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야에서 길을 묻다 - 출애굽기 산책
김기석 지음 / 꽃자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잡지에 연재되던 글을 모은 책이다. 출애굽기에 대한 신선한 생각을 제공해 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연재되었던 글을 모았기 때문에 깊이가 부족한 단점도 있다. 그렇지만 김기석 목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기독교 신앙에 대해서 보수적인 시각이 아닌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기를 원하는 기독교인들에게는 추천할만한 책이다. 비기독교인들이 읽기에는 걸치적 거리는 부분들이 있다는 말이다.


  저자가 광야에서 길을 묻는다라는 글을 단 이유가 무엇일까? 광야란 척박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척박한 곳이기 때문에 사람의 능력으로는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살아갈 수 없다. 그 어느 때보다 하나님을 바라볼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천수답이라는 논이 있다. 이곳은 비가 내리지 않으면 농사가 불가능한 곳으로 비가 오지 않을 때면 농부들은 하늘만 바라본다고 한다. 광야가 바로 천수답과 같은 곳이다. 여러가지 위기와 어려움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곳, 그곳이 광야이다.


  저자는 이러한 광야가 우리의 인생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지만 곳곳에 온갖 어려움과 고난과 장애물이 도사리고 있다. 물론 이러한 장애물들이 우리의 힘으로 극복이 가능한 것들이 있기도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우리의 힘과 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가? 두 손을 모으고 하늘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 순간 우리는 놀랍게도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게 된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언제 경험했는가? 광야를 지나는 그 순간만큼 깊이 하나님을 체험했던 적이 있었는가? 그렇기 때문에 광야는 고난의 장소임과 동시에 은혜의 장소이기도 하다. 그 어느 때보다 하나님이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장소이면서 그 어느 때보다 하나님이 가까이 계신 곳이 광야이다. 광야와 같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어떤 태도로 살아가야 할 것인가?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떤 삶을 살아가는 것이 제대로 살아가는 길일까? 김기석 목사는 이에 대한 대답을 출애굽기와 민수기 신명기를 풀어가면서 찾고 있다.


  이 책을 보면서 크게 눈에 띄는 것이 두 가지이다. 하나는 그의 어휘 구사 능력이다. 김기석 목사가 구사하는 어휘는 우리가 잘 모르는 우리 말인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의미를 대략이나마 알아서 자세한 뜻을 알기 위해서 종종 사전을 찾아봐야 하는 귀찮음은 있지만 때로는 존경스러울 때가 있다. 어떻게 이러한 단어들을 알고 사용하는 것일까, 도대체 이 분의 독서량은 얼마나 대단한 것일까 싶어서이다. 다음으로는 한쪽 구석에 다소곳이 자리잡고 있는 로고이다. 세월호를 기억하겠다는 의미로 노란 배에 304라는 숫자가 거칠게 자리잡고 있다. 이 로고를 보면서 그저 마음 한켠이 아릿하다. 또한 세월호 유족들이 광야를 걷고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씁쓸하다. 그러면서 기도한다.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길을 보여 주시기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