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럭저럭 살고 싶지 않다면 당신이 옳은 겁니다
캐서린 모건 셰플러 지음, 박선령 옮김 / 쌤앤파커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이란 말만 들었을 땐 너무 좋은 단어인데

여기에 완벽'주의자'란 어미가 붙어버리면 부정적인 느낌이 든다.

완벽을 추구하다는 건 당연히 선호되야 할거 같은데 말이다.


심리학 책들 중, 불안이나 우울만큼 

많은 책이 완벽주의자를 다루고 있는데,

보통, 게으른 완벽주의자들을 위주로 다룬 내용들이 많은 반면

이 책처럼 5가지 유형의 완벽주의자를 

모델로 삼은 책은 흔치 않아 보인다.


전형적 완벽주의자,

낭만형 완벽주의자,

게으른 완벽주의자,

난잡형 완벽주의자,

열정형 완벽주의자.


유형별 분류기에, MBTI책이나 애니어그램 책들처럼

모든 유형을 심도있게 숙지하는 건 어렵다.

아마, 관심있거나 해당되는 유형 1가지를 골라

그것을 중심으로 이해해 보는게 가장 

보편적으로 좋을거 같다.


위의 유형 중 '난잡형'은 좀 뭔가 싶을거 같은데,

저자가 이 이름으로 굳이 정의내리고자 한데는

이 유형의 특징 중 끝맺음을 맺지 못하는 특성을

난잡이란 표현으로 강조하고자 붙여본 느낌이 든다.


'난잡형'이란, 

워낙 열정적인 완벽주의자적인 특성상

새롭게 배우는 일에 대해 거리낌은 없으나,

처음 가진 그 흥미가 쉽게 사그러 들거나

또다른 관심으로 옮겨감으로 인해,

용두사미 격으로 마무리 되는 일을 자초하게 되고

여러가지 벌려만 놓은 행동특성을 띨 수 있다하여

이렇게 이름 붙였다 보면 적당하겠다.

혹자는, 이런 유형이 완벽주의라 불릴 수 있겠나 싶겠으나

저자의 이유를 좀더 들어보니 공감될 부분이 존재했다.


일단 All or nothing식으로,

많은 것을 다 할 수 있을거라 시도하지만

시작처럼 마무리를 다 한다는 건 어렵기에

결국 하나라도 완성해 내는게 아닌

모두를 포기하는 결정을 내려버리는 유형.

이는, 한계를 무시하고 뭐든 할 수 있다는

만능감에 가까운 전제하에 벌이는 일.


이또한 한번에 다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바가 스스로는 있어서다.


이를 저자는 '순진함'이라고도 표현하는데

거의 예정된 실패의 결말을 떠올리지 않고

시작에 대한 불안감을 밀어내며

시도로 들어간 초기진입능력을 높이산다.

하지만, 엄청난 재능이 있다해도

집중하여 결실을 맺지 않고선 인정받을 수 없는게 현실.

그렇기에 여기서의 '난잡'이란,

두서없거나 정리가 안된 것을 가리킨다기 보다,

많은 일을 '동시'에 하려다 보니 

일이 해결불가능하게 쌓이는 결과를 낳고 그것이 

미완성 또는 중도포기라는 결과를 내놓게 됨을 일컫는다.


이 이외에는 대부분 붙여진 이름대로

추측가능한 부분들로 보면 맞다.

게으른 완벽주의자로 예를 들자면,

완벽을 꿈꾸고 '또' 꿈꾸기에

시도자체가 미뤄지고 준비가 길어진다

그러다 종국엔 아예 시도자체를 하지 않아버리는 

그걸 여기선 게으름이라 부른다.

시도하지 않고 머물러 있기에 게으름이라 부르지만

실상 가시적인 시도는 없더라도 계속된 준비과정만은

완벽을 향해 가려고 애쓰고 있기에 이들도 

결국 완벽주의자인 것이다.


책은 완벽주의자를 관찰자로써 다루는 동시에

저자 본인이 자신을 완벽주의자 성향이라 판단하기에

완벽주의자가 지닌 긍정성을 높게 평가하려 노력했고,

그렇게 평가한 이유로써는

큰 잠재력과 에너지 높은 남다른 열정 등을 꼽고있다.


대개의 완벽주의자를 다루는 책들은,

저자가 제3자로써 관찰자 입장에서만 연구하며

이해 안되는 부분까지 다루게 되기에,

완벽주의자 본인의 입장에서 왜 

그런 결정과 행동을 해야 했는지에 대해선

저자 상식으로 이해 안되는 부분도 있다는 

언급을 했던 책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 책에선 본인이 완벽주의자이기에 대부분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자신과 타인에게 

도움이 될 방향으로써의 완벽주의를 많이 언급했고,

특성이 이해 안돼 물음표로 남겨둔 부분은 거의 없다.

또하나 특이한 점은, 

주로 여성 완벽주의자들을 모델로 했다는 점.


전체적으로 책이 원하는 큰 핵심주제 한가지는

완벽주의자 본인과 이를 바라보는 타인들의 인식변화였는데,

좋고 나쁘다는 개념이 아닌 '다름'으로 이해하라는 조언이었다.

완벽주의자에게는 자기성향에 대한 긍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했고

직간접 적으로 관계된 타인들에겐 자신들과 다른 성향의 이해를 촉구했다.


무척 쉽게 써진 책이라 관심있는 사람들이면 

부담없이 읽기 딱 좋을 책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