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스트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정서웅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읽기 시작한지 몇달째!

  처음에는 읽을 수 있겠나 싶었는데 그래도 짬짬이 읽다보니 진도가 나가기 시작한다. 물론 올해가 가기 전에 민음사 세계문학 전집을 읽겠다는 생각은 이루어질 수 없겠지만, 그래도 도서목록 엑셀 파일에서 하나씩 지워가는 재미는 쏠쏠하다. 


  중학생 때 산문으로 풀어 놓은 파우스트를 읽었던 적이 있다. 그때는 무슨 생각으로 그랬는지 모르지만,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무모했다. 아마도 파우스트, 괴테라는 이름에 혹 해서 있어 보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내용이 거의 생각이 안나는 것으로 봐서는 당시에도 간신히 읽는 수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금 읽어도 그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 다만 당시보다는 조금 더 내용과 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다는 정도가 근 30년의 시간이 나에게 준 선물일 것이다.


  내용의 구성에 대해서야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잘 나와 있으니, 책을 읽었느나 틀이 명확하게 잡히지 않는 사람은 참고하면 될 것이다. 혹 이 리뷰를 읽고 도움을 받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을 위해서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하면 이렇다. 1권은 파우스트가 "그레트헨"이라는 여성과 벌이는 사랑과 비극을 주된 내용으로 다룬다. 의미를 이해하지 못해도, 통속적인 로맨스 소설로 읽어도 크게 무리는 없다. 2권은 헬레네와의 관계를 다룬 내용으로, 기본적으로는 로맨스라고 할 수 있지만, 어떻게 보면 로맨스도 아니다. 그리스와 로마 신화, 그리고 유럽 신화, 성경 등 많은 곳에서 인물을 따왔기 때문에 간혹 이 사람이 누구인가 헷갈릴 수도 있다. 게다가 독일식 발음으로 기록했기 때문에 더 헷갈린다. 예를 들자면 사이렌(Siren)을 지레느라고 하는 식이다. 1부에 비하여 2부는 조금 더 난해하고 복잡하지만, 구성 자체는 1부가 더 탄탄한 것 같다. 책의 구성에 대해서 대략 이 정도 이해한다면 어느 정도 기본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리스 신화에 대해서 배경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2부는 보다 수월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평생 지식을 추구하던 파우스트!


  어느날 갑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회의가 든다. 메피스토텔레스와 계약을 맺고 세상으로 나아간 그는 여러가지 세속적인 쾌락을 추구한다. 사랑, 권력, 명예, 부 등등 그의 쾌락에 대한 욕구는 점점 심해진다. 바닷물을 마시면 갈증을 잊는 것이 아니라 더 심해지는 것처럼, 그레트헨에서 시작한 그의 쾌락추구는 급기야는 헬레네까지 이어진다. 현실 세계에서 상상의 세계로, 젊은이에서 영주로. 그의 영혼을 얻기 위하여 그의 쾌락을 충족시켜주는 메피스토텔레스에 대한 그의 태도도 점점 당연한 것이 되고, 보다 강압적인 것이 되어간다. 좌충우돌하는 그의 모습을 보면 철저하게 세속적인 타락한 인간의 모습을 보는 것 같지만, 그러한 방황의 시기를 거친 후에 그는 결국 구원을 받는다. 만약 방황이 없었다면, 파우스트는 밋밋한 삶을 살다가 그렇게 사라져 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그의 영혼을 가로채기 위하여 오랜 시간 조력해온 메피스토텔레스는 이 사실을 간과했기 때문에 마지막에 그가 공들였던 것을 잃어버린 것이다.


  파우스트의 모습은 많은 것을 가르쳐 준다. 사람들은 흔히 평탄하가 못해 밋밋한 삶을 살기 원한다. 굴곡이 없이 편안한 삶을 살기 원한다. 자신이 그렇게 못살았으면 자기 자식이라고 그렇게 살기를 원한다. 그래서 평생 모은 재산을 자녀들에게 물려주려고, 그렇게 애쓰는 것이 아니겠는가? 권력의 한 조각이라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게 비리를 저지르는 것도 이런 이유이리라. 그런데 문제는 이런 생각이 자신은 물론 자신의 자녀마저도 망치는 길임을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만약 곽모 의원이 이 사실을 알았다면, 자기 아들이 퇴직금과 기타 항목으로 50억을 수령하는 자리를 만들었겠는가? 장모 의원이 거듭되는 음주 운전으로 물의를 빚은 아들을 그렇게 내버려 두었겠는가? 조모 전 장관의 가족이 그렇게 언론에 노출되고 재판에 회부되었겠는가? 


  귀한 자식일수록 여행을 시키라는 말은 귀한 자식일수록 방황하고 부딪히는 기회를 주라는 말이리라. 참견하지 말고 곁에서 믿고 지켜봐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 아닐까? 그렇게 본다면 파우스트는 자녀 교육에 대한 소중한 가르침을 주는 육아교육책(?)으로 볼 수도 있겠다. 


  구원이라는 종교적인 말 때문에 반감을 가질 수 있는 사람이 있겠지만, 구원을 성장이나, 성숙으로 바꾸어 읽어도 무방하니 너무 괘념치 않았으면 좋겠다. 아무리 시대의 정신이라고 해도 쾨테도 결국은 기독교 문화권에서 살았던 사람이니 싫든 좋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기독교 용어와 가치관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존재임은 분명하다. 연구실을 벗어난 파우스트가 좌충우돌했던 것처럼 괴테도 현실의 삶 속에서 좌충우돌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가다듬어 갔음을 기억하시라. 


  난해한 책을 덥으면서 마지막으로 유쾌하게 웃었다. 파우스트의 영혼을 드디어 갖게 되었다고 신나하던 메피스토텔레스가 닭 쫓다가 지붕 쳐다보는 개가 된 장면 때문이다. 난 왜 이 장면을 보면서 영화 콘스탄틴이 생각났는지 모르겠다. 아마 프란시스 로렌스 감독이 파우스트의 이 마지막 장면을 차용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콘스탄틴의 법규를 보면서 열받아 그의 암을 치료하고 다시 살리는 루시퍼의 모습은 파우스트의 영혼을 도둑맞았다고 화를 내던 메피스토텔레스의 모습에 대한 재해석일 것이다. 이래저래 난해하게 시작한 파우스트를 유쾌하게 마무리하게 해준 영화 콘스탄틴을 시간 내서 다시 한번 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