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 수업 - 고난 당한 이에게 바른 위로가 되는 책
캐시 피더슨 지음, 윤득형 옮김 / 샘솟는기쁨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를 둘러봐도 죽음을 준비하며 사는 삶을
가르치거나 암시해 주는 곳은 없는거 같다.
아니, 외면하고 사는 걸 수도 있다.
이 책의 원제목은 상당히 긴데
애도수업이란 한국적 제목으로 짧게 옮겨졌음에도
상당히 그 긴 영어원제를 적절히 잘 표현해 주는거 같다.
애도수업이란 죽음을 맞는 사람의 주변인들을 위한
가깝게는 그냥 그 가족들을 위한 책이다.
그렇다고 굉장히 영적인 부분을 다루는
정신적인 책이라고 오해는 말아야 한다.
정확히는 애도하는 위치에 선 사람들이
취해야 하고 준비하고 경험해야 할 것들을
대략적으로 집어보는 안내서에 가깝기 때문이다.
스스로 남편을 잃은 부인이 쓴 작가가 썼기에
간접경험이나 그냥 지식적인 뭔가를 가르치는
일반적인 자기생각 나열식의 책들과는 다른 면이 있다.
적절한 표현은 아니나 애도에 관한
필요한 지식전달면에 참힘이 들어있는 느낌을 준다.
책 후반부 쯤이였나, 주변사람들이
고인의 가족들에게 실수하는 위로 등의 말들을
나열식으로 다룬 챕터가 있었는데
애도란 틀을 벗어나 타인과 나란 관계에서
시선의 차이로 인해 벌어질 수 있을
사소할 거 같지만 중요한 말건냄의 실수들을 다루고 있다.
좋은 곳으로 갔을거야는
지금 가족의 곁보다 좋은 곳은 없다로 들릴 뿐이고,
차는 어떻할거야 라던가
신발 사이즈는 뭐였니 등은
죽은 이의 남은 물건들을 탐내는 것으로 들릴 얘기며,
하늘에서 필요해서 데려갔을 거란 말도
자기곁에 있었음 싶은 가족들에겐 고통의 말일 뿐이란 것 등
그냥 지나치며 할 수 있을 공감가는 대화상황을
사실적으로 여러개를 나열해 준다.
이 말들 중 몇개는 심지어 블랙유머처럼도 느껴지는 부분도 있었다.
진짜 이런 말들을 할까 싶어서.
한번 읽어보고 생각해 본다면 독자들 각자가
서로의 가치관도 확인해 볼 수 있을듯 했다.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을 위해
남녀를 나눠 해줄 수 있는 일을 구분해 본것도 신선했다.
대충이 아닌 목록식의 나열로 인해
구체적이고 도움이 될 작지만 필요한 일들을 다룬다.
하나하나가 쉬운듯 작지만 상실로
아님 다가오는 상실의 기운으로 아무 힘도 없을 누군가에겐
매우 필요한 주위의 관심이자 도움이므로.
사랑하는 사람을 보내고 난 뒤의
허탈함과 어떤 영적인 경험을 언급하는 짧은 부분에서는
나름 그 부분들이 이해가 가고 쇼킹했다.
그냥 슬픔이 아닌 어떤 영적인 경험이라는 그 표현이 말이다.
이 책의 하나 아쉬운 점이라면
어느정도 성숙한 사람들과 가정들에 해당되는
부분들이 주를 이룬거 같다는 거였는데,
각자 삶의 환경이 다르고 경제수준이 다르기에
그 모든 부분을 다룰수는 없지만
책을 읽으며 슬퍼할 겨를도 없을 수준의 사람들에게 까지
공감을 다 읽으키기에는 보편적이고 교과서적인
부분들이 많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래도 애도를 다룬 책으로써 되려
간단하고 개괄적인 얘기를 다루는게 어쩌면 정답이리라 본다.
자세하고 시시콜콜한 얘기가 어찌 다
본인의 얘기가 됐을 때 받아들여질 것인가.
죽음을 너무 가까이 하고 살면 무거워지는 삶이 되겠지만
삶과 죽음을 너무 멀리있다고 살아가는 것도
언제가는 그 거리감만큼 더 무거워질
무게가 기다릴지도 모를 무관심일지 모른단 생각도 해본다.
필요한 책이고 연령 시대 관심을 떠나 모두가 읽어봐야 할 주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