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봤던 영화 중에 "타짜2-신의 손"이 있다. 타짜 1편에 대한 기억이 있어서 기대감을 가지고 봤지만, 본편만한 속편은 없다는 말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아는 사람들에게 이런 마음을 이야기했더니 하는 말이 정말 기발했다. "다 된 밥에 TOP 뿌린다" 이 말만큼 타짜 2를 잘 표현할 말은 없다고 아직도 단언한다. 왜 이 말을 꺼내느냐면, 햄릿에 대한 평가가 꼭 이렇기 때문이다.


  알라디너 가운데 다른 누군가가 같은 책을 보고 좋은 평을 써주셨지만, 솔직하게 나는 그렇게 평을 할 수가 없다. 햄릿의 내용을 모르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희곡으로 된 것을 안 읽어 본 것도 아니지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에 속해 있는 햄릿은 재미가 없어도 너무 재미가 없다. 번역한 사람은 나름대로의 신념을 가지고 번역을 했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유명한 문장을 "있음이냐 없음이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번역한 부분만 봐도 이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문제는 이 책에는 이렇게 저자의 확고한 신념은 있지만, 독자를 향한 친절함이나, 이 책을 많은 사람들에게 재미있게 읽히겠다는 의도는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마치 대학 교과서를 보는 듯한 기분이랄까? 나는 번역가고 너는 독자야라는 말이 곳곳에서 울린달까? 희곡이라는 장르 자체가 상상력을 가지고 읽지 않는다면 깊이 빠지기 힘든 장르인데, 이렇게 불친절한 번역이니 말해 무엇하겠는가?


  판본 자체도 최대한 권위 있는 판본에 근거하여 번역했다고 하지만, 그 결과가 곳곳에서 뭉텅뭉텅 잘려나간 이상야릇하게 흐름이 끊기는 대본이라면 판본의 권위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우리가 햄릿을 보는 것은 성경을 보는 것과는 다른 것이 아닌가? 그 의미를 곱씹어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할 가능성이 많은 성경과 햄릿은 달라야 하지 않겠는가? 햄릿이 영국으로 가다가 다시 돌아온 이유에 대해서도, 그리고 오필리어가 죽는 장면에 대해서도, 그리고 희곡의 여러 중요한 장면에 대해서도 이 책만으로는 그 의미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연극을 보면 여러 장면들을 통하여 알아챌 수 있겠지만, 이 책만으로는 어림도 없는 이야기이다. 


  이 책의 한계와 단점은 문학동네에서 출판한 "햄릿(이경식 역)"과 비교하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어떤 분들은 이 책의 단점마저도 날카롭게 지적하지만, 민음사의 햄릿을 읽어본 나로서는 문학동네의 햄릿은 무릎꿇고 겸손한 마음으로 저자의 친절함에 감복하면서 읽게 될 뿐이다.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번역이 충분하지 않는다면 어찌 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책이다. 


  "다 된 햄릿에 번역을 뿌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