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짧은 시,하이쿠를 가장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는 가이드 - <알라딘 책소개>
일본 문학을 읽으면서 하이쿠에 관해서는 많이 듣기는 했지만,
이 책에서 가장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던 것같다.
일본어 공부를 하고 있다보니 하이쿠를 분석해둔 저자의 글이 아주 재미있었고,
공부에도 도움이 되는 글들이라 정리해둔다.
하이쿠 (俳句) - 5ㆍ7ㆍ5 음절과 키레지, 키고로 이루어진 일본의 정형시 [네이버]
하이쿠 세 가지 법칙
1. 다른 누구도 아닌 나의 감각으로, 지금 이 순간을 노래해야한다.
작고 소박할지라도 지금 여기. 이곳에 살아 있는 나의 눈과 코와 귀와 살로 느낀 것을 적어 내려간다.
2. 5ㆍ7ㆍ5 리듬.다섯 자,일곱 자, 다섯 자의 음수율
3. 계절어( 키고 季語).계절어란 봄,여름,가을,겨울을 담은 단어로 여러 개 들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하나가 딱 좋다. 계절어를 모아 놓은 계절어 사전 : '사이지키' 歲時記
1. 앞의 다섯 자는 카미고 (上五), 가운데 일곱 자는 나카시치(中七), 마지막 다섯 자는 시모고(下五).
글자가 넘치는 경우를 지아마리(字余り), 글자가 부족한 경우를 지타라즈 (字足らず)
음수율을 고려하지 않고 자유율(비정형) 하이쿠를 쓰는 시인도 더러 있다.
2. 하이쿠의 리듬을 살려주는 기법은 '키레지'(切字) . 번역하면 '끊어 주는 글자'라는 뜻.
우리말로 치면 '~여''~구나''~하네''~인가'처럼 명사나 동사 뒤에 붙어 감탄과 탄식, 의문과 추측 등의 뜻을
더하는 어미.
(例 : '~네'를 뜻하는 '야'や , '~누나,~도다'를 뜻하는 '나리'(也), '~구나'라고 번역한 '카나'(哉) )
3. 하나에 여러 뜻을 가진 단어를 이용한 수사법 : 가케코토바 (掛詞)
4. 계절어를 넣지 않는 하이쿠 : 무키(無季) 하이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