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커빌리티
김현정 지음 / 메이트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서 왠지 먹먹했다.

옳고 그름이 아닌 궁극의 친화력과 호감의 추구.

처음부터 이해되고 공감되는 부분이 

많은 책이라 좋기도 했지만,

그 실천에 있어 나로써는 

어려울 거 같다는 무력감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이걸 완벽하게 

할 순 없을 듯해서,

마치, 리어왕을 앞에 둔 오필리아처럼 말이다.

이미 그렇게 살아 본 경험도 있고 

자의반 타의반 그런 성향을 놓아본 경험도 있으니,

굳이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면  라이커블한 사람이 되는 쪽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긍정적 방향이란 생각은 한다.

하지만, 책에서도 나오지만 

라이커블한 사람이 되는 것이 

꼭 한가지 색깔로의 최종선택이거나

항상 한 바탕의 전제조건만 있진 않기 때문에,

라이커블한 관계를 쌓는 것 만큼이나

어떤 기준과  선이 분명한 관계를 구축하는 능력이,

라이커블한 인간형 자체가 되는 것보다 

더 우선되야 할 경우도 있다는 일부분에서 더

라이커블한 인간형의 장점 논의보다 더 동의되기도 했다.


그래서 어려운거다.

머리로는 라이커블한 인간형의 추구가 

절대 선처럼 공감되면서도,

그걸 일 대 대다수의 논리로 넓게 행동하기엔

복잡한 현실속 적응시 맹점이 분명 있으니까.

그러나, 결국 책의 흐름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다.

어울리며 살아감에 있어 맞는 진리이기도 하기에.

세분화 되야 할 각자의 적용적 몫은

라이커블한 사람이 되어가는 전제를 수용한 채

각자 짊어져야 할 부분 같다.


저자가 판단하는 이 시대 특성 중,

특히 한국사회 속에서 더 강한

라이커블한 인간관계가 이끄는 메커니즘은 

매우 큰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본다.

옳고 그름을 추구하는 시대가 아니란 것도 중요하다.

극단적으로, 하나의 사건이나 사람에 있어

그것이 옳고 그름이 확연히 존재하더라도,

틀린 쪽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틀린 걸 알더라도 그걸 따를 수 있다는 논리.

즉, 정의나 옳음이 필승 공식이 아닌

잘못된 쪽이 이길 수도 있게 만드는 게 

라이커블 한 관계가 주는 시야란 것.

결국 그런 걸 끌어내는 사람은 이길 수도 있고

행복해 질수도 있는 시대란 뜻이기도 하다는 거다.


사랑받는 연예인, 내쳐지는 연예인,

사랑받던 정치인, 흐지부지 된 정치인 등,

라이커블 하고 못하고란 면이 다양한 관계 속에서 

부여해주는 절대반지 같은 맹목적 힘 아님 끈끈함.

그렇다면 그리 살수 없는 사람은 어찌 될까.

옳고 그름의 논리를 뛰어넘는 

감정의 밀당에 미숙하다면 말이다.

이또한 깊게 고민해봐야 될 부분같았다.

여하튼, 이런 라이커블의 속성을 

받아들이고 못받아들이는 각자의 차이는 있을 망정,

이 논리 자체를 반박할 순 없을 듯 싶지 않을까 싶다.


대체로 쉽게 흘러가는 내용이지만

점점 심리적 분석들이 가미되는 전개도 늘어나면서

개인적으론 그 깊이가 좀더 깊어져 좋았다.

쉽게 읽을 순 있지만 어떤 책보다 실천면에선

무거울 수 있는 궁극의 책 같았다.

매우 좋은 논점을 선사해 준 보석같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