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상문 ㅣ 테이크아웃 10
최진영 지음, 변영근 그림 / 미메시스 / 2018년 9월
평점 :
.
#최진영
#비상문
#미메시스
...
📖 9~10쪽
내 동생 최신우는 3년 전에 열여덟 살이었고 지금도 열여덟 살이다.
내 동생은 자살했다.
이렇게 말하기는 싫다.
내 동생은 죽었다.
이 말만으로는 부족하다.
내 동생은 없다.
정말 없나? 없다고 할 수 있나?
뭐라고 말해야 할지 모르겠다.
보고 싶다, 최신우.
이 정도 말은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다.
최신우. 이 나쁜 자식.
✏️
소설은 그렇게 페이지를 엽니다. 소설 <비상문>은 동생이 죽은 지 3년이 지나 그동안의 침묵을 깨고 동생의 죽음을 찾아나선 형의 이야기라는 요약보다 소설의 시작에서 보여주는 위 2개의 짧은 단락이 더 명료합니다.
70여 쪽 밖에 되지 않는 워낙에 짧은 소설입니다. 그림과 함께 한 소설이기에 글이 차지하는 부분은 그만큼 더 짧습니다.
섣불리 내용 소개를 한답시고 주절거리다가는 소설을 다 말하게 될 것만 같아 손가락으로 입술을 여밉니다.
✏️
일전에 2024년은 최진영 작가에게 빠져드는 한해가 될 거라고 했습니다. 그렇게 요즘은 매일 최진영 작가의 소설들에 빠져있습니다.
2006년에 <실천문학>으로 등단한 이후 최진영 작가가 발표한 소설 목록을 정리해뒀습니다. <구의 증명>으로 최진영 작가를 알게 되면서 두서없이 몇 권의 장편소설을 읽다보니 최진영 작가의 세계관이 어떻게 시작되어 어떻게 변화를 거듭했는지 잘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순서를 두고 읽어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2010년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한겨레출판사
2011년 <끝나지 않는 노래>, 한겨레출판사
2013년 <팽이>, 창비
2013년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 실천문학사
2015년 📖<구의 증명>, 은행나무
2017년 <해가 지는 곳으로>, 민음사
2018년 📖<비상문>, 미메시스
2019년 <이제야 언니에게>, 창비
2019년 <겨울방학>, 민음사
2021년 <내가 되는 꿈>, 현대문학
2021년 <일주일>, 자음과모음
2022년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재출간
2023년 📖<구의 증명> 재출간
2023년 <To the Warm Horizon>, Honford Star Ltd.
2023년 📖<단 한 사람>, 한겨레출판사
2024년 📖<오로라>, 위즈덤하우스
2024년 📖<원도> :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 재출간, 제목 변경
2024년 <쓰게 될 것>, 안온북스
💭
최진영 작가의 소설은 하나같이 아픕니다. 깊은 상처가 남습니다. 삶과 죽음이라는 답없는 질문놀이에 지치기도 합니다. 그런데 결코 놓지 않는 사랑... 전 그 사랑의 실체가 그립습니다. 쉽게 다치고 처절하게 짓밟힐지라도 끝내 살아있는 숨결을 품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