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잠이 덜깬 채로 클래식 음악 방송을 켜니 아딘셀의 바르샤바 교향곡이 나온다.

그렇게 좋아하는 곡이 아닌데 곡명과 작곡가 이름이 정확히 기억난다. 더구나 의식이 불명료한 상태인데도 그러니 기이한 일이라 말해야 하는 것일까?

음악도 공부하듯 곡명과 작곡가명을 기억해두는 습성 때문일까?

하지만 자주 듣지도 않는 곡이 선명하게 기억나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어떻든 이와 반대로 좋아하는 곡을 분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슈베르트의 즉흥곡 네 곡이 그렇고 쇼팽의 발라드 네 곡이 그렇다. 바흐의 파르티타, 프랑스 모음곡, 영국 모음곡 등등도 그렇다.

이런 예는 참 많다. 내 무의식과 의식이 분열되어 있어서 생기는 일은 아닐 것이다.

곡 자체가 미묘하고 섬세한 차이들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곡 이름을 정확히 기억하고 주 멜로디를 가려내야 음악을 즐기고 아는 것일까?

최근 들은 이야기가 내게 생각거리를 준다. 시인도 시를 쓰고 한 달 정도가 지나면 어떤 상황에서 그 시를 썼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이는 시인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또는 파악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말보다 더 충격적(?)이다.

어떻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겠지만 의미심장한 정보다.

나에게는 시나 소설을 속속들이 알아야 이해한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빈틈, 여지, 작가 자신에게도 낯선(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리라.

그래서 시를 논문 쓰듯 분석해왔다.

최근 ˝상식은 없고 지식에만 몰두한다.˝는 말을 들었다. 이것도 같은 맥락을 증거하는 말일 테다.

지식욕이 권력욕의 한 형태라는 생각이 든다.

저장하고 쌓아두는 스톡(stock)형 읽기가 아닌 흘러가도록 내버려두는 플로우(flow)형 읽기가 권장되는 시대이다.

그렇게 할 수 없는 장르가 있지만 새겨들을 말이다.
사람을 대하는 데에서도 어김 없이 적용될 말이다.
아프지만 깨달음의 시간이기도 한 것이 다행이다. 아프기만 하고 깨달음은 없는 시간은 없는 것이겠으니 사족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현균의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를 읽었다.

쉬운 설명으로 역사와 지리(地理)의 차이를 알게 해주는 주목할 책이다.

역사가 공허하기도 한 것은 계속 상상으로만 이야기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
반면 지리에 주목해 답사(踏査)길에 나서는 것은 현장감을 갖기 어려운 문헌 자료 중심의 공부와 달리 장소감을 가질 수 있는 공간 중심의 공부가 되기에 바람직하다는 설명도 있다.

지난 1월 정조(正祖)를 주제로 한 해설 시연을 한 것을 계기로 정조의 능인 화성의 건릉(健陵)에 가려 했었는데 너무 멀다는 생각에 정조와 관련이 깊은 창덕궁 후원을 찾고 말았었다.

서울 이북의 경기도 그 중에서도 최북단인 연천에 사는 나에게 서울 남쪽의 경기도의 시들은 그렇게 낯설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정조(正祖)와 관련된 세 도시에 주목하게 되었다.

세 도시란 수원(水原), 화성(華城), 과천(果川)을 말한다.

수원 화성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고사에서 영감을 얻은 정조의 의사가 반영된 이름을 가진 성(城)이고, 수원과 이웃한 화성(華城)은 수원과 뿌리가 같은 도시이다.

중국 화(華)나라의 국경을 지키는 사람인 봉인(封人)이 요(堯) 임금에게 장수와 부귀, 다자녀 등의 세 가지를 축원한 것을 의미하는 화봉삼축(華封三祝)의 고사에 주목한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隆陵)이 자리한 화산(花山)의 화(花)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화(華)가 의미면에서 같다고 보았다.

화성은 매홀군(買忽郡), 수성군(水城郡), 수주(水州) 등으로 이름이 바뀌어 불리다가 고려 원종때인 1271년 수원으로 개칭되었다.

1931년 수원면에서 수원읍이 되었고 1949년 수원시가 되었을 때 군의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화성군으로 개편되었을 때 수원읍이 시로 승격되어 화성군에서 분리된 것이라 말할 수도 있다.

과천에서 정조와 관련된 곳이 남태령이다.

관악산과 우면산이 만나는 낮은 목을 넘어가는 남태령은 서울과 과천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이다.
원래 이름은 여우고개였으나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행(陵幸) 중 잠시 쉬며 고개 이름을 묻자 마중 나온 과천현의 이방이 이름이 속되다고 판단해 한양에서 남행(南行)할 때 나오는 첫번째 고개라는 의미로 남태령(南泰嶺)이라 아뢴 이래 남태령이라 불리게 되었다.

온온사(穏穏舍)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 세자의 능행 중에 남태령을 넘어가서 묵었던 객사이다.

온온사가 오늘의 이름을 얻게 된 것에도 정조와 관계된 사연이 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행 중 과천 객사에 묵으면서 경치가 좋고 쉬어가기 편하다는 이유로 서헌에 온온사란 이름을, 객사 동헌에 옛 과천의 별호인 부림헌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했다.

그 후 온온사는 완전히 허물어졌었다.

지금의 온온사는 보고 따라 지을 모델이 없자 전남 승주 낙안읍성의 낙안 객사를 본떠 복원한 건물이다.

지하철 4호선 사당역 사거리에서 과천, 평촌, 안양으로 가는 버스는 모두 남태령을 넘어간다.

남태령을 넘어가는 도로 옆으로 난 오솔길인 남태령 옛길을 걸어보자.

봄이 아닌가..

빼어난 주변 풍경을 가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을 둘러보며 산책도 하는 역사지리 탐방길.....

소요산 전철역에서 남태령역까지 1시간 50분 정도가 걸린다. 소요산에서 종로 3가까지보다 왕복 한 시간 정도를 더 쓰면 되는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시 봄이다. 4월 교향악 축제 소식에 기대를 건다.
연주곡을 기준으로 보면 다음의 프로그램들이 흥미를 부른다.

4월 5일 수원시립교향악단(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말러 교향곡 7번 ‘밤의 노래‘),

4월 6일 대전시립교향악단(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4월 8일 KBS 교향악단(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교향곡 4번),

4월 14일 원주시립교향악단(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말러 교향곡 1번 ‘거인‘),

4월 15일 토요일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드보르작 첼로협주곡, 브람스 교향곡 4번),

4월 16일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바르톡 바이올린 협주곡, 브람스 교향곡 1번),

4월 20일 서울시립 교향악단(윤이상 서곡; 국내 초연, 드보르작 바이올린 협주곡,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4월 21일 제주 특별자치 도립 제주교향악단(최정훈 대편성 오케스트라를 위한 ‘다랑쉬‘ 레드 아일랜드 2(2017); 세계초연, 쿠세비츠키 더블 베이스 협주곡, 말러 교향곡 1번‘거인‘),

4월 22일 공주시 충남교향악단(라벨 라 발스, 브람스 더블 콘체르토,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등이다.

일부 곡들이 중복 편성되었지만 비교하며 들을 수 있는 기회이다.

‘다랑쉬‘란 곡이 특별히 관심을 끈다. 제주도 오름의 여왕이라 불리는 다랑쉬 오름을 작품화한 곡으로 보인다.

절경(絶景)과 제주 4.3 사태의 학살이라는 아픈 기억과 두루 관련된 곡이 아닐지?

추정이 맞다면 역사적 아픔을 더 뚜렷하게 드러내는 절경에 주목한 곡이라 할 수 있다.

어서 4월이 오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이 없다면 동무가 있어야 한다는 말을 며칠 사이에 두 번이나 했다.

한 번은 내게 동무가 되어달라는 뜻에서 한 말이었고, 한 번은 동무가 있음을 안도함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물론 니체의 저 의미심장한 말을 며칠 사이에 두 번이나 하게 될 줄은 나도 몰랐다.

동무라는 말은 김영민 교수 특유의 어법이다.

그런데 니체의 저 말이 인용된 ‘보행’에는 원문도 출처도 명기되지 않았다. 궁금하다. 출처보다 원문이 더.

절실한 당위의 차원에서 한 앞의 말과 달리 동무가 있음을 안도했다는 뒤의 말은 우리 문화해설사 동기들의 톡방에서 한 말이다.

그렇게 앞의 말은 개인에게 한 말이었고 뒤의 말은 무리에게 한 말이었으니 의미와 무게감이 크게 다르다.

요 며칠 우울이 深했다.

그런데 넘치는 유머 감각을 知性으로 다스려 유쾌하게 표현들을 해준 동기들 덕에 오랜만에 웃었다.

적어도 오늘 같아서는 읽을 때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는 ‘서민적 글쓰기’ 같은 책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웃음은 대체로 가벼운 재미와 관련된다. 그런데 웃음은 한때 죄악으로 여겨졌다.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웃음은 죄악이다. 인간이 웃음을 알게 되면 두려움을 잃어버린다. 두려움을 잃게 되면 더 이상 신을 찾지 않을 것이다.”

서양 중세의 경직성보다 웃음의 크나큰 위력에 더 생각이 머문다.

내가 오랜만에 웃음 지을 수 있었던 것은 동기들의 유머 하나 하나가 자연스러움에서 벗어난 파격적인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비극이 주는 카타르시스란 말이 있듯 비극은 관객을 끌어들여 가슴으로 느끼는 무엇인가를 만나게 하는 반면 웃음은 대상을 가볍게 보게 한다.
그간 내가 심각했던 것은, 그리고 웃지 않았던 것은 현실로부터 몇 걸음 물러나 외부의 시선으로 사태를 객관화해 대하는 능력이 없어서였을 것이다.

니체는 삶이란 고난을 겪는 것이고, 살아남는 것은 고난 속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란 말을 했다.

심오한 말이다. 그리고 그 만큼 무거운 말이다. 웃음과 거리가 멀다.

이처럼 무게 있는 말을 듣고 웃는 사람은 없다.

인간이 위대한 것은 슬픔을 웃음으로 승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 아닐지?

웃음 짓게 하는 것을 보고 웃는 것은 쉽다.

하지만 슬픔이나 괴로움을 승화시켜 웃음 지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여기서 인간이 아름다운 것은 슬픔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한 페친 작가의 말을 음미해본다.

웃음 지을 수 있는 하루 하루를 고대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Don‘t stay in an unhealthy relationship because you think it‘s will get better eventually. Know your worth and move o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