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간인가>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왜 인간인가? - 인류가 밝혀낸 인간에 대한 모든 착각과 진실
마이클 S. 가자니가 지음, 박인균 옮김, 정재승 감수 / 추수밭(청림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왜 인간인가? 

  상당히 철학적인 질문이다. 왠 철학서적이라는 호기심에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이런 젠장이다.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이 수두룩 빽빽한 것이다. 한장씩 책장을 넘기면서 새로운 지식을 알아가는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내가 과학적으로 참 많이 무지하구나라는 절망감을 마보았달까? 당연히 그럴 수밖에...과학자들도 자기 분야가 아니라면 이해하기 어렵다던데 최신과학 중의 하나인 뇌과학인데 말이다. 

  어찌 되었든 서평을 써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책을 읽어가기 시작했다. 중간중간에 알아듣지 못하는 내용들이 있지만 그래도 참고 읽으니 알아들을만한 내용이다. 왜 인간인가? 절대 철학적인 질문이 아니다. 우리는 철학적인 질문으로 받아들이지만 저자는 절대 그런 의도로 말하지 않는다. 

  과학자의 입장에서 인간의 감정과 신경체계, 뇌의 활동에 대하여 조목조목 따져가면서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저자에 의하면 인간이 동물과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은 원래 그런 존재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자들은 인간과 동물은 별개의 종이 아니라 진화의 정도가 다를 뿐이라고 말하면서 인간의 특별성을 부인한다. 그러나 마이클 가자니가는 과학자이면서도 특이하게도 인간은 다른 종에 비하여 무엇인가 특별한 종이라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인간이 특별하다는 그의 주장도 종교적인 신념이나 철학적인 사유에서가 아니라 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인간은 진화의 단계를 밟아가면서 다른 종과는 달리 더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되었다. 일반적인 과학자들과 가자니가 사시에 존재하는 차이란 진화가 개체에게 적용된 진화냐, 집단에 적용된 진화냐라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가자니가는 인간이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된 것, 예를 들어 혐오성이라는 감정이라든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 목적성을 아는 것들, 윤리적인 판단들은 태어날 때부터 DNA에 박혀서 존재하는 선천적인 능력임과 동시에 이것들을 발전시키는 것은 사회적인 진화의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가자니가에 의하면 날카로운 발톱도, 강력한 힘이나 날랜 몸짓도 갖지 않은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생존에 안전을 얻기 위해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게 되었고, 사회적인 관계를 맺어가는 시스템에 더 잘 적응하기 위하여(생존의 경제성이라고 할까?) 자연스럽게 다른 동물들보다 더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여러가지 뇌 연구의 결과들을 들어 조목조목 설명하고 있다.  

  그의 설명은 대체로 이렇다. 어떤 주제를 던지고 이것이 인간에게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설명하면서 주의를 끈다음 그것들을 실제 연구 결과를 들어 설명한다. 거기에 덧붙여 동물들에게도 그러한 능력이 나타나는지 실제 연구 결과를 들어 설명하고 낮은 차원에서 인간과 동일한 모습을 보이지만 더 고차원적인 능력으로 들어가면 인간만이 갖게 되는 복잡성과 특별성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될 수밖에 없다고 결론을 맺는다. 그리고 이 복잡성과 특별성도 결국 사회라는 시스템에 적응하는 진화의 한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그 용어와 내용이 친숙하지 않아 머리에 쥐가 날 지경이지만 대략적인 내용만은 참 흥미롭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뇌과학의 흐름에 대해서 자세하게 가르쳐 주고 있으며 어느 부분에서는 왠만한 철학책보다 더 철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과학자이면서도 개체 진화가 아니라 사회집단 진화를 이야기하고, 인간의 뇌의 활동은 결국 관계성을 지향한다는 그의 결론은 인간 사회를 들여다보는 재미있는 지선을 제공해 준다.  

  다만 아쉬운 것이라면 너무 까발렸다는 것일까? 모든 신비와 종교와 신에 대한 생각들, 철학적인 관념들도 화학물질에 의한 뇌의 활동이라고 설명하는 것이 너무 눈에 거슬릴 뿐이다. 어쩌면 이것도 화학물질에 의한 뇌활동의 한 현상일뿐일 수도 있겠지만. 

  ps. 어제까지 올려야 했는데 예기치 못하게 초상집에 다녀오느라 하루 늦은 서평을 올린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왜 그렇게 사람들이 장례식장을 찾아가는 것일까를 이 책의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충 이런 것이다. 사람들은 언젠가 죽는다. 그리고 그것들을 무의식 속에 알고 있다. 지금 내가 그 사람의 장례식장을 찾아가 조문을 하고 관계를 맺는다면 그것은 언젠가 나의 가족이나 내가 죽었을 때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대충 이런 정도?(지극히 상식적인 내용이라고? 그렇지만 어쩌겠는가? 상식을 배배꼬아서 전문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것이 소위 말하는 인텔리들의 고질병인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