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밍 시그널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반려견의 몸짓 언어
투리드 루가스 지음, 다니엘 K.엘더 옮김, 강형욱 감수 / 혜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적불문인 문제이기에 참 유익하고 필요한 시작이었다고 본다.
외국엔 시저 밀란이란 원조 훈련사도 있고
한국에는 이웅종이란 시작과 지금은 후발주자인 강형욱도 있다.
참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의 이 2명의 조련사는
매우 다른 에너지를 보여주는데 이웅종이 시저 밀란식이라면
강형욱은 그냥 이 스타일과는 약간 반대개념의 접근을 많이 보여준다.
물론 공통적인 부분들도 있었다.
난 강형욱이란 사람의 방식을 이웅종의 방법보다 좋아하진 않는다.
시저 밀란 팬이라서 일지도 모르고.
그런데 강형욱의 방법들을 보면서 몇가지 생각을 했다.
같은 분야에 독창적인 어필을 하기 위한 것인지
진짜 자기만의 색깔이라 불러줘야 할 것인지.
이 책을 읽으니 자기 커리어를 위한 개성이 아니라
강형욱은 이 책의 저자 투리드의 방법을 쓰고 있는 것이었다.
책에 추천사를 쓴 강형욱 본인이 자신과 투리드 중
누구에게 개를 맡길 것인가를 스스로 대답하는 부분이 있는데
자신은 주저없이 투리드라 답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투리드의 방식은 애견인들이 많아진 현 한국에게
그리고 강형욱 방식의 원조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
쉽고 좋은 가이드가 되어줄 듯 싶다.
책은 매우 간단하다. 개들이 보여주는 카밍 시그널들을
간략하게 설명해 주는 부분들이 있고
저자 자신의 경험과 주의 사항들을 첨부해 얘기해주고 있다.
전혀 어렵지 않아 일반인들이 읽고 해보기에 전혀 무리가 없다.
책의 중간쯤이었나, 개들은 정면에서 같은 높이의 시선으로
똑바로 쳐다보는 걸 싫어한다는 부분이 있다.
나도 알정도면 대중적인 부분일것도 같다.
그런데 개인적으론 이 책에 나온 그 부분의 가이드처럼
알게모르게 경험했던게 것들이 생각난다.
우리 동네엔 잘 모르는 집들이지만
비슷한 시간에 오고가면서 얼굴을 익히게 된 개들이 꽤 있다.
그중 한마리는 내 개는 아니지만 참 독특한 인연이 있다.
자주 산책시키려 데려나오는 그 개를 처음 봤을 땐
무슨 학대라도 크게 받은 개인줄 알았다.
개의 양미간에 주름은 깊게 패이고
사람을 보면 슬금슬금 피하고 가던 길도 멈추었다.
그리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좋은 기억을 심어주려 해도
거리를 좀처럼 내주지 않았다. 자기 가족도 아니니까 더 그랬을거다.
그러다 한번 두번 얼굴을 대하는 횟수도 많아지고
그 집 자체의 보살핌도 꾸준해서인지
예전의 그런 모습은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굉장히 양호한 모습을 자주 본다.
그 와중에 이 책에 나왔던 그런 시선 맞추기를
무의식중에 이 개와 많이 나누게 됐는데
실제 효과가 있는지 예전보다 나와는 남인데도 사이가 꽤 편해졌다.
그저 눈을 위에서 똑바로 쳐다봐 주지 않고
책에서처럼 약간 게슴치레 뜬 듯 보이는 시선으로 개에겐 비쳤을 듯 싶다.
그리고 그냥 막 만지거나 호들갑스럽게 굴지도 않고
그저 냄새만 맡게 하는 정도의 스킨십정도도 효과가 있었던 듯 싶다.
이 책의 서두에 그런 말이 있다.
개를 변화시키기 위에 쓰는 책이 아니라
사람을 변화시키기 위해 쓰는 책으로 보는게 좋지 않겠느냐는 식의 글귀.
개와 사람의 관계를 다룬 방송이나 책을 보면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건 개만을 위한 지식 때문만은 아니리라 생각한다.
난 주로 사람을 보는 듯한 느낌을 그런 프로들에서 느낀다.
주인공은 분명 개인데 개에게만 해당되는 얘기들 같지 않아서.
개를 키우든 아니든 읽어둬서 손해볼게 없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