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 친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다 보면 정말 생각지도 못한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우리야 다 알아서 무심히 치나치는 것들도
외국어로 한국어를 대하는 사람들에게는 의문 덩어리일 수밖에 없다는 걸 새삼 느끼고
늘 그녀들에게 친절하고 세심하게 가르치려고 노력한다.
우리나라에 온 지 얼마 안 된 친구들은 어휘랑 표현, 발음, 기본 문법 익히느라 정신이 없다.
그런데 한국에서 3,4년 살다 보면 서서히 우리말의 발음 규칙에 대한 의문도 생기고
표현의 미묘한 차이에 대해서도 궁금해지기 시작하는 모양이었다.
중급 이상으로 갈수록 한국어가 너무 어렵다는 말을 한다.
발음 규칙도 수없이 많고, 예외도 많고, 불규칙 활용도 알아야 하고, 어미 활용에 연결어미,
끊어읽기나 억양도 생각해야 하고, 관형어나 연어, 속담, 높임말, 한자와 고유어 같은 것도 알아야 하니
그 말에는 나도 십분 동의~
방문 수업하는 친구들은 대부분 초급이라서 질문이 많지 않다.
하지만 내가 자원 봉사를 다니는 한 기관(이주여성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에서
만나는 친구들은 정말 다양한 질문을 쏟아낸다.
한국에 온 지 한 달 된 친구부터 15년 된 친구까지...
베트남, 중국, 필리핀, 일본, 캄보디아, 태국, 네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파라과이...
각자 고향도 다르고, 나이도 다르고, 학력도 다르고, 한국에 오게 된 사연도 다르고, 언어도 다르고...
같은 거라고는 한국 남자를 만나 결혼했다는 사실 하나뿐.
시부모님과 같이 사는 친구들은 선생님이 가르치는 표준어와 시어머니가 쓰는 말이 달라서 질문이 많고
경상도나 전라도 쪽에서 살았던 친구들은 사투리 때문에 질문이 많아진다.
문화적인 차이에서 오는 질문도 많다.
그리고 영어나 일본어를 그대로 쓰는 표현, 외래어에 대한 질문도 단골이다.
가끔은 나도 대답해주기 애매한 질문을 받기도 한다.ㅜ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가르치면 가르칠수록 어렵다는 생각에
사이버로나마 한국어교육학을 다시 공부하고 있는데
공부하랴, 시험 보랴, 과제하랴 좀 바쁘긴 하지만
이제 조금 감이 잡히는 것 같아 공부하는 게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