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균의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를 읽었다.
쉬운 설명으로 역사와 지리(地理)의 차이를 알게 해주는 주목할 책이다.
역사가 공허하기도 한 것은 계속 상상으로만 이야기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
반면 지리에 주목해 답사(踏査)길에 나서는 것은 현장감을 갖기 어려운 문헌 자료 중심의 공부와 달리 장소감을 가질 수 있는 공간 중심의 공부가 되기에 바람직하다는 설명도 있다.
지난 1월 정조(正祖)를 주제로 한 해설 시연을 한 것을 계기로 정조의 능인 화성의 건릉(健陵)에 가려 했었는데 너무 멀다는 생각에 정조와 관련이 깊은 창덕궁 후원을 찾고 말았었다.
서울 이북의 경기도 그 중에서도 최북단인 연천에 사는 나에게 서울 남쪽의 경기도의 시들은 그렇게 낯설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정조(正祖)와 관련된 세 도시에 주목하게 되었다.
세 도시란 수원(水原), 화성(華城), 과천(果川)을 말한다.
수원 화성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고사에서 영감을 얻은 정조의 의사가 반영된 이름을 가진 성(城)이고, 수원과 이웃한 화성(華城)은 수원과 뿌리가 같은 도시이다.
중국 화(華)나라의 국경을 지키는 사람인 봉인(封人)이 요(堯) 임금에게 장수와 부귀, 다자녀 등의 세 가지를 축원한 것을 의미하는 화봉삼축(華封三祝)의 고사에 주목한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隆陵)이 자리한 화산(花山)의 화(花)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화(華)가 의미면에서 같다고 보았다.
화성은 매홀군(買忽郡), 수성군(水城郡), 수주(水州) 등으로 이름이 바뀌어 불리다가 고려 원종때인 1271년 수원으로 개칭되었다.
1931년 수원면에서 수원읍이 되었고 1949년 수원시가 되었을 때 군의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화성군으로 개편되었을 때 수원읍이 시로 승격되어 화성군에서 분리된 것이라 말할 수도 있다.
과천에서 정조와 관련된 곳이 남태령이다.
관악산과 우면산이 만나는 낮은 목을 넘어가는 남태령은 서울과 과천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이다.
원래 이름은 여우고개였으나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행(陵幸) 중 잠시 쉬며 고개 이름을 묻자 마중 나온 과천현의 이방이 이름이 속되다고 판단해 한양에서 남행(南行)할 때 나오는 첫번째 고개라는 의미로 남태령(南泰嶺)이라 아뢴 이래 남태령이라 불리게 되었다.
온온사(穏穏舍)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 세자의 능행 중에 남태령을 넘어가서 묵었던 객사이다.
온온사가 오늘의 이름을 얻게 된 것에도 정조와 관계된 사연이 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행 중 과천 객사에 묵으면서 경치가 좋고 쉬어가기 편하다는 이유로 서헌에 온온사란 이름을, 객사 동헌에 옛 과천의 별호인 부림헌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했다.
그 후 온온사는 완전히 허물어졌었다.
지금의 온온사는 보고 따라 지을 모델이 없자 전남 승주 낙안읍성의 낙안 객사를 본떠 복원한 건물이다.
지하철 4호선 사당역 사거리에서 과천, 평촌, 안양으로 가는 버스는 모두 남태령을 넘어간다.
남태령을 넘어가는 도로 옆으로 난 오솔길인 남태령 옛길을 걸어보자.
봄이 아닌가..
빼어난 주변 풍경을 가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을 둘러보며 산책도 하는 역사지리 탐방길.....
소요산 전철역에서 남태령역까지 1시간 50분 정도가 걸린다. 소요산에서 종로 3가까지보다 왕복 한 시간 정도를 더 쓰면 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