다.
눈이 참 많이도 오는 동네다
참나무처럼 야무진 덩치에 단호한 입매의 여인이 커다란 빗자루로 연신 눈길을 쓸고 있다. 마치 시시포스의 형벌처럼 쓸고 또 쓸어도 눈은 길 위로 연하게, 그러다 점점 짙게 쌓여간다. 충성스런 비욜라는 그런 그녀를 지켜본다. 가장 믿고 사랑하는 그녀, 주변의 사소한 움직임들에 귀를 쫑긋하지만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킨다. 그녀의 또 다른 비욜라는 창가에서 그녀를 지켜본다. 딱하기도 하고 도와줄까 싶지만, 결국 그 비욜라는 자신의 따뜻한 자리에 앉아 타자기를 두드린다. 딱 거기까지이다. 그녀와 그녀가 사랑하는 비욜라의 관계는.
책 속에서 여름에는 첫 번째 체리였고, 가을에는 영근 밤, 겨울에는 화톳불에 익힌 호박 봄에는 관목의 첫 봉오리였다라는 에메렌츠, 그녀는 문을 닫고 조용히 운명에 거스름없이 사라지길 바랐다.
그렇지만.
문을 열고 들어가 같이 차를 마시고, 숨겨둔 이야기들을 공유하는 이가, 문 안에서 죽어갈 때 문밖에서 그저 기다리기만 할 수 있을까.
책 속에서,
1.지금은 알고 있지만 그때에는 알지 못했다. 애정은 온화하고 규정된 틀에 맞게, 또한 분명한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누구를 대신해서도 그 애정의 형태를 내가 정의할 수 없다는 것을 말이다.
2.에메렌츠에게 그냥 보통의 삶은 필요없어요. 에메렌츠에게는 그녀 자신만의 삶이 필요한데, 그것은 벌써 없어져 버린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