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니스트로 먹고살기 - 현직 선배들의 진짜 노하우 먹고살기 시리즈
텍스트 라디오 지음, 김은성 엮음 / 바른번역(왓북)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럼니스트'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건 오래지 않은 것 같다. 예전으로 말하자면 '평론가'쯤 된다. '평론가' 하면 거창해 보이는데 반해 '칼럼니스트'는 왠지 친숙한 느낌이다. 아무나 할 수 없는 게 평론이라면 칼럼은 누구나 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인가보다. 평론은 자신의 생각이 많이 들어가지만 칼럼은 보다 객관적인 글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한때 칼럼이라고 기고한 적이 있었던 나는 당시에 칼럼과 감상문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고민했다. 감상문이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에 의한 것이라면 칼럼은 보다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는 글이라고 한다. 아마도 제대로 된 칼럼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자료 조사와 지식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실제 칼럼니스트들도 엄청난 노력 끝에 명성을 쌓을 수 있었음을 알았다.

 

  다른 작가와 공통되는 점은 활자중독이 의심될 정도로 많이 읽는 것이다. 들어간 게 많아야 잘 나온다는 뜻이리라. 어떤 칼럼니스트는 외국의 자료를 검색해 보기 위해 집을 저당 잡히면서까지 번역해 가며 읽었다는 것을 보고 그 노력의 정도가 가히 상상을 초월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칼럼니스트로 성공한 사람들 중에 블로그나 홈페이지 또는 카페에 글을 정기적으로 올리다가 된 경우가 많았다. 그만큼 제대로 된 글을 꾸준히 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인터넷에 글을 쓸 때의 요령도 알려주어 도움이 되었다.

 

  사이버 세상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가 너무 쉬워진 요즘 세상에 전문 칼럼니스트들이 글밥을 먹고 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만의 콘텐츠가 있기 때문이다. 10년에 걸쳐 꾸준히 한길을 걸어온 이들에게 그건 어쩌면 당연한 보상인지 모른다. 그러기 위해 적어도 한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또한 여러 방면에 걸친 지식도 갖추어야 깊이있는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칼럼니스트가 되든, 작가가 되든, 그 무엇이 되건 간에 꾸준한 노력과 자신만의 색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글쓰기 코너를 지나가다가 재미있게 생긴 이 책을 발견했다. 소설 중에서도 추리소설은 초등학교 때 셜록 홈즈를 비롯해 중학교 때 아가사 크리스티 시리즈를 읽은 경험이 있어 낯설진 않았지만 어른이 되고는 잘 안 읽게 된 것 같다. 이 책은 비단 추리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만이 아니라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어서 좋았다.

 

  예전에 짧은 소설을 쓰고, 지금도 몇 개를 끄적이는 중이지만 장편을 쓴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내 문제점이 무엇인지 발견했다. 아무 생각 없이 인물을 창조하고 내키는 대로 쓰는 건 아마도 전문가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을. 수많은 작가들이 '플롯'을 얼마나 치밀하게 짜는지 알게 되었다. 건물로 말하자면 골격이 될 터인데 이미 결론까지 다 결정해 두어야 하며 중간에 수많은 갈등 요소들이 있어야 하고, 반전도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니 소설을 쓰기 위한 장애물 하나를 넘긴 기분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써야 한다는 것, 초보자의 작업실은 깔끔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많은 작가들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신문 기사를 보거나, 길을 걸으며 관찰을 하거나, 늘 메모지와 펜을 휴대한다거나 하는 자신들만의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어 도움이 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도록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봐도 마지막이 궁금해서 책을 내려놓을 수 없는 책을 가장 재미있게 읽게 되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글쓰기 코너를 지나가다가 재미있게 생긴 이 책을 발견했다. 소설 중에서도 추리소설은 초등학교 때 셜록 홈즈를 비롯해 중학교 때 아가사 크리스티 시리즈를 읽은 경험이 있어 낯설진 않았지만 어른이 되고는 잘 안 읽게 된 것 같다. 이 책은 비단 추리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만이 아니라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어서 좋았다.

 

  예전에 짧은 소설을 쓰고, 지금도 몇 개를 끄적이는 중이지만 장편을 쓴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내 문제점이 무엇인지 발견했다. 아무 생각 없이 인물을 창조하고 내키는 대로 쓰는 건 아마도 전문가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을. 수많은 작가들이 '플롯'을 얼마나 치밀하게 짜는지 알게 되었다. 건물로 말하자면 골격이 될 터인데 이미 결론까지 다 결정해 두어야 하며 중간에 수많은 갈등 요소들이 있어야 하고, 반전도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니 소설을 쓰기 위한 장애물 하나를 넘긴 기분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써야 한다는 것, 초보자의 작업실은 깔끔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많은 작가들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신문 기사를 보거나, 길을 걸으며 관찰을 하거나, 늘 메모지와 펜을 휴대한다거나 하는 자신들만의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어 도움이 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도록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봐도 마지막이 궁금해서 책을 내려놓을 수 없는 책을 가장 재미있게 읽게 되니까 말이다.

 

- "나는 추리소설 읽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추리소설을 쓴다. 모든 작가들은 자신이 읽고 싶어하는 종류의 이야기를 써야 한다. 작가들이 스스로의 직업을 아무리 고상하다고 생각하더라도 결국 작가란 자신이 원하건 원하지 않건, 궁극적으로는 엔터테이너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헴릿>>은 감동적이고 깊은 사색에 잠기게 하며 비극의 극치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최고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작품이다." -존 고어즈 (22쪽)

- "내가 쓰는 이야기는 대부분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반전에 대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일상생활에서 나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로스 맥도널드 (42-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럼니스트로 먹고살기 - 현직 선배들의 진짜 노하우 먹고살기 시리즈
텍스트 라디오 지음, 김은성 엮음 / 바른번역(왓북)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럼니스트'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건 오래지 않은 것 같다. 예전으로 말하자면 '평론가'쯤 된다. '평론가' 하면 거창해 보이는데 반해 '칼럼니스트'는 왠지 친숙한 느낌이다. 아무나 할 수 없는 게 평론이라면 칼럼은 누구나 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인가보다. 평론은 자신의 생각이 많이 들어가지만 칼럼은 보다 객관적인 글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한때 칼럼이라고 기고한 적이 있었던 나는 당시에 칼럼과 감상문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고민했다. 감상문이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에 의한 것이라면 칼럼은 보다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는 글이라고 한다. 아마도 제대로 된 칼럼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자료 조사와 지식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실제 칼럼니스트들도 엄청난 노력 끝에 명성을 쌓을 수 있었음을 알았다.

 

  다른 작가와 공통되는 점은 활자중독이 의심될 정도로 많이 읽는 것이다. 들어간 게 많아야 잘 나온다는 뜻이리라. 어떤 칼럼니스트는 외국의 자료를 검색해 보기 위해 집을 저당 잡히면서까지 번역해 가며 읽었다는 것을 보고 그 노력의 정도가 가히 상상을 초월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칼럼니스트로 성공한 사람들 중에 블로그나 홈페이지 또는 카페에 글을 정기적으로 올리다가 된 경우가 많았다. 그만큼 제대로 된 글을 꾸준히 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인터넷에 글을 쓸 때의 요령도 알려주어 도움이 되었다.

 

  사이버 세상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가 너무 쉬워진 요즘 세상에 전문 칼럼니스트들이 글밥을 먹고 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만의 콘텐츠가 있기 때문이다. 10년에 걸쳐 꾸준히 한길을 걸어온 이들에게 그건 어쩌면 당연한 보상인지 모른다. 그러기 위해 적어도 한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또한 여러 방면에 걸친 지식도 갖추어야 깊이있는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칼럼니스트가 되든, 작가가 되든, 그 무엇이 되건 간에 꾸준한 노력과 자신만의 색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겠다.

- 예비 칼럼니스트라면 독서는 좋아하는 분야부터 시작하되, 점점 전 분야로 넓혀 나가자. 뷰티 칼럼니스트에게도 인문학 지식은 필요하며, 시사 칼럼니스트도 시를 읽어야 한다. 작가에게 `활자 중독`은 고민이나 자랑이 아니라 당연함이다. (56쪽)

- 실제로 많은 글쟁이들이 자전거를 타다가, 요가를 하다가,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요리를 하다가, 샤워를 하다가 메모를 한다. 책상 앞에서 끙끙 고민할 때보다, 몸을 움직일 때 훨씬 신선한 아이디어가 떠오르니 어쩔 수 없다. 피트니스 클럽에서 러닝머신을 달리다가 오늘 쓸 칼럼에 넣으면 좋을 에피소드가 떠올라 우뚝 서 버린다면 주위에서 당신을 좀 이상한 양반으로 볼지 모른다. 하지만 그게 대수랴, 글만 잘 쓰면 그만이다. (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글쓰기 코너를 지나가다가 재미있게 생긴 이 책을 발견했다. 소설 중에서도 추리소설은 초등학교 때 셜록 홈즈를 비롯해 중학교 때 아가사 크리스티 시리즈를 읽은 경험이 있어 낯설진 않았지만 어른이 되고는 잘 안 읽게 된 것 같다. 이 책은 비단 추리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만이 아니라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어서 좋았다.

 

  예전에 짧은 소설을 쓰고, 지금도 몇 개를 끄적이는 중이지만 장편을 쓴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내 문제점이 무엇인지 발견했다. 아무 생각 없이 인물을 창조하고 내키는 대로 쓰는 건 아마도 전문가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을. 수많은 작가들이 '플롯'을 얼마나 치밀하게 짜는지 알게 되었다. 건물로 말하자면 골격이 될 터인데 이미 결론까지 다 결정해 두어야 하며 중간에 수많은 갈등 요소들이 있어야 하고, 반전도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니 소설을 쓰기 위한 장애물 하나를 넘긴 기분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써야 한다는 것, 초보자의 작업실은 깔끔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많은 작가들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신문 기사를 보거나, 길을 걸으며 관찰을 하거나, 늘 메모지와 펜을 휴대한다거나 하는 자신들만의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어 도움이 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도록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봐도 마지막이 궁금해서 책을 내려놓을 수 없는 책을 가장 재미있게 읽게 되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