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봄 - 장영희의 열두 달 영미시 선물
장영희 지음, 김점선 그림 / 샘터사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작은 것이 힘이 세다는 말이 있습니다장영희님의 책들을 읽고 있으면 그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거창하게 세계 최고가 되라고 하지 않습니다.작은 삶의 기쁨들을 소중히 여기라는 말을 속삭입니다하지만 그 어떤 자기계발서보다도 마음을 더 움직이게 합니다.

 

  영국이나 미국의 시를 한국어로 읽으면 조금은 원어와는 다른 느낌을 줍니다영시에 있는 운율이나 라임을 한국어로 번역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입니다이 책에는 원문이 소개되어 있어 좋았습니다고어가 섞여 있긴 하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은 시들입니다매월 두 개의 시를 소개하고 있으니 모두 스물 두 편이 들어 있는 셈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시가 프로스트의 가지 못한 길입니다살다 보면 선택의 기로에 설 때가 많습니다결단이 빠른 사람들은 결정하는 일이 어렵지 않겠지만 소심하거나 우유부단한 사람들은 언제나 망설이고선택에 대해 후회하기도 합니다심지어 아는 사람 중 하나가 마트에서 물건 살 때도 하도 망설여 쇼핑 시간이 너무 길다고 해서 웃은 적이 있습니다인생의 중대한 선택의 시기에 이걸 해 보고 안 되면 저걸 해야겠다.’라는 생각으로 하나를 택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이미 걸어가기 시작한 길에서는 또 다른 길을 만나기 때문에 다른 길로 돌아서서 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이 시를 읽으며 그런 일을 겪는 것은 다른 나라 사람들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인생에도 봄여름가을겨울이 있습니다우리는 인생의 봄이나 여름만을 최고로 생각하고 그 시기가 지나면 과거의 좋았던 때를 회상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가을과 겨울도 소중한 때라는 것을 잊지 말라고 합니다인생의 마지막이 가까울수록 남아 있는 시간에 감사해야겠습니다.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332103209

- 가지 못한 길 : 로버스 프로스트 (137쪽)

노랗게 물든 숲 속의 두 갈래 길,
몸 하나로 두 길 갈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그곳에 서서
덤불 속으로 굽어든 한쪽 길을 끝까지 한참을 바라보았다.

그러고는 다른 쪽 길을 택하였다. 똑같이
아름답고 그 길이 더 나을 법하기에.
아, 먼저 길은 나중에 가리라 생각했는데!
하지만 길은 또 다른 길로 이어지는 법.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을 알고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먼 먼 훗날 어디에선가
나는 한숨 쉬며 이렇게 말할 것이다.
어느 숲 속에서 두 갈래 길 만나 나는-
나는 사람이 적게 다닌 길을 택했노라고.
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게 달라졌다고.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자의 아침 문학과지성 시인선 437
김소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같은 시인이라도 쓰는 시의 종류에 따라 여러 분야로 나뉘는 것 같다. 사랑 시를 주로 쓰는 시인이 있는가 하면, 인생무상을 쓰는 사람도 있고, 어떤 이는 세상의 밝은 면을 포착하고, 다른 이는 구석구석에 서려 있는 사람들의 아픔을 함께 아파하는 시를 쓰기도 한다.

 

  이 시들의 주인은 그 중 마지막 사람에 가깝다. 배 고파본 사람만이 배고픈 사람의 아픔을 알 수 있다. 여행을 즐기긴 하지만 작은 방에서 추위를 견디는 고독한 여행자였을 것이다. 시를 읽다가 어두운 곳곳을 찾아다니며 아픔을 위로했을 시인의 모습이 떠올랐다. 시인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작품 속에서 그의 진심을 느낄 수 있었다.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300920001

 

  시를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시인은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눈을 가진 것 같다. 100배는 더 예리한 관찰을 하고, 뒤집어 생각한다. 전혀 새로울 게 없는 사물을 보고서도 시어들을 자아내는 것을 보면 부럽기 그지없다. 찰나의 관찰에서, 그리고 조용한 사색에서 그 시들은 비롯되었을 것이다. 그런 눈을 갖기 위해 작은 것도 유심히 바라볼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아픈 사람과 함께 아파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시인처럼 그 아픔을 함께 유쾌함으로 풀어낼 수 있으면 더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우치에 누운 시인들의 삶과 노래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으로 감상하는 세계의 명시
이병욱 지음 / 학지사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들의 삶과 작품들을 정신분석과 연관시킬 생각을 어떻게 하게 되었을까? 이 책에서 평범하지 않았던 시인들의 삶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통해 파헤쳐진다. 유명한 헤세나 타고르, 푸시킨, 셰익스피어, 단테, 랭보 뿐 아니라 방랑시인 김삿갓이나 하이쿠 시인들까지 세계를 아우르는 시인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삶과 정신분석이 오묘하게 어우러진 지적 욕구를 자극하는 책이다.

 

  이 책에 소개된 시인의 삶은 동성애나 열등의식, 고향을 잃은 그리움처럼 보통 사람들이 살아가는 평범함과는 차이가 있다. 오늘날 예술가나 방송인 중에도 동성애나 불륜, 심하게는 자살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과거에도 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불안한 현실이 이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을지 모른다. 물론 이 책에 소개되지 않은 시인들 중에는 지극히 보통 사람들처럼 살았던 사람도 있을테지만 말이다. 왜 이들 중에는 동성애나 불륜을 일삼고, 고난을 당하며, 일찍 생을 마감한 사람들이 많을까? 그들은 시인이었지 교육자가 아니라는 저자의 말(168쪽)을 새겨들어야겠다.

 

  이 책은 시인들의 출신 지역별로 영국, 독일․러시아, 라틴유럽, 아메리카, 동방의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역사적 굴곡을 겪으면서 정치, 사회 혹은 개인적 이유로 암담한 시절을 보냈던 시인들은 고난만큼이나 짙은 시들을 토해냈다. 그런가 하면 평생을 사랑하는 사람을 전전하며 사랑 시를 남기기도 했다. 자신이 쓴 시의 내용과 사뭇 다른 이율배반적 삶을 산 시인도 있었다.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이 남긴 작품들을 접해 보고 싶어 몇 명의 시집을 주문했다. 그들의 시를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 어린 예이츠는 영국계임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출신이라는 이유로 학교 친구들에게 놀림감의 대상이 되곤 했는데, 그는 이 시기에 관한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평생 동안 벗어나지 못했으며 정체성의 혼란을 겪기도 했다. (46쪽)

- 자존심이 유달리 강했던 푸시킨은 일생 동안 모두 29회에 걸쳐 결투를 벌였는데, 당시 뛰어난 미모로 소문이 자자했던 나탈리야 곤차로바와 결혼한 그는 자신의 아내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헛소문을 퍼뜨린 프랑스인 귀족 당테스를 상대로 결투를 벌인 끝에 결국에는 38세라는 아까운 나이로 숨지고 말았다. (108쪽)

- 릴케가 죽은 것은 장미 가시에 찔린 상처 때문이라는 소문도 있었지만, 실제로 그는 백혈병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다 죽었다. (1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르만 헤세 시집 문예 세계 시 선집
헤르만 헤세 지음, 송영택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세와 윤동주..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데 공교롭게 두 시집을 비슷한 시기에 읽으면서 서로 비교해 보게 되었습니다. 두 시인은 사실 비슷한 시기에 살았습니다. 물론 헤세가 훨씬 오래 살긴 했지요.

 

  헤세는 전쟁을 겪으면서, 윤동주 시인은 망국을 당하면서 이들은 밖으로 표출하기보다 자기 자신을 성찰했던 시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두려우면서도 계속 노래합니다. 헤세는 노년이 되어 젊음을 잃고 죽을 때가 가까워진 것에 대한 아쉬움 그리고 그것에 대한 초월, 윤동주 또한 잃어버린 조국으로 인해 숨죽이며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언제 닥칠지 모르는 고난에 불안해하면서도 의연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닮아 있습니다.

 

  시집들을 통해 우리나라가 당한 고난을 노래하다 광복을 얼마 안 남기고 젊은 나이에 일본의 감옥에서 옥사한 윤동주 시인으로 인해 숙연해지기도 했고, 당시 자신의 글이나 그림의 진가를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헤세의 안타까움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대가들에게도 암울한 시기가 있다는 것, 그런 시기를 묵묵히 참고 이겨낸 인내가 남다르다 여겨집니다. 40이 넘어 시작해 노년에 이르기까지 3000점이나 되는 수채화를 남긴 헤세의 맑은 그림들을 보며 시인이자 예술가의 외로운 열정을 느꼈습니다.

 

  작은 수첩을 마련해 좋아하는 시들을 적기로 했습니다. 윤동주와 헤세의 시들로 첫 부분을 장식했습니다. 시대적 아픔을 노래하는 윤동주와 시인의 외로움과 노년의 아쉬움을 쓴 헤세로 인해 마음이 아파지긴 했지만 시를 옮겨 쓰면서 이들의 시가 왜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윤동주 시인의 시집은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예전에 읽었을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오래 전 판본이라 예전 맞춤법으로 씌어 있어 더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도 작은 수첩에 주옥같은 시들을 옮겨 적어 나만의 시 모음집을 엮어 나가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르만 헤세 시집 문예 세계 시 선집
헤르만 헤세 지음, 송영택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세와 윤동주..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데 공교롭게 두 시집을 비슷한 시기에 읽으면서 서로 비교해 보게 되었습니다. 두 시인은 사실 비슷한 시기에 살았습니다. 물론 헤세가 훨씬 오래 살긴 했지요.

 

  헤세는 전쟁을 겪으면서, 윤동주 시인은 망국을 당하면서 이들은 밖으로 표출하기보다 자기 자신을 성찰했던 시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두려우면서도 계속 노래합니다. 헤세는 노년이 되어 젊음을 잃고 죽을 때가 가까워진 것에 대한 아쉬움 그리고 그것에 대한 초월, 윤동주 또한 잃어버린 조국으로 인해 숨죽이며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언제 닥칠지 모르는 고난에 불안해하면서도 의연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닮아 있습니다.

 

  시집들을 통해 우리나라가 당한 고난을 노래하다 광복을 얼마 안 남기고 젊은 나이에 일본의 감옥에서 옥사한 윤동주 시인으로 인해 숙연해지기도 했고, 당시 자신의 글이나 그림의 진가를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헤세의 안타까움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대가들에게도 암울한 시기가 있다는 것, 그런 시기를 묵묵히 참고 이겨낸 인내가 남다르다 여겨집니다. 40이 넘어 시작해 노년에 이르기까지 3000점이나 되는 수채화를 남긴 헤세의 맑은 그림들을 보며 시인이자 예술가의 외로운 열정을 느꼈습니다.

 

  작은 수첩을 마련해 좋아하는 시들을 적기로 했습니다. 윤동주와 헤세의 시들로 첫 부분을 장식했습니다. 시대적 아픔을 노래하는 윤동주와 시인의 외로움과 노년의 아쉬움을 쓴 헤세로 인해 마음이 아파지긴 했지만 시를 옮겨 쓰면서 이들의 시가 왜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윤동주 시인의 시집은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예전에 읽었을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오래 전 판본이라 예전 맞춤법으로 씌어 있어 더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도 작은 수첩에 주옥같은 시들을 옮겨 적어 나만의 시 모음집을 엮어 나가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