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향곡은 어떻게 클래식의 황제가 되었는가 - 바이올리니스트 최은규의 음악 이야기 01
최은규 지음 / 마티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함부르크_교향곡 #카를_필리프_에마누엘_바흐 #밑줄긋기
드디어 1768 년 3 월, 바흐는 54 세의 나이로 함부르크 궁정 음악감독으로 새롭게 출발했다. 그곳에서 새 생활을 시작한 바흐는 1768 년부터 20 년간 궁정 음악감독으로서 존경을 받으며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누렸다. 함부르크에서 바흐의 주된 임무는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교회예배에 필요한 음악을 작곡하는 것이었다. 매년 장송곡과 칸타타, 공식 행사음악 등을 포함해 200여 편의 새로운 작품을 발표하며 왕성하게 활동한 함부르크 시절의 바흐는 주로 교회음악 작곡가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함부르크 시절 교향곡 작곡가로서 바흐의 위대함을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작품 수는 건반악기 작품이나 종교 성악에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적었지만, 불안한 전조와 과격한 다이내 믹으로 가득한 그의 교향곡들은 18 세기에 작곡되었다고는 도저히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하고 참신하다.

바흐의 교향곡 Wq. 183 제 1 번 1 악장 도입부에서부터 바이올린은 단도직입적으로 이상한 리듬 주제를 연주한다. 도대체 무슨 선율인지 파악할 사이도 없이 이 엉뚱한 바이올린 선율은 저 높은 D음까지 싱코페이션 리듬을 반복하고 다른 현악기군은 과격한 리듬으로 이를 부추긴다. 어떤 서정적 멜로디나 주제를 발견해낼 사이도 없이 갑자기 전체 오케스트라 합주의 터질 듯한 절규가 이어지면서 긴장감을 극대화한다. 감정 표현을 중시했던 19 세기 교향곡 작곡가들도 교향곡의 도입부를 이토록 과감하게 표현하지는 못했다. 바흐 교향곡에 등장하는 목관악기는 단순히 현악기들을 보조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는다. 목관악기는 때때로 음악적 분위기를 주도한다. Wq. 183의 제 2 번에서 현악기와 플루트의 음색 대비는 한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감흥을 남긴다. 현악기의 고통스러운 음형을 서정적인 플루트 선율이 어루만져주는 순간에는 애틋한 감정마저 배어나온다. 이처럼 목관을 능숙하게 다룬 작곡가는 바흐 이후에 베토벤뿐이었다. 음악학자들은 C.P.E. 바흐의 양식을 ‘감정 양식‘(Empfindsammer Stil)이라 불렀다.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음악이라는 뜻이다. 실체로 바흐의 교향곡을 유심히 듣고 있으면,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음악적 단편들이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변모해가는 감정의 스펙트럼을 경험하게 된다. 마치 1세기 뒤 18세기 말 독일 낭만주의의 ‘질풍노도‘(Sturm und Drang) 문학이 음악적으로 구현된 듯하다.
(27-29)

C.P.E. 바흐의 작품명에서 종종 ‘Wq.‘라는 글자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바흐의 작품을 정리해 번호를 불인 보트크벤네(Alfred Wotguenne, 1867~1939)의 이름의 약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ora 2017-03-19 10: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표지 클림트 그림 같아요
 
교향곡은 어떻게 클래식의 황제가 되었는가 - 바이올리니스트 최은규의 음악 이야기 01
최은규 지음 / 마티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글 제목에 대한 변명. 파울 바두라-스코다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을 감상하면서 잡념처럼 들었던 의문을 옮겨 적었다. 스치고 지나간 생각에 대한 답을 찾고자 노력하지 않은 탓에 책읽기와 음악 감상 중에 내키는대로 쓰여진 글과는 아무 상관없는 제목이 되고 말았다. 제목이 글의 내용과 아무 관련이 없는 것 같지는 않고, 마음에 드는 제목을 짓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님을 깨닫고서 그냥 그대로 두기로 한다.)

중요한 음악 상식 하나. 음악의 아버지는?

바흐. 정확하게는, 서양음악의 아버지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바흐는 사후 한동안 완전히 잊혀졌다가 독일의 음악사학자 포르겔(Johann Nikolaus Forkel)의 연구로 재평가를 받게 되었고, 서양음악사에서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인정받고 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가장 두드러지기 하지만, 바흐 가문에서는 약 200 년 동안에 걸쳐 저명한 음악가가 50 명 이상 배출되었다. 그 중에서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1710~1784),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1714~1788),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 (1732~1795),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1735~1782)는 바흐의 아들로서도 유명하다. 아들 바흐와 구분하기 위하여 아버지 바흐를 대(大) 바흐라고 부르기도 한다.

『교향곡은 어떻게 클래식의 황제가 되었는가』(마티,2008)에서 기술하고 있지만,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는 18 세기에 교향곡이 태동하는 데에 크게 공헌한 음악가이다. 그는 아버지처럼 교회음악 작곡가로서 유명하지만, 함부르크 시절에 작곡한 교향곡은 당시에 보기 드문 독특하고 참신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으로, 교향곡 Wq. 183.

모차르트(1756~1791)는 어려서부터 아버지와 함께 여행을 다니면서 많은 음악가들과 만났는데 그 중에서 1764년에서 1765년 사이에 런던에서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를 만났다. 이 때가 모차르트의 나이 8 세, 바흐의 나이 29 세 정도였다. 둘의 첫 만남 이후는 어땠을까. 위키백과에 기술된 다음의 내용으로 짐작해볼 수 있겠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누나, 난네를[1]의 뮤직북에 쓰여진 아버지 레오폴트의 기록에 따르면, 어린 볼프강은 네 살 때 여러 곡을 배웠다고 한다. 모차르트의 음악적 능력은 빠르게 발달하여, 다섯살 때 이미 작곡을 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모차르트를 믿지 못하여 일부러 모차르트의 집에 찾아와서 모차르트를 시험해 보았다. 사람들은 모차르트의 아버지인 레오폴트가 모차르트의 곡을 써주었다고 의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차르트는 그 사람들에게 뛰어난 작곡 실력과 재능을 보였고, 사람들은 그제서야 모차르트를 믿기 시작하였다. 그 후 아버지 레오폴트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아들인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에게 아들을 보내 작곡하는 법에 대한 기예를 더 배우게 했다.

모차르트가 성인이 되고나서, 1777년에 어머니와 함께 여행하였다. 구직을 위한 여행이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1778 년에 파리에서 어머니와 사별하였다. 모차르트는 피아노 소나타 제 8 번 a 단조 K.310을 작곡하여 어머니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이후 전성기를 맞기도 하지만, 모차르트는 생활고에 시달렸다. 그 당시 어려운 상황을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을 책에서 언급한다.

만하임 음악가들의 연봉은 다른 지역 음악가들의 연봉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었다. 1777 년에 아들 볼프강과 함께 만하임을 여행하던 모차르트 어머니 안나 마리아는 최고의 대우를 받는 만하임 음악가들을 부러워하며 남편 레오폴트에게 아들을 그곳에 취직시키기를 바라는 내용의 편지를 써 보내기도 했다. (20)


모차르트는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한테서 처음으로 교향곡 작곡법을 배웠다. 모차르트가 바흐를 만난 해에 교향곡 제 1 번을 작곡하였고, 일생동안 교향곡을 41 곡 이상 작곡하였다. 물론, 요제프 하이든과 미하일 하이든의 영향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모차르트는 1782 년(나이 26 세)에 피아노 협주곡 제 12 번 K.414을 작곡하는 도중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사망 소식을 듣고서 그의 작품에서 선율을 빌어 제 2 악장을 작곡함으로써 스승을 추억하고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모차르트가 교향곡을 작곡하면서 이전에 없던 자유분방함과 개성을 발휘한 작풍은 동시대 작곡가인 베토벤한테도 큰 영향을 끼쳤다. 모차르트의 개성 발휘는 기악곡 장르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특히, 새로운 형식의 가극(징슈필)을 시도하는데 모차르트는 오페라 작품도 이십여 편을 남겼다. 참고로, 독일 낭만주의 작곡가 베버는 모차르트가 새롭게 개척한 가극의 계보를 이었다.

책에 좀더 집중하면, 오페라 극장의 분위기를 정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했던 관현악 연주가 교향곡의 탄생 배경이라고 설명한다. 오페라 공연 전에 서곡이 연주되었다. 처음에는 주의를 끌기 위한 짧지만 강렬한 음악을 연주하는 서곡이 효과적이었다. 점차 음향보다는 청중의 흥미를 점더 끌어낼 수 있는 선율이 중요해졌다. 나중에는 서곡이 오페라의 줄거리를 암시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탈리아에서 오페라의 시작을 알리는 서곡을 신포니아(sinfonia)라고 불렀다. 이 서곡에서 교향곡이 태동하였다.

이런 교향곡의 탄생 배경은 어쩌면 하찮아 보이기도 하다. 교향곡이 클래식 음악의 황제 자리를 차지한 것은, 시대마다 작곡가들이 서양음악사의 흐름 속에서 크고 작은 파동과 반향을 만들었고 시대를 넘어서 상호작용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페이지를 넘기면서 그런 맥락을 짚어낼 수 있다. 저자는 시대 순으로 중요한 교향곡 작품을 곁들여 위대한 작곡가의 면모와 시대상을 소개한다. 삼마르티니, 스타미츠,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슈만, 베를리오즈, 리스트, 바그너, 브루크너, 브람스, 말러 등은 교향곡의 변화와 발전을 겪는 과정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였다. 클래식 음악 연주회 프로그램 곡목에 교향곡이 들어있다면 해당 작품의 작곡가는 이들 중에 하나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독일 음악 중심으로 작곡가가 선정된 것 같다. 차이콥스키, 드보르작, 시벨리우스 같은 작곡가들이 빠졌다. 교향곡의 역사에서 굵직한 작품들을 남긴 작곡가들이 빠짐없이 포함되었으면 좋겠다. 개정판이 조속히 나오기를 기대하면서 머릿말을 다시 들춰보게 된다. 기대감을 거두지 말아야겠다.

이 책을 통해 교향곡의 탄생과 변화의 자취를 더듬어보며 교향곡의 ‘위대함‘보다는 ‘친근함‘을, ‘자율성‘보다는 ‘사회성‘을 말하고 싶었다. 하지만 다 쓰고보니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다. 가슴 한 구석 미련으로 남은 이야기들을 언젠가 다 풀어놓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12)

----------
주1. 마리아 안나 발부르가 이그나티아 모차르트(Maria Anna Walburga Ignatia Mozart, 1751~1829)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누나로, 난네를(Nannerl)이라는 별명으로 곧잘 불렸다. 피아니스트이자 하프시코드 연주자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3-18 21: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아리아와 베토벤 9번 합창곡 4악장을 들으면 독일어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좋은 음악이 대개 그렇지만 18세기 음악이 마음을 울리는 힘이 강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만.. 오거서님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오거서 2017-03-19 09:51   좋아요 1 | URL
18 세기 음악이 마음을 울리는 힘이 강하다는 생각에 공감합니다. 저도 가끔씩 느끼곤 합니다. 18 세기 음악에서 형식미가 돋보이지요. 서양 음악의 원형이 되는 형식에 감정이 절제된 아름다움이지 않을까 싶어요.
18 세기 음악의 가능성을 예견한 C.P.E. 바흐의 교향곡을 겨울호랑이 님도 좋아하시겠지요. 휴일 아침 음악 감상 시간을 가질 수 있음을 즐거움으로 삼고 있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수입]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9 & 12번
Arcana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파울 바두라-스코다(Paul Badura-Skoda, 1927~)는 오스트리아 태생 피아니스트로, 모차르트 피아노 작품 연주에 일가견이 있다. 그의 디스코그라피가 다수가 아니기에 이 음반이 참 반갑다.

발터 운트 존(Walter und Sohn)의 1802년 악기를 현대 포르테피아노 명장 폴 맥널티가 2005년에 복제한 포르테피아노[1]를 파울 바두라-스코다가 연주하면서 체코의 시대악기 오케스트라, 무지카 플로레아(Musica Florea)를 지휘하였다. 2005 년 9 월 녹음. 그의 나이 78 세에 노익장을 과시한 연주가 아닐 수 없다.

특히,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 9 번과 제 12 번이 한 장의 음반에 같이 담긴 것은 보기 드문 구성이다. (음반 기획 의도에 감탄!) 음반 소개글에서 이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협주곡 9번과 12번 커플링은 흔하지 않은데 우연찮게도 9번, 12번은 모두 대 바흐의 아들들과 연관되어 있다. 9번 협주곡은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영향을 받은 수사법을 구사하고 있는데, 레치타티보와 같은 2악장이나 오페라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3악장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협주곡 12번의 2악장은 1782년에 죽은 바흐의 막내아들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죽음을 애도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모차르트는 아주 어릴 적 런던에서[2]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를 만나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아버지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알 수 있듯 런던 바흐의 죽음에 크게 상심했다. (음반 소개글에서 인용함.)

----------
주1. 포르테피아노(forte-piano)의 줄임말이 피아노이다. 또한, 포르테피아노는 1830년대 이전의 옛날 피아노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주2. 모차르트는 어려서부터 아버지와 함께 여행을 다니면서 많은 음악가들과 만났는데 그 중에서 1764년에서 1765년 사이에 런던에서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를 만났다. 이 때 모차르트 나이 9세 무렵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향곡은_어떻게_클래식의_황제가_되었는가

최은규의 『교향곡은 어떻게 클래식의 황제가 되었는가』(마티,2008) 책을 도서관에서 대출하였다. 책 제목이 질문인 듯 아닌 듯 헷갈린다.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부제인 ˝바이올리니스트 최은규의 음악 이야기˝가 궁금하다. 245 쪽 분량이라 주말에 읽고 반납하기에 부담없을 것 같다.

#국가란_무엇인가

유시민의 『국가란 무엇인가』 개정판이 2017 년 1 월에 출간되었음을 안다. 최근 시국상황으로 인해 관심이 커진 탓도 있지만, 유시민 작가의 강연 동영상을 보고나니 책을 읽고 싶어졌다. 개정판을 구매하려다 혹시나 싶어 집안을 뒤져보았다. 그럼 그렇지, 내가 이랬을 줄 알았다. 2011 년에 출간된 구판을 이미 사놓았다. 그러나 완독했다는 기억은 없다. 잠시 고민… 『국가란 무엇인가』 구판을 책장에서 꺼내 놓고서 개정판은 장바구니에서 보관함으로 이동.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www.youtube.com/watch?v=JiKSIjz9Xkc

차이콥스키: 1812 년 서곡

•연주자

뉴욕 필하모닉 관현악단 (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지휘,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

•연주시간: 약 15 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3-10 11: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 같은 날에 잘 어울리는 팡파르입니다. 좋은 선곡입니다. ^^

꼬마요정 2017-03-10 12: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이 곡 엄청 엄청 좋아해요!!!! 오늘 같이 즐거운 날에 반복 듣기 해야겠어요 ㅎㅎㅎ 대포소리가 축포 소리로 들리겠는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