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기분과 삶을 조절하는 방법 - Harbinger의 새로운 자기계발 워크북
매튜 맥케이 외 지음, 장창민 외 옮김 / 북스타(Bookstar)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론 벡의 추천사를 보고 읽고 싶었던 책.

책의 역사를 살펴보니 벌써 5판째인 책이다.

1981년 초판본이었고 지금 5판 개정을 했으니

내용은 충분히 검증됐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같은 국내출판사 책이었던,

분노를 다스리는 인지행동 워크북을 좋게 읽었던 것도

같은 출판사가 낸 이 책을 선택하는 원인도 됐다.


우선 단순한 듯 다양한 감정적 요소들을

꽤나 자세하게 분류하고 설명해 놓았다.


흔히, 단순하게 anxiety로 말하는 불안을 

그대로 활용했다면 단순한 표현일텐데

이 책은 이를 증상자체로 재분류해 놨다.

초초함, 피로, 집중의 어려움, 과민성, 근육긴장, 수면장애.

이것들을 다 같은 비중으로 볼 필요는 없을거 같고

피로와 집중 정도는 주목해 보면 어떨까 싶다.

직관적으로 걱정과 대치될 수 있는 와닿는 상황들 보다는

피로나 집중은 바로 떠올리기엔 간접적인 느낌이 나니까.


완벽주의나 낮은 자존감의 치유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통적 접근법을 소개하고 있다.

자동적 사고를 깨닫고, 제한적 사고의 패턴을 바꿔서, 

격한 사고를 바꿀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때 핵심신념을 점검한다.

시각화를 통해 이 핵심 신념을 바뀌게 되고

최종적으로 자기 자비로 결론지어 가는 사이클.


이 부분에선 인지장애치료 과정 자체와 많이 닮아있다고 생각했다.

도식화란 말이 등장하진 않았지만 만약 이 말까지 있었다면

인지치료의 과정으로 생각했을거 같다.

수치심, 죄책감, 분노도 위와 비슷한 단계를 밟고 있다.


대부분의 공통적 인자로 등장하는 자동적 사고는

카렌 호나이의 이론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즉, should가 가지는 당위성을 주목하고 있음이다.

당위의 쉬운 말은 '해야한다'.

마치 목적달성만을 떠올리기 쉬울 이 표현은

혼자 견뎌야 해, 부담 주지 말아야 돼, 너그러워야 해 등

앞에 붙여지는 다양한 범주의 표현들로 

다른 느낌처럼타날 수 있음을 주목해보면 좋겠다.

책이 자세한 설명으로 이들을 표현해 놓았다.

특히, 이 당위는 비관론으로 흐르게 되는 모티브이기에 중요한데,

읽다보면 이보다 큰 불안요소는 없을거란 생각이 들게 한다.

불안이 아닌 당위가 불안일 수 있다는 말.

불안인지 스스로는 모르지만 가장 큰 불안요소가 될 수 있는 당위의 힘.

스스로 옭아매는 듯한 느낌이 불안이라 생각할 수 있을까?


자동적 사고가 바로 이런 영역 같다.

이 자동적 사고를 좀더 분석해 들어가보면,

그럴듯 하기에 중지 시키거나 바꾸기 어렵고,

어떤 이미지로 연관해 나타나기도 쉽다.

특정 테마를 반복하기에 끊임없이 시도되며,

불행히도 이 바탕에는 변화는 커녕

감지하기조차 어려운 습관적인 자동적 사고의 패턴을,

수동적으로 배우고 실천해 온 기간이 있을거라 보고 있다.

가족이나 친구, 매스미디어 등에 의해.

누구에게나 심히 우려스러운 부분이기도 하다.

알 수 있어 막을 수 있을거 같지만, 가족이나 미디어 모두 

그 접속과 지속경로가 매우 지극히 단순하니까 되려 어렵다 느꼈다.


중요한 부분이라 길게 정리해 봤지만

실은 결론으로 향하기 위한 문제인지 쪽이라 초반부 쪽이고,

결국 다양한 해결책들 중에서 살펴보자면

최종적으로 자기 자비로써 나아가는 쪽의 결론을 이뤄야

이 책을 읽는 보람이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해법.

다른 접근법도 중간중간 소개되어 있지만

가장 포괄적인 해결책은, 최종결론은 아니지만

자기자비가 가장 효율적이고 포괄적이지 않나 싶다.


일반적으로 이런 류의 책들은

워크북이 따로 나와 있기도 하다.

원구성인지 개정을 통해 진화된건지 모르겠지만,

이 책은 워크북 형식도 동시에 담아 놓았다.

실제 글로만 읽고 끝나는게 아니라 

현실적용으로 직접 해보길 독려하려는 의지가 읽히는 

실용적 구성을 넣어 준 매우 좋은 책이었다.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책은 

어떤 분야에서나 귀하다 본다.

이 책을 만난 사람들에게 꼭 행운이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