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청년 논객 한윤형의 잉여 탐구생활
한윤형 지음 / 어크로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3년에 나온 사회과학 서적을 8년이 지나서 읽는다는 것은 참 미련해 보이는 일이다. 그 동안 지난 세월과 바뀐 정치지형은 또 얼마이며, 이 글이 씌여지던 시기는 또 어떠한가? 문국현에 대한 20대의 지지가 나오고, 미국산 소고기로 인한 촛불집회, 참여정부의 실패 이야기, 20대 개새끼론은 언제적 이야기이던가? 2021년에 2013년에 나온 책, 그리고 그 책에 수록된 글 가운데에는 2007년의 글도 있다고 하니, 슈가맨도 아니고, 과거의 글을 읽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싶다. 그래서 별다른 기대 없이, 사놓은 책이니 읽고는 버리자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역시 내용은 어렵지 않게 잘 넘어간다. "청년 논객"이라는 말처럼 당시 젊은 사람이었던 저자의 글은 어려운 말을 어렵사리 쓰는 그런 글이 아니라 간결하다. 그 덕에 책을 읽는 속도는 꽤 빠르다. 데이터 하나하나에 얽매일 필요도 없으니 이 또한 책장이 넘어가는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요인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는 속도와 달리 던져 주는 메시지는 묵직하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나라는 청춘을 위한 나라가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겉으로 보면 20대를 신경쓰는 정치인들이 많이 늘어났다. 그들과 소통하려고 애를 쓴다. 그렇지만 문제는 그 노력이 소통이 아닌 쇼통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얼마전 송영길 대표가 국회에서 교섭단체 연설을 하면서 자신은 청년들도 만나봤다, 그들이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라는 요지의 말을 했다. 모 당에서는 젊은 당대표가 탄생했고, 선거철만 되면 다들 청년들을 모아서 간담회를 하고 사진 찍기에 바쁘다. 요즘은 근엄했던 대선 주자들이 청년과의 소통이라는 말로 포장하면서 망가지기 시작하는데 왜 그러나 싶다. 본인들이 잘 할 수 있는 포지션을 버리고 왜 자꾸 홍그리 버드(아는 사람은 아는) 스타일로 가는 지 모르겠다. 젊은이들과의 소통이라는 미명하게 이런식으로 나가는 것은 그들의 생각 속에 젊은이가 없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젊은이들은 생각이 없고, 들어주면 되고, 웃기는 것을 좋아하는 그런 곁다리 취급! 이것이 젊은이에 대한 정치인들의 생각이고, 소위 말하는 사회 지도층들의 생각이다. 얼마전 류호정 의원의 퍼포먼서는 보면서 "가만히 있어도 예쁠 나이인데" 운운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이 사회가 젊은이를 어떻게 생각하는 지를 엿볼 수 있었다. "그냥 가만히 있으면 알아서 해줄께, 버릇없이 자기 생각 드러내지마." 아직도 젊은이들을 향하여 그렇게 외친다. 자기보다 아랫 사람들에게는 동양의 장유유서를, 자기보다 윗 사람들에게는 유럽의 평등과 자유를 말하는 것이 이 시대 중장년층의 생각이 아닐까? 어느덧 중년층으로 분류되는 나이가 되면서 더 조심하게 되는 부분이 이것이다. 어느새 나도 젊은이들을 그렇게 생각없고, 쓰다 버리는 용도로 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을 읽으면서 드는 또 한 가지 생각은 정말 한국에 극우 정치세력이 등장할 수도 있겠다는 점이다. 저자는 한국 정치 시스템이 극우 정당의 출현을 막고 있다고 말한다. 물론 나도 여기에 공감한다. 그렇지만 앞으로 시간이 조금만 더 지나면 충분히 가능할 수도 있다. 20대의 정치 참여가 부족하다는 말로 20대를 꾸짖으면서 그들을 조금도 키우지 않는 현 정치체제가 그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20대를 키우지 않는 것은 보수나 진보나 동일하다. 386이 586이 되는 20년 동안 그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자기 아래에 오는 사람들을 끊임없이 쳐내지 않았던가? 비례대표 자리 한 두개 던져주고 네 소신껏 해봐라는 것이 20대들에게 얼마나 어필했을까? 4년이 지난 후 단 한명이라도 생존한 사람들이 있었던가? 이런 일이 공고해지면 결국 그 힘이 어디로 가겠는가? 그들을 받아줄 수 있는 곳으로 흘러갈 곳이고, 그곳은 극우일 가능성이 크다. 다른 누군가를 혐오하는 것이 멤버십을 공고히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니 극우 정당은 그러한 방법을 택할 것은 뻔한 일이다.


  그냥 잡설이 길어졌는데, 그때나 지금이나 청춘을 진심으로 위하는 나라는 없다는 것이다. 그거 계도하고 가르쳐야 할 대상으로, 지배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할 뿐이다. 젊은이를 한 사람의 인격체로, 시민으로 인정하는 날은 언제나 올까? 10년이 더 지나면 그런 날이 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