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글쓰기 코너를 지나가다가 재미있게 생긴 이 책을 발견했다. 소설 중에서도 추리소설은 초등학교 때 셜록 홈즈를 비롯해 중학교 때 아가사 크리스티 시리즈를 읽은 경험이 있어 낯설진 않았지만 어른이 되고는 잘 안 읽게 된 것 같다. 이 책은 비단 추리소설을 쓰고 싶은 사람만이 아니라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어서 좋았다.

 

  예전에 짧은 소설을 쓰고, 지금도 몇 개를 끄적이는 중이지만 장편을 쓴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내 문제점이 무엇인지 발견했다. 아무 생각 없이 인물을 창조하고 내키는 대로 쓰는 건 아마도 전문가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는 것을. 수많은 작가들이 '플롯'을 얼마나 치밀하게 짜는지 알게 되었다. 건물로 말하자면 골격이 될 터인데 이미 결론까지 다 결정해 두어야 하며 중간에 수많은 갈등 요소들이 있어야 하고, 반전도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니 소설을 쓰기 위한 장애물 하나를 넘긴 기분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써야 한다는 것, 초보자의 작업실은 깔끔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많은 작가들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신문 기사를 보거나, 길을 걸으며 관찰을 하거나, 늘 메모지와 펜을 휴대한다거나 하는 자신들만의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어 도움이 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도록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봐도 마지막이 궁금해서 책을 내려놓을 수 없는 책을 가장 재미있게 읽게 되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