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새소리를 들었어. 주로 이런 말을 하던데. 조심해. 위험해. 가까이 오지마.
그게 바로 부족하다는 뜻이야.
부족하면 가까이 있을 수 없어?
우리 사이가 지금보다 조금이라도 가까웠다면......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인환이는 커서 뭐가 될래? 아버지처럼 관리가 될래?...왜 답이 없지?... 그래 안다. 우리 장남 마음 내가 어찌 모르겠나? 가슴에서 노래가 넘치는데 불러야지. 니가 가수가 되든 시인이 되든 엄니는 그저 니 편이라.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년 런던 올림픽 때만 해도 자신의 모국인 영국이 "관용과 개방을 대표하는 나라"였다고 회상한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나자 "대표적인 외국인 혐오 국가"가 되었다는 것이다. - P99

지금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주어진 문제가 아니라 문제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있다. - P1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쓸데없는 소리. 시인은 하늘이 낸다하더라. 의사는 공부 많이 하면 되지만 시인은 그리 되간? 시인은 하늘이 낸디야. 그러니 니가 당할 재간이 있었겠니?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품위는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며, 매 순간 자신에게 질문을 건네면서 끊임없이 찾아가야 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또한 품위를 갖추고자 한다면 우리에게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것들을 가끔은 의심하고 반문할 필요도 있다. 다들 흔히 하는, 별다른 생각 없이 자동적으로 튀어나오는 언행을 할 때에도 혹시나 품위에 거스르지 않는지 곱씹어야 한다. 이처럼 우리가 인간으로서의 품위에 대해 몰두하고 신경 쓰고 노력한다면 이것이야말로 문명의 진보가 아닐까? - P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