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 투 제텔카스텐 - 옵시디언 기반 두 번째 뇌 만들기
제레미 강 지음 / 인간희극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혀 알지도 못했던 제텔카스텐이란 정리체계가 눈에 들어왔다.

분명 알지도 못하는 도구건만 

필요할 거 같고 요긴해 보인다는 느낌은 강하게 받았다.

게다가, 구식 방식처럼 여겨지던

기존 도서관의 청구기호 보관 방식이 

바로 그 모티브이기 때문에,

왠지 해보기만 하면 생각보단 쉽게 할 수 있을거 같았다.

하지만, 저자가 말했듯 누군가 분류한 걸

이용만 해봤던 사실과는 하나의 도구 자체를 

새롭게 배운다는 건 전혀 별개의 배움이었다.

인터넷 검색만 할 줄 아는 이가

C언어 등으로 컴퓨터 언어에 손을 대본 것과 같았으니까.


우선, 괜히 욕심을 부렸단 생각은 안든다.

왜냐면, 디지털방식의 제텔카스텐을 이용하려면,

책에 소개된 3개의 범용 앱들 중에

1개는 다룰 줄 알아야 하는데,

컴퓨터 언어의 논리 구조와 매우 비슷하지만

결국, 완전한 개발자의 언어정도의 깊이는 아닌

최종 사용자로써가 쓰는 언어이기에 

그 배움의 깊이 정도가 벽을 느낄 정도로 높지 않았고

그래서 제약이라고 까지는 생각 안됐다.

하지만, 저자가 이 시스템으로 도움을 받는

2번째뇌 메모의 단계까지 가는 거나 

그로인해 책을 써 볼 수 있을 정도의 자료 구축은 

책만 읽어서는 안 되니까 아직은 여기까지.


제텔카스텐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경로로써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 모두를 소개하고 있지만,

옵시디언 앱소개를 주로 다룬 만큼

아날로그 방식의 제텔카스텐 정리법은

이 책에 소개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아날로그는 별도의 접속이 필요하지 않은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다는게 장점이고,

디지털 방식은 앱이란게 이미 구축해놓은

방식에 익숙해지기만 한다면 어느 정도 

사용자의 입장으로써는 접근하고 관리하기 

좋다는 비교는 들어있다.

앱으로의 정리가 가진 단점으론, 

컴 기반을 쓸 수 없는 환경이 전제되고

근본이 되는 전기가 없게 되면

하등 무용지물의 자료상태로 되는 건 있지만,

현재 실생활 속 많은 부분이 

이와같은 구조로 정리되고 보관되는 것들이 많아

굳이 단점으로 분류하기엔 애매해 보였고,

그렇다 할지라도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의 

차이점이 무엇이라는 것 정도로

저자은 설명은 충분히 이해될 순 있었다.


이 책이 노션, 롬 리서치, 옵시디언 중에 

굳이 옵시디언 위주의 설명을 담은 건

이 앱이 무료이면서 한글이 지원되고

그래픽처럼 구조화 된 자료의 연결을 볼 수 있기에

제일 유용한 앱인 것도 같았다.

컴과 비유해 한번 설명해 보자면, 

단계별로 작성해 나가면서 

폴더처럼 메모를 만들게 됐을 때

그 아래 하부 디렉토리 같은 내용들이 따라 붙게 된다.

그리고 이게 그냥 컴에서의 폴더와는 다르게

진짜 메모처럼, 마치 영화 속 

벽에 붙은 보드에 포스트 잇을 붙이고 끈 등으로 연결해

조사한 자료들을 바라보며 정리해 볼 수 있는 것처럼

제텔카스텐 구성자체가 그런 목적을 띄고 있음을

만들고 눈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웹 클리퍼는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좋은 기능이었는데,

유용한 자료를 발견시 그 자체로 복사하듯 메모로 옮겨 활용해

그냥 링크와 연결시켜 나중에 보게 되는 식보단 

훨씬 유용하게 추후 이용이 가능해 보였고,

두번째로는, aliases가 가장 중요해 보였는데

다른 용어를 쓴 메모들끼리 들어있는 단어들을 

알아서 매칭시켜 찾아주는 기능이었기 때문이다.

즉, 굳이 제텔카스텐을 앱으로써 이용할 가치는

여기에 있다고도 여겨졌는데,

자신이 정리했던 걸 찾을 요량이라면 

기억력의 한계와 수작업의 한계가 있을텐데,

자신 혼자서는 매칭시키기 어려웠을

서로 다른 메모 속 자료들이 

유기적으로 서로 연결 될 수 있도록 도우니

이게 핵심적인 기능이라고 안 할 수 없었다.

즉, 제텔카스텐의 여러 기능들 중 

유기적 연결 만들기의 핵심기능이란 느낌.


전체적인 완성본의 구조를 미리 맛보려면

화학분자식 모형처럼 실행시켜 본

123페이지에 메모 구조 도식을 보면

좀더 잘 이해되리라 생각된다.


이런저런 내용들로 책 대부분은

옵시디언 앱의 사용법의 매뉴얼같다고 보면 좋을 듯.


끝으로, 꼭 메모라고 해서 

적기만을 의지해선 안된다는 조언도 실려있었다.

그러니, 녹음을 해놓은 것을 문자화 시키는 기능을 쓴다던가

아님 그냥 일단은 다시 받아적더라도

필요한 기록자체는 남겨놓는 노력은 있어야 한다 권하며, 

S펜 등 이미 널리 사용되는 필기구의 도움도

적절하게 각자 이용하는 것도 좋다고 권하고 있다.


저자는 이 자료정리법의 최종결실이 될 종착역은 

2번째 뇌로써 저작물 등을 만드는 단계를 

거쳐보는 거라 말해주는거 같다.

모두가 책의 저자는 될 수 없겠단 생각도 들수 있지만

제텔카스텐 정리법 자체가 1권의 책을 거의 완성시켜 줄

단계란 걸 스스로 구성해보고 활용도 할 수 있는 것이라니

그냥 남의 일처럼 흘려들을 말은 아닌듯 싶다.


아직 능숙하지도 않고 매우 생소한 도구다.

재밌다고 하기엔 아는게 너무 없지만 느낌만으로는,

잘 이용할 줄 알면 매우 요긴하리란 건 느낄 수 있었다.

몇번 더 읽어보며 앱사용의 익숙함부터 익히는게

제일 먼저 해놓아야 할 일 같다. 제텔카스텐의 구조적 원리는 일단 그 다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