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책을 만났다.
어쩌면 인연이 닿지 않을수도 있었는데
그래서인가 더 이 책을 읽으며 좋았던듯 싶다.
중앙대 심리학과 조교수로 있는 저자가 쓴 책으로
심리학이 읽어내는 개개인들의 상황들을
이모저모 잘 설명해주는 책이다.
비슷한 류의 느낌을 주는 심리학 책들이 많이 있는데
이 책은 거기에 신선함을 매우 많이 담았다.
소설과 같은 반전이나 창의력을 심리학에선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건 왠지 참신하단
느낌을 계속 받으며 읽게 됐었다. 참신.
적당한 거리감, 젊음같은 신선함, 그리고 조심성 등등.
상담을 받아보지 않은 사람에게도 유익할
풍부한 현장감 같은 전달력도 느꼈다.
책에 나온 그대로의 표현법은 아니지만
뒷힘 부족인 생활태도를 가졌다면
이 책에서 어느 정도 답도 제시하고 있고,
자존감 자존감 많이 들었을 그 자존감의
우리의 상식도 상당부분 자기계발서들의
리드를 통해 키워지고 성립되어 왔다는 설명도 들어있다.
이것도 내 표현으로 해보자면 상업성으로
자존감의 정의가 대중들에게 널리 보편화 되고
화자 되어지고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 같았다.
중간 부분을 넘어선 즈음에 자존감과 자신감의
구분을 느껴볼 만한 부분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책을 읽어본다면 좋을 듯 싶다.
사실 도입부분이자 상당부분을 할애한
자존감 부분에서 다른 비슷한 책에서 보여준
자기계발서의 상업성을 반복해서 새로운 것처럼
들려주는 건 아닌가 하는 느낌을 조금 받았을 땐
생각과는 다른 비슷한 책인가 언뜻 스치는 인상을 받았으나,
굉장히 짧은 내가 받은 인상을 그리고 앞부분을
책전체로 치부해버리기엔 아니다 싶어
계속 읽어가니 그 뒤는 더 좋았고
그 뒤는 더더더 좋았던 책이었다.
그리고 이런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경계를 풀지않는 이의 상담에 대한 정리였는데
어떤 말을 상담자가 건냈을 때
왜 자신에게 이런 말을 건내는지
혹은 자신이 어떤 느낌을 받았을 때
그 느낌이 무엇인지 긴장 등의 반응을 보인 것들이었다.
그 부분에서 상담자로써 애를 먹은 부분도 약간
느낌으로 들어있긴 했지만 내가 느낀 그 부분에서의 요점은
상대가 읽어내는 자신의 장점마저 본인 스스로
부정해야하는 불안에 기초한 낮은 자존감이었다.
자신은 자신이 남들에게 자신은 모르는
장점이나 호감의 부분이 있음을 자각못함은 물론이요
그런 얘길 듣게 됐을 땐 되려 마치
사기성 발언이나 감언이설처럼 들리기도 해서
결국 그냥 받아들이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정도의
재스처 정도로 넘어갈 수 있을 부분들이
굳이 아니라고 한다거나 겸손으로 포장된
부정심리로 발현된다는 말 같았다.
책이 신선하다고 했는데 느낌을 쓰다보니
통찰력이 느껴지는 문체 곳곳에서 많이 있었다는
정리도 꽤 좋을듯 싶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
자존감이 항상 하이레벨로 유지되는 사람은 없다고 한다.
그렇다고 하는 사람들도 하루를 보내면서
자신은 아니라고 할지 모르지만
오르락 내리락을 하면서 그 하이가 유지된다고 했다.
그 근거는 뇌과학이며 밝혀진 근거들이고.
책내용이 참 좋다.
고만고만한 심리학책들 속에서 참 좋은 책을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