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쓰레기는 재활용되지 않았다 - 재활용 시스템의 모순과 불평등, 그리고 친환경이라는 거짓말
미카엘라 르 뫼르 지음, 구영옥 옮김 / 풀빛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장을 열고 마지막 페이지를 닫을 때까지

무거운 마음은 해결되지 않는다.

평소, 환경문제에 나도 모르게 관심이 가는데

혼자만의 특별한 이유란 있을 수 없다.

많은 쓰레기들이 단순 소비로 탄생한다기 보단

모두가 너무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 소재가

직간접 적으로 소비됨으로써,

생활 쓰레기를 자동 생산하는 양산자 역할을 

모두가 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개인들 그리고 모든 가정들이 어떤 식으로던 

플라스틱 쓰레기는 매일 배출한다.

이런 현상을 각자가 벌이는

쓰레기의 생산으로 비유한다면,

얼마나 많은 양의 쓰레기를 각자 만들어내는

공장 역할을 각자 하고 있는 것일까 자문해 본다.


일상적으로 이런 종류의 쓰레기가 만들어지는

많은 생활 속 장면들을 쉽게 목도할 수 있다.

패스트푸드점에서 감자튀김 하나를 먹더라도

캐찹 하나를 플라스틱 포장지에서 짜내 먹고 버리며,

수많은 음식들 또한 비닐 용기들에 담겨져 팔리고 소비된다.

그걸 먹고 비워진 오염된 봉지들은 최종 

쓰레기 봉투라 불리는 또다른 비닐봉투에

재포장되어 이 플라스틱 세상에서 돌고 돈다.


이 책은 사실 내가 원했던 

생활속 쓰레기 자체의 양산과정에 관한 

환경문제를 다룬 내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쓰레기와 관련된 현 사회구조 비판과

쓰레기 처리를 담당하는 독점처리하는

특정 지역 자체의 환경문제 등에 

더 집중한 글들이 주제라 보여지는게 많다.

순수한 환경 자체의 문제를 다룬다기 보단

사회 계급적 문제로 쓰레기 문제를 해석해보며

지역적 문제를 더 다뤘다고 보는게 정확하다.

저자의 전공 또한 처리관련 공학자가 아닌

인류학 전공의 학자란 점도 그걸 뒷받침한다.


책에 등장하는 주된 무대는 

베트남의 재활용 플라스틱 집하장이 된 한 마을이다.

큰 낫으로 물고기의 배를 가르듯

압축된 쓰레기 봉투들을 작업자들이 뜯으면,

세척을 거쳐 탄소 알갱이들을 추가해

재활용되는 과정을 거치는 플라스틱들 재활용.

어디쯤에선 순수한 자원활용적인 환경문제로

이야기가 조금 집중되기도 하지만

그런 식의 분량자체는 많지 않다.


활용이란 이름으로

재활용 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들마저

모두가 바라는 선순환으로 처리되긴 어렵고,

완벽하지 않은 처리절차를 거쳐

결국 쓰레기가 쓰레기로 재탄생 되는 식이었다.

줄어들기 보단 어쩌면 모습을 달리해

점차 증가되는 좋지못한 구조를 지녔단 얘기고.

재활용 가능한 전체 플라스틱 비중도

50%를 밑도는 수준이란 점도 언급된다.


재활용 되는 과정들도 잘 들여다보면,

그냥 좀더 복잡한 공정만 추가해 

결국 다른 형태의 플라스틱으로 재탄생 됐다가

더 오도가도 못하는 새로운 형태로 

최종 쓰레기화 돼 남게되는 운명도 다뤄본다.

결국, 재활용이란 게 진정한 재활용으로써가 아닌

오히려 더 처리 곤란하게 혼합되고 

변형된 플라스틱 단계로 변모될 수 있다는 얘기.


전체적으로 책에선 이런 내용들보다는,

선진국에 해당하는 국가들에서

생산재로써 포장재로써 사용된

수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베트남 고구마 마을 같은 곳으로 모여들고

그 마을 사람들의 의식주에 악영향을 미치는 

그 모습에 더 관심을 갖은 구조로 되어있고,

최종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누군가는 짊어지고 있는

영원불멸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모이는 

최종집하장 역할을 우려하는 부분들이 많다.   


앞서 말했듯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이 편치 않은 건 

상식적인 사람이라면 당연할 것 같다.

나만 아니면 된다는 게 자신의 상식은 아니라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