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왕
니콜라이 바이코프 지음, 김소라 옮김, 서경식 발문 / 아모르문디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예부터 조선은 호랑이를 영물로 여기며 숭배해왔다. 유독 우리나라만 그랬을까. 여하튼 호랑이를 소재로 한 속담도 많고, 호랑이를 신성시하는 풍습 역시 우리의 전통마냥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맹수 중에서도 특히 호랑이는 위엄 있는 그 모습이 동물의 왕이라는 칭호가 절로 들어맞는다. 포효할 때 쩌렁쩌렁 울리는 커다란 굉음이 흡사 고막이라도 찢을 듯이 울려 펴지며 거북이 등껍질도 뚫는다는 날카로운 송곳니, 멋지게 휘어진 꼬리와 등줄기의 검은 줄무늬는 수묵화를 보는 듯 아름답기 그지없다. 이러한 매력적인 동물 호랑이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 있었다니, 그것도 러시아인이 조선 호랑이를 주인공으로 글을 썼다니,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동물을 끔찍이 좋아하는 탓에 어렸을 적부터 시튼 동물이나 동물 관련 프로그램, 다큐멘터리를 빠짐없이 시청했기에 이 소설 역시 기대가 컸다. 「위대한 왕」이라는 제목과 이 책이 출간된 지 70년이 넘어가는 고전반열에 오른 소설이라는 점도 기대심을 자극했다. 독특한 저자의 이력처럼 이 소설 역시 호랑이를 주인공으로 한 매우 특색 있는 동물 소설이다. 호랑이 중에서도 혈통이 좋고 풍채도 남다르기로 유명한 아무르 호랑이. 흔히 ‘백두산 호랑이’ ‘조선 호랑이’라는 말을 자주 들었는데, 이 아무르 호랑이가 타이가를 호령하는 위대한 왕으로 등장한다. 지혜롭고 용맹하고 가만히 응시하는 모습만으로도 확실한 존재감을 심어주는 아무르 호랑이의 파란만장하고도 질곡 맞은 인생사…….
저자 ‘니콜라이 바이코프’가 2차 대전을 겪는 중 만주로 파견된 후 그곳으로 망명하여 30년이 넘는 세월을 보내게 된다. 평소 동물에 관심이 많았던 바이코프는 만주 일대의 넓은 자연에서 동물들을 관찰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보았던 동물들을 소재로 한 소설로 출간하기에 이른다. 「위대한 왕」역시 그 때 탄생한 소설이다. 저자의 생동감 있는 삽화도 다량 수록되어 있고, 직접 관찰했던 만큼 호랑이 일대기의 매우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호랑이가 인육을 먹는 장면에서는 절로 소름이 돋았다. 실제로 호랑이에게 희생당한 불행한 사냥꾼들도 많았겠지만, 상상을 해보면 아무리 나쁜 인간에 대한 응징이라도 나와 같은 종족이기에 어느 동물의 먹이로 전락했다는 사실이 섬뜩하기만 하다.
후반부, 인간의 마구잡이 포획으로 점점 터전을 잃어가는 동물들을 볼 때는 참으로 비통함을 감출 수 없었다. 인간들의 점령으로 점점 살 곳을 잃어가고, 줄어드는 먹이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인간의 영역으로 침범해 죽임을 당하는 동물의 삶. 원래 숲의 주인들은 자신들이 왜 쫓겨나야 하는지도 모른 채 그렇게 점점 보금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누가 진정한 이 지구의 주인들일까. 단지 문명을 이룩한 기계를 쓸 수 있는 사람이기에 원래 살던 이주민을 억지로 쫓아내 버리고 그들의 모든 것을 빼앗은 것처럼. 불과 반세기만에 이룩한 과학의 업적은 놀라우나, 끝도 없이 파괴해가는 문명이라는 현세상이 참으로 무섭게 다가온다. 작가 또한 황폐해져가는 자연 앞에 속수무책인 동물들을 곁에서 지켜보며 나와 같은 심정이지 않았을까.
모든 야생동물들이 점점 보금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어쩌면 호랑이라는 동물 역시 몇 백 년, 아니 몇 십 년 후엔 그야말로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의 전설로만 남아 그림책을 뒤져봐야 할지도 모르겠다. 올해가 가기 전에 꼭 호랑이를 보러 동물원에 가봐야겠다는 다짐이 들었다. 야생 호랑이를 직접 찾아갈 수는 없으니, 우리 속에 갇혀 흐린 눈으로 세상을 바라볼, 인간에게 길들여져 버린 애처로운 호랑이라도 보며 아쉽지만 만족할 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