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지식의 힘 - 부자가 되는
박유연.전정홍 지음 / 청림출판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보험과 복권.
복권보단 로또라고 해야 더 현실감이 있으려나?
책을 읽다 위 2개가 매우 비슷하고 다르기도 하단 생각이 들었다.
둘다 거의 돌려받을 순 없다.
만기후 환급받는 보험도 있고
복권은 당첨된다면 더 크게 돌려 받는거라 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둘다 원금보장은 거의 안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보험을 가입하고 복권을 산다.
왜? 보험은 '만약'을 대비해서,
복권은 '혹시'나 하는 마음에.
그런데, 제일 웃긴 건
보험에 들어가는 돈을 복권에 들어가는 돈보다
더 아까워하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단 느낌을 많이 받곤 한다는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이 내고 사는 의료보험은 말할 필요도 없고
여러 이유로 지출되는 보험료들은 여러방면으로 관리의 대상이다.
헌데, 복권은 더 쉽게 휴지로 변해 버리는 상품임에도
이 시대 복권열풍은 대단함을 여러군데서 본다.
보험보다 복권이 더 희망일까?
아님 희망이 아닌 '대안'을 꿈꾸나?
'보험지식의 힘'을 읽으며
보험에 대한 지식도 당연히 많이 얻었지만  
제일 크게 얻은 건 어쩌면 '보험'에 대한 인식전환이었다.
이렇게 다양한 보험이 있었고 세분화 되어 있었는지 솔직이 몰랐었기에
다음은 보험 상품이름이 아니라 책에 소개된 조금은 특별한 보험들이다.
무료보험, 장애인 보험, 유사보험, 장기간병보험,
통합보험, 상조보험, 갱신형보험...
이중엔 별개의 것들도 있고 한 개념하게 다른 개념이 포함된 것들도 있다.
보험의 소개가 목적이 아니라
들어져 있는 보험들을 관리하고
보험을 상품으로 봤을때 소비자로써의 권리와 의무까지 나열된 책이라
책자체가 위의 특별한 보험들에 대한 얘기들로만 채워져 있진 않다.
그럼에도 이런 생소했던 상품들이 있었구나를 알게된 것부터
이런 류의 책을 읽을 필요를 서서히 느끼게 해주면서
여러가지 세부사항들은 궁금해서라도 눈길이 가게 됐던거 같다.
단순한 제목으로 왜 책이름을 졌을까 싶었는데
일반보험들에 대한 부분들을 지나 자동차 보험 정도까지 읽게됐을 때
보험이란게 결국 나같은 소비자에겐 '지식'이고
그 지식이 결국 나중엔 '힘'이란 사실을 당연스레 느껴졌다.
동시에 믿을만한 보험설계사를 알아두는게
이렇게 보험까지 공부해야 하는 수고를
현명하게 더는 길은 아닌가 싶기도 하면서.
끝으로, 예전 자동차 접촉사고 목격담을 잠깐 언급하고 끝낼까 싶다.
차도로 나가려는 2대의 차가 뒷차의 추월로 가벼운 사고가 났는데
차안에서 가만히 지켜보니 가해자 여성이 오히려 피해자 남성을 몰아세우고 있었다.
언뜻 생각할 땐 여성과 남성의 입장이 바뀐 것 자체가 아이러니었고
또하나는 여성이 그 싸움을 주도하고 있는 모습이 특이했다.
내가 본 대부분의 사고현장에서 여성들은 남성보다
더 긴장하거나 차안에서 못내리고 있는 경우도 보곤 해서.
어쨌든 개인적으론 잘못한 사람이 큰소리를 치고 있는 모습에
내가 겪고 있는 일이 아닌데도 무척 속상했던 기억이 있고
더 아쉬웠던건 내 개인적인 이유로
차를 빼 다른 길로 돌아나왔던게 다 였다는 거다.
끝으로 이 얘기를 해보는 건,
그때 그 상황에서 둘의 입장이 바뀌어 버렸던 건,
그 여자가 주장하는 이론이 맞던 틀리던 '보험'과 사고상황 정리에 대해
애초에 여자가 한수 위였을거라는 느낌 때문이다.
물론 말주변이 발휘된 면도 있었겟지만
이 책에서 소개되는 그 '지식의 힘'이
죄없는 그 피해남자를 일순 주눅들게 만들었다고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고나선 많은 사름들이 보험에 관한 대강의 지식들을
잘 습득해서 올바른 방식으로 그 힘을 발휘해
만일의 상황에서 강한 면모를 가질 수 있었으면 좋을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