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김대중 5 - 역사는 발전한다
백무현 글.그림 / 시대의창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쓰기 전에 다음에서 노욕(老慾)이라는 말을 검색했다. 한자는 제대로 썼는지, 혹 의미는 제대로 파악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검색하던 가운데 재미있는 글을 발견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려주세요.
내공은 있는 대로 드리겠습니다.
성의 있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지식에 올라와 있던 글이다.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부정적인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진영의 어떤 의도의 글인지 안봐도 비디오다. 그런데 저 재미있는 것은 이 글에 대하여 꽤 많은 답변들이 많이 제시되어 있다는 것들이다. 그 답변들이 대체로 비난도 안 되는 쓰레기로 취급해야할 것들이지만 말이다. 그렇지만 내용을 조목조목 집어보면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것들도 있다. 지역 감정 조장(박정희가 시작한 것이지만 김대중도 이것을 이용하고 나중에는 더 심화시킨 것은 분명하다.), 카드 대란, 홍삼트리오(절대 가수가 아니다.), 강도 높은 신자유주의 정책(물론 IMF체제를 몰고 온 것은 김영삼이지만), 건설업을 통한 경기 부양이라는 전근대적인 사고 등은 김대중 대통령 집권기에 일어났던 대표적인 실책들이다. 

  정치 9단이라는 사람이 왜 이런 황당한 실책들을 저질렀던 것일까? 정치색이 전혀 다른 JP와의 연합이라는 무리수를 뒀던 것일까?(노무현도 이 점에서는 자유롭지 못하다.) 군자연한 태도와는 달리 상대방의 약점을 까발리면서 물고 늘어지는 구태의연한 정치계의 행동을 따라갔던가? 평생을 민주주의를 위해 살아왔으면서도 대통령이 되기는 과정에서 민주주의를 포기 내지는 유보했었는가? 서민들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그들을 길거리로 내모는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하여 중산층을 붕괴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차갑게 얼어붙은 내수 경제를 살리겠다고 카드를 남발하게 독려해 카드 대란을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 이해 안 되는 여러 가지 질문들은 노욕(老慾)이라는 말로 정리가 된다. 

  평생을 민주주의를 위해 살아왔지만 결국 그도 막판에는 노욕(老慾)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도 “대통령 한번 해봐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집권욕 때문에 이회창을 누르기 위하여 JP와 연대를 했던 것이며, 경제를 살린 대통령이기를 원해서 무리한 방법들을 사용했던 것이 아니겠는가?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을 깎아 내리자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을 읽으면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이 어땠는지 잘 알 수 있다. 게다가 조금 삐딱한 시선으로 보면 김일성 찬양하듯이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에 대하여 찬양하는 것이 가끔 눈에 들어온다. 공정한 평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면만, 혹은 긍정적인 면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책을 통하여 긍정적인 면을 봤다면 책의 구석구석에 쪼개져 있어서 유심히 살펴보지 못하면 알아채지 못하고 지나갈 단점들을 재구성해본 것이다. 그저 안타깝고 아쉬울 뿐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노욕을 떨쳐버렸다면 오늘처럼 진보진영이 분열되고 무기력하게 되었을까? 한 나라의 대통령이 바위 위에서 투신하는 상황이 벌어졌을 것인가?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겠고, 역사에 만약이라는 말은 불필요하다고 하지만 그래도 만약이라는 말을 해본다면 나는 “아니오”라고 대답할 것이다.  

  각설하고 분명한 것은 그는 이 시대를 이해하기 위하여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거목이라는 사실이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아울러 5권까지 책을 마무리한 백무현씨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