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니스트로 먹고살기 - 현직 선배들의 진짜 노하우 먹고살기 시리즈
텍스트 라디오 지음, 김은성 엮음 / 바른번역(왓북)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럼니스트'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건 오래지 않은 것 같다. 예전으로 말하자면 '평론가'쯤 된다. '평론가' 하면 거창해 보이는데 반해 '칼럼니스트'는 왠지 친숙한 느낌이다. 아무나 할 수 없는 게 평론이라면 칼럼은 누구나 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인가보다. 평론은 자신의 생각이 많이 들어가지만 칼럼은 보다 객관적인 글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한때 칼럼이라고 기고한 적이 있었던 나는 당시에 칼럼과 감상문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고민했다. 감상문이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에 의한 것이라면 칼럼은 보다 전문적인 내용이 포함되는 글이라고 한다. 아마도 제대로 된 칼럼을 쓰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자료 조사와 지식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실제 칼럼니스트들도 엄청난 노력 끝에 명성을 쌓을 수 있었음을 알았다.

 

  다른 작가와 공통되는 점은 활자중독이 의심될 정도로 많이 읽는 것이다. 들어간 게 많아야 잘 나온다는 뜻이리라. 어떤 칼럼니스트는 외국의 자료를 검색해 보기 위해 집을 저당 잡히면서까지 번역해 가며 읽었다는 것을 보고 그 노력의 정도가 가히 상상을 초월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칼럼니스트로 성공한 사람들 중에 블로그나 홈페이지 또는 카페에 글을 정기적으로 올리다가 된 경우가 많았다. 그만큼 제대로 된 글을 꾸준히 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인터넷에 글을 쓸 때의 요령도 알려주어 도움이 되었다.

 

  사이버 세상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가 너무 쉬워진 요즘 세상에 전문 칼럼니스트들이 글밥을 먹고 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만의 콘텐츠가 있기 때문이다. 10년에 걸쳐 꾸준히 한길을 걸어온 이들에게 그건 어쩌면 당연한 보상인지 모른다. 그러기 위해 적어도 한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또한 여러 방면에 걸친 지식도 갖추어야 깊이있는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칼럼니스트가 되든, 작가가 되든, 그 무엇이 되건 간에 꾸준한 노력과 자신만의 색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겠다.

- 예비 칼럼니스트라면 독서는 좋아하는 분야부터 시작하되, 점점 전 분야로 넓혀 나가자. 뷰티 칼럼니스트에게도 인문학 지식은 필요하며, 시사 칼럼니스트도 시를 읽어야 한다. 작가에게 `활자 중독`은 고민이나 자랑이 아니라 당연함이다. (56쪽)

- 실제로 많은 글쟁이들이 자전거를 타다가, 요가를 하다가,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요리를 하다가, 샤워를 하다가 메모를 한다. 책상 앞에서 끙끙 고민할 때보다, 몸을 움직일 때 훨씬 신선한 아이디어가 떠오르니 어쩔 수 없다. 피트니스 클럽에서 러닝머신을 달리다가 오늘 쓸 칼럼에 넣으면 좋을 에피소드가 떠올라 우뚝 서 버린다면 주위에서 당신을 좀 이상한 양반으로 볼지 모른다. 하지만 그게 대수랴, 글만 잘 쓰면 그만이다. (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