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한 차별주의자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독서라는 것이 가끔 불편한 것은 (조그마한 부분이긴 하지만) 내가 살아온 삶을 부정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 김지혜 #선량한_차별주의자


책의 프롤로그에서 김지혜는 자신의 일화를 소개합니다. 혐오표현에 관한 토론회에 참여했다가 토론 중에 ‘결정장애‘라는 말을 썼는데, 참석자 중 한 사람이 자신에게 왜 결정장애라는 말을 썼느냐고 묻더랍니다. 그것은 물음이 아니라 지적임을, 결정장애에서 ‘장애‘라는 표현이 부적절했음을 깨우치는 것이었습니다. 작가는 바로 잘못을 시인했지만, 결정장애가 왜 문제인지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장애인인권운동을 하는 지인에게 전화를 걸어 물었다는군요. 지인은 ‘우리 일상에서 얼마나 습관적으로 장애라는 말을 비하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주었다‘(6쪽)고 합니다. ‘무언가에 ‘장애‘를 붙이는 건 ‘부족함‘ ‘열등함‘을 의미하고, 그런 관념 속에서 ‘장애인‘은 늘 부족하고 열등한 존재로 여겨진다‘(6쪽)는 사실을, 그런 표현을 작가 자신이 무심코 스스럼 없이 사용했을 뿐인데 자신이 장애인을 차별하는 생각을 가진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많이 놀랐다고 합니다.

사실 저도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나는 결정장애가 심해서 누가 뭘 선택하라고 요구하는 걸 좋아하지 않아.˝ 어떤 선택의 상황에서 버릇처럼 내뱉는 저의 변명입니다. 한두 번이 아니게 많이도 사용한 변명입니다. 작가의 일화에서처럼 저 또한 장애인을 차별하는 생각을 가진 것이죠. 하지만 그것이 차별이라고 생각해본 적은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아주 사소한 일이라고 생각되지만, 눈을 주위로 돌리면 이런 사소함이 결코 사소한 것으로 치부될 일이 아님을 <선량한 차별주의자>를 통해 깊이 반성하게 됩니다.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는 ‘어떻게 차별을 보지 못하는 ‘선량한 차별주의자‘가 만들어지는지‘(11쪽)를, 2부는 ‘차별이 어떻게 지워지는지, 어떻게 ‘정당한 차별‘로 위장되는지‘(11쪽)를, 3부는 ‘차별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12쪽)를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 저를 강타한 깨달음은 작가가 인용한 아이리스 매리언 영(미국의 정치 이론가이자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의 말에서 비롯됩니다.

영은 말한다. ˝무의식적이었고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억압에 기여한 행동, 행위, 태도에 대해 사람들과 제도는 책임질 수 있고 책임을 져야 한다.˝ 여기서 ‘책임‘이란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했던 행동을 성찰하고 습관과 태도를 바꾸어야 할˝ 책임을 말한다. (189쪽)

무의식적이었고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우리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말이 어찌나 놀라웠는지 모릅니다. 가뜩이나 책임도 지지않고 반성도 없는 우리 사회에서 그 말이 갖는 의미가 얼마나 뼈져리게 깊은지 모르겠습니다. 네, 다른 사람들더러 가르칠 일은 아닙니다. 저부터 깨우치고 반성하고 실천해야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세이즘은 시험해 보고 가정해 보는 태도이지만, 생각 속에서, 글 속에서, 삶 속에서 뚜렷한 윤곽을 그리는 습관이기도 하다. -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으래비 한국희곡명작선 120
최기우 지음 / 평민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희곡을 만나는 것은 언제나 그렇듯이 행복합니다. 다만, 주위에 희곡만을 놓고 거리낌 없이 이야기를 주절거릴만한 상대가 없다는 이유로 이러한 행복은 자유롭게 공유하지 못하는 것이 못내 아쉬울 뿐입니다.

최기우의 희곡 <정으래비>는 ‘사농공상도, 반상 귀천도 없는‘(20쪽) 대동계를 조직하고 ‘천하를 어찌 어느 한 사람의 것이라 하겠는가. 천하는 한 사람의 천하가 아니요, 천하의 천하이기 때문‘(28쪽)에 왕위의 세습을 부인했던 혁명적 사상가 정여립과 그가 모반을 꾀한다는 고변서를 시작으로 1589년(선조 22년)에 동인계 인사들의 대대적인 처벌이 단행된 기축옥사를 소재로 한 작품입니다.

희곡 <정으래비>는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다루지만, 이야기의 전체적 흐름은 민중을 대변하는 걸인들의 장면들로 채워집니다. 최기우 작가의 색깔이랄까요. 그의 희곡들은 역사적인 소재가 많지만, 역사를 풀어가는 것은 역사적 인물이기보다는 역사에서 지워지거나 잊혀진 인물, 즉 민초, 민중들이 그 중심을 이룬다는 특색이 있습니다.

군더더기 없는 내용, 탁월한 구성, 뛰어난 연극성... 뭐하나 나무랄 데 없는 작품의 완성도는 비단 희곡 <정으래비>에 국한하여 칭찬할 일이 아닙니다. 이제는 놀랍지도 않지만, 최기우 작가의 대부분의 희곡들이 다 그러합니다. (아니, 제가 지금까지 접한 최기우 작가의 희곡들은 그러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클라마칸 한국희곡명작선 103
김수미 지음 / 평민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희곡 <타클라마칸>, 극작가 김수미는 무대를 다음과 같이 꾸며주길 원합니다.

˝길 위는 표지판 하나 없다. 일상의 궤도에서 벗어난 길을 잃어버린, 막막한 그들의 상황이 설명될 수 있는 분위기였으면 좋겠다. 도시와 단절된 느낌을 주어 자연 속에 들어온 그들을 일상과 분리하기 위함이고, 자연을 실록을 배제한 사막과 가까운 모습을 원하는 건 그들 자신이 보지 못했던 또 다른 자신과 가장 닮은 모습의 환경 속에 그들을 두기 위함이다.˝

무대는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막막한 그들의 상황‘을 상징처럼 고스란히 드러내는 모습입니다. 희곡 <타클라마칸>은 이러한 무대의 배경을 상상하면서 희곡을 읽어나가야만 합니다. 이유는 작품 후반부를 강타하는 반전때문입니다. 이 반전은 작품 속 ‘그들‘ 이야기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 너머로 작품 건너편에 있는 독자(연극이라면 관객), 즉 ‘나‘로 향하는 눈을 뜨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여기서 ‘그들‘은 사내와 홍숙영, 둘은 60대의 부부입니다. 사내에게는 차현배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그는 해리 장애로 기억을 잃어버렸고, 자신의 이름도 잊어버린 상태입니다. 아내 홍숙영은 남편의 기억과 이름을 되찾고자 함께 남편의 오랜 친구를 찾아가는 길이었는데, 도중에 차가 고장을 일으켜 휑한 벌판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됩니다.

이렇게 이야기는 시작합니다.

극작가가 원하는 무대의 모습, 그러한 배경으로 시작하는 이야기는 잃어버린 사내의 기억을 되찾고자 하는 홍숙영의 사랑을 표현하려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작품에는 반전이 있고, 그 때문에 결국 누가 기억을 잃어버린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남깁니다. 그리고 기억을 잃은, 또는 애써 외면하려는 아픈 이유가 밝혀집니다. 그럼으로써 희곡 <타클라마칸>은 정작 하고자 한 이야기가 무엇이었는지를 밝힙니다.

...


극작가 김수미의 작품을 좋아합니다. 취향에 맞는다고 할까요. 무엇보다 화해 또는 포용이 아닌 새로운 갈등, 또다시 시작되는 위기를 향한 반전이 보여주는 작품 스타일이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희곡명작선 107
강수성 지음 / 평민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가볍게 읽어볼만한 희곡입니다.

결혼 상대자를 찾는다는 광고를 낸 여자. 광고를 보고 여자를 찾아온 두 남자, 장일남과 구이남. 이들이 동거하면서 서로가 마음에 드는 짝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가면서 한 달 후에 결혼을 위한 결정을 짓자는 합의를 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단순한 이야기지만, 반전에 반전이 거듭되면서 결혼과 삶에 대한 묘한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 이 희곡이 가지는 재미이자 묘미입니다.



이 희곡 <짝>은 생활문화적 또는 아마추어적 연극단체(동호회나 동아리 같은)에서 다루기에 좋을 듯합니다. 작품의 수준이 높다 낮다 하는 그런 의미에서가 아닌, 명확한 구성과 코믹적 내용이 재미있게 무대화할 수 있을 것같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런 희곡이 그러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을까하는 것이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